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0714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18-07-17
책 소개
목차
첫째 날
한국 교육의 문제를 진단하다
1. 법의 정신과 교육 25
1) 법과 법의 정신 25
2) 헌법 정신과 교육 28
3) 교육법에 나타난 교육의 정신과 목적 30
2. 교육의 정신과 목적에 비추어 본 한국 교육의 현주소 39
1) 입시경쟁교육의 현주소 39
2) 입시경쟁교육과 수학능력 49
3) 입시사회체제 57
4) 입시사회체제의 역사 71
5) 입시사회체제의 개혁에 대한 단상 82
둘째 날
오전
수요자 중심 교육을 진단하다
1. 수요자 중심 교육정책 94
1) 학교 다양화 정책 94
특목고의 입시 명문고화 95
교육의 기회균등 정신과 자사고 102
2) 학교선택제 105
3) 교원평가 110
4) 대학과 등록금 그리고 학생 선발제도 117
5) 소통과 협력 교육에 대하여 130
둘째 날
오후
대학평준화 어떻게 볼 것인가?
1. 대학평준화 139
1) 프랑스의 대학평준화 제도 140
2) 대학평준화 방안 142
3) 대학평준화의 실현 가능성 148
4) 대학평준화를 위하여 155
셋째 날
수능의 완전한 자격고사 전환,
교과내신만을 통한 선발제도를 위하여
1. 민주시민교육과 입시제도 개편안 165
1) 수능의 완전한 자격고사로의 전환 168
2) 교과내신만을 통한 선발제도 179
2. 수능의 완전한 자격고사 전환과
교과내신만을 통한 선발제도가 가져올 교육계의 지각 변동 188
1) 학교현장에서의 변화 188
2) 민주시민교육의 실현 192
3) 사교육비 절감 205
4) 특목고와 자사고의 일반고로의 전환 208
5) 교육 기회균등의 실현 217
3. 입시제도 개편과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들 226
1) 단위학교 내 성적 경쟁 격화 문제 226
2) 기타 문제들 239
긴급
대담
현 시기 입시 제도 개편을 둘러싼 쟁점에 대하여
1) 수시모집과 수능전형의 비율에 대하여 252
2) 수능의 상대평가제와 절대평가제에 대하여 258
3) 대학별고사와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하여 261
4) 학생부교과전형에 대하여 269
5) 교과내신의 절대평가제(성취평가제)와 상대평가제에 대하여 271
6)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에 대하여 278
7) 대담을 마치며 290
저자소개
책속에서
두 분 반갑습니다. 우리가 이렇게 모인 것은 한국 교육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해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