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206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1-12-12
목차
책을 펴내며 학교와 마을을 잇는 사람들, 더 큰 꿈을 품게 된 아이들
1부 학교, 마을과 만나다
경천마을과 경천중학교
배움이 즐겁고 함께 성장하는 '온 마을 학교'
마을 속으로
공주행복교육지구를 선도하는 학교
학생이 행복한 학교 만들기
사용자 친화적인 학교 만들기
2부 학교, 마을을 배우다
배움과 성장의 마을교육과정
온 마을이 함께 만드는 학교 교육과정 설명회
'마을과 학교를 잇다'―온 마을 발표회
스토리가 있는 벽화거리
경천마을 소소마켓
마을 담은 교과 교육과정
봉사활동으로 꽃피우는 마을
기관장 릴레이 특강
수준 높은 마을, 수준 높은 예술·체육 활동
3부 학교, 마을을 세우다
공간의 생산
친근한 '개미수퍼'
이음터 발견
조물주 위에 건물주
마을도서관을 구상하다
마을도서관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4부 마을, 학교와 만나다
기관장 선진지 탐방
늘품학교 1호 지정
마을도서관 그리고 학교
마을도서관 그리고 마을
마을의 시선으로 본 소소마켓
마을도서관 그리고 평생학습
2019 평생학습 프로그램(전반기)
2019 평생학습 프로그램(하반기)
5부 마을, 코로나 시대 학교와 만나다
'명예' 관장에서 '전업' 관장으로
'마을도서관@경천 작은도서관' 설립
비영리단체 '경천마을학교' 설립
공주시 공모 사업 '늘품학교' 선정
코로나 시대 평생학습 프로그램
경천마을 소소한 잔치
'아이 키우기 좋은 충남', 충남형 마을방과후·돌봄학교
아이들을 돌보고 가르치는 마을
책을 마치며 성숙하고 도약하는, 지속가능한 마을교육공동체를 꿈꾸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 ‘왜 아이들은 학교에서 행복하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내내 화두이자 큰 고민거리였다.
경쟁 중심의 교육과 한 줄 세우기 교육은 아이들이 바른 인성을 형성하는 데 장애가 되었으며,
그들을 무미건조한 삶으로 내몰고 있었다. 학교는 행복을 누리는 공간이어야 하고,
교육은 아이들이 ‘행복한 삶’과 ‘삶의 행복’ 모두를 경험하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아이들의 학창시절이 행복한 기억으로 가득하도록 학교 환경과 교육 체계를 재구조화하고 그에 걸맞은 교육철학을 정립하기로 했다.
오랜 고민 끝에 그처럼 ‘온 마을학교’를 구상하게 된 것이다.
삶과 행복에 관한 지혜를 배우는 ‘학교’, 이에 더해 돌봄과 배움이 넉넉히 제공되는 ‘마을’에서 아이들은 배우고 성장하여 마을과 이 나라를 이끌 인재로 성장하길 바랐다. (“책을 내면서”에서)
경천마을 사례에서 보았듯이, 마을교육공동체 속에서 아이들은 함께 배우며 성장하게 되는데,
마을교육공동체가 배움터로서 이러한 역할을 해주려면 학생을 비롯하여 교직원, 학부모, 마을 이웃 모두의 자발적 참여가 꼭 필요하다.
넓게 보면, 경천마을교육공동체는 학생과 학부모, 교사와 학교, 주민과 마을, 지자체와 교육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와 학부모의 변화 의지, 주민과 마을의 자발적인 참여,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지, 교육청의 전문적인 지원, 지자체의 적극적인 행정력이 한데 어우러질 때 진정한 교육생태계와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의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책을 마치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