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정신질환
· ISBN : 979115971644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07-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빨랫감이 산더미처럼 쌓인 오전, 스카이다이빙을 하고 싶은 오후
1. 집중력 부족, 과잉 행동, 충동적 성향: AD(H)D란 무엇인가?
‘정상’이라는 건 뭘까?
질병이란 뭘까?
AD(H)D의 증상은 무엇일까?
AD(H)D는 대체 왜 발생하는가?
우리는 모두 AD(H)D인가?
2. 눈에 덜 띄면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걸까?: 미성년 및 성인 여성의 AD(H)D가 간과되기 쉬운 이유
좋은 날들과 나쁜 날들: 호르몬 변화
남성이 기준? 진단 기준
눈에 띄거나, 띄지 않거나: AD(H)D인 미성년 및 성인 여성의 보상 작용
AD(H)D인 여성의 수가 정말로 더 적을까?: 염색체 보호와 장기적인 지속성
3. 미성년 및 성인 여성의 AD(H)D: 그들의 삶을 결정하는 특별함
영유아기: 빠른 운동 발달과 햇살 같은 성격
취학 연령: 달콤한 꿈에서 깨어나다
청소년기: 적응과 반항의 사이
성년기: 천재는 혼돈을 지배한다?
노년기: 활달한 할머니
4. 넘어지기, 일어서기, 정신 잃기: 여성들이 겪는 AD(H)D
주의력 문제: “지금 호출하신 뇌에 연결되지 않습니다.”
자극: 무기력함과 지속적인 흥분 상태의 사이
머릿속 혼돈: 뒤엉키는 생각
과소 자극: 일상 속에서 한숨 돌릴 수 있으려면
계속 움직이기: 과잉 행동
충동성: ‘지금 당장’ 그걸 원해
5. “난 대체 왜 이러지?”: 부정적 자아 개념이라는 두 번째 질병
살아 있는 혼동 생성자, 또는 자기 현시욕이 과한 호돌갑쟁이: 주변의 평가
날 때부터 갖고 있는 ‘과대 포장’ 벗기기: 자기 평가와 자기 낙인
6. AD(H)D는 단독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부가적인 질병과 그에 따른 문제
정신 질환과 AD(H)D
사회성 결여와 AD(H)D
7. 경주마와 유니콘: AD(H)D 여성들이 가진 재능과 자원
방향성의 문제
경주마인가, 유니콘인가?
타이어로 비유한 AD(H)D와 AD(H)D의 밝은 측면
인상적인 롤 모델: AD(H)D이면서 성공한 여성들
8. AD(H)D인 여성들이 스스로를 구출하는 방법: 문어의 여덟 다리
첫 번째 다리: 스스로와 AD(H)D에 관해 알기
두 번째 다리: 받아들이기 친해지기
세 번째 다리: 기반을 다지기
네 번째 다리: 균형 잡는 법을 배우기
다섯 번째 다리: 내면을 준비시키기
여섯 번째 다리: 구조를 연습하기
일곱 번째 다리: 집중력 연습하기
여덟 번째 다리: 계속 이어 가기
9. 여성들의 AD(H)D 치료
혼돈을 선택할 자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가?
약물 치료
심리사회적 치료법
주석
책속에서
ADHD(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 또는 ADD(주의력 결핍증)인 많은 미성년 및 성인 여성들이 자신이 AD(H)D라는 사실을 모른다. (…) 그들은 틀에 박힌 듯 정해진 일상을 따라야만 한다는 사회적 압박과 요구에 고통스러워한다. 타인들로부터 거부당하거나, 소외되거나, 직장에서 쫓겨나는 일도 허다하다. 버스 정류장에서는 함께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그런 여성들, 또는 고함을 지르고 다리를 흔들어 대는 그들의 아이들로부터 거리를 두고 서 있다.
이 책은 그런 여성들과 소녀들을 위한 책이다.
AD(H)D인 사람의 뇌는 저항력이 약하고 자극을 받기 쉬워서 기능상의 변동을 극심하게 겪는다. 이런 가변성이 감정, 생각, 행동 양식을 조절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해 여성이라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호르몬 변화에 따라 기분과 신체 능력이 좌우된다. 그래서 일상적인 기능을 감당하는 능력의 변화가 AD(H)D인 남성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일시적인 변화가 반복되다 보니 여성의 AD(H)D를 진단하기란 더욱 어렵다(“그냥 PMS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