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60077797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03-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호황이든 불황이든 주식 공부는 늘 해야 합니다
1장 주식, 1도 모르지만 일단 시작
─ 우리가 주식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 주식은 어디서, 어떻게 사고 파는 걸까?
• 한 꼭지 더! - 스마트폰으로 증권 계좌 만들기
─ 어떤 증권사와 거래를 하는 게 좋을까?
─ 꼭 증권사가 필요할까?
─ 증권사 어플은 왜 이렇게 복잡하지?
• 한 꼭지 더! - 장이 끝난 시간에도 주식을 사고 팔 수 있을까?
─ ‘우’가 붙은 주식은 뭐가 다를까?
─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
• 한 꼭지 더! - 세제 혜택도 받고 신주 기업에도 투자하는 코스닥 벤처펀드
─ 코스피 지수는 어떻게 추산할까?
정리문제
2장 주식과 친하려면 주식의 언어부터!
─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 KRX는 뭘까?
─ 내부자거래는 무조건 나쁘다?
─ 주가조작이란?
• 한 꼭지 더! - 투자주의 종목이 뭔가요?
─ 선물 거래란?
─ 프로그램매매란?
─ MSCI지수를 알아야 하는 이유
• 한 꼭지 더! - MSCI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상품은?
─ 우리는 시장을 따른다, ETF
─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 없는 주식 빌려서 파는 공매도
─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당순이익(EPS)
• 한 꼭지 더! - 네이버금융에서 EPS 확인하기
─ 주가수익비율(PER)
정리문제
3장 주식 시장의 흐름 읽기
─ 주식 투자, 그냥 운 아냐?
─ 우량주와 주도주
─ 공모주 투자를 알아보자
─ 정치인 관련주, 잘만 고르면 대박?
─ 버블의 신호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주식 시장과 금리
─ 주식 시장과 GDP
─ 주식 시장과 유가
─ 주식 시장과 물가
─ 어닝쇼크와 어닝서프라이즈
─ 기업의 실적 발표에서 눈여겨볼 부분은?
정리문제
4장 주린이는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일단 삼성전자?
─ 나도 가치투자자가 되고 싶다!
─ 어떤 주식에 투자할까?
─ 저평가 우량주는 도대체 누가 사는 걸까?
─ 투자하는 회사를 얼마나 알아야 하나?
• 한 꼭지 더! - 투자하는 회사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할 것 & 나만의 투자 매뉴얼 만들기
─ 배당주와 보통주의 차이
─ 정말 분산투자가 답일까?
─ 장기투자와 단기투자
─ 모든 돈에는 만기가 있다!
─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 분할 매수와 분할 매도
정리문제
5장 돈이 일하게 하는 여러 가지 방법
─ 개인 자산 관리는 부자들만 하는 건가?
─ 국채에 투자하는 방법
─ 배당투자를 하고 싶다!
─ 리츠가 뭘까?
─ 파생상품의 정체는?
─ 파생상품이 있어야 하는 이유
─ 금으로 재테크하기
─ 달러에 투자해보자
정리문제
6장 해외 주식에 투자하기
─ 다우와 나스닥
─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이유
─ 애플이나 아마존 주식은 어떻게 사는 걸까?
─ 아시아와 유럽의 주식 시장
정리문제
7장 ‘도박과 투자는 달라요’ 기술적 분석과 주식 투자
─ 차트로 시장을 읽어내기
─ 추세선 보는 법
─ 매수와 매도의 시그널
─ 이동평균선이란?
─ 패턴과 거래량 분석에 대하여
─ 여러 가지 보조 지표
정리문제
8장 앞으로의 주식 투자
─ 개미는 전업투자자가 될 수 있을까?
─ 미래는 정말 예측할 수 없을까?
─ 모든 투자자의 꿈, ‘대박’은 어디에
• 한 꼭지 더! - 부화뇌동하지 않는 투자법
─ 가장 피해야 하는 투자 방식
정리문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위기는 새로운 혁신기술의 발전과 상업화를 가속화합니다. 오스트리아 출신 미국의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Joseph Alois Schumpeter)는 낡은 것을 도태시키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며 혁신을 일으키는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 과정이 기업 경제의 원동력이라고 했습니다. 위기는 창조적 파괴의 중요한 계기입니다.
─「프롤로그 - 호황이든 불황이든 주식 공부는 늘 해야 합니다」에서
주식은 본질적으로 해당 기업의 주인이란 증서입니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은 시장 가판대에 올라간 채소나 과일처럼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의 필요에 의한 거래를 통해서 가격이 형성됩니다. 중고품을 판매하려고 하는 사람과 구매하려는 사람이 모인 곳에서 흥정을 통한 거래가 성사되죠. 주식 역시 매도자는 더 비싸게, 매수자는 더 싸게 사려는 양쪽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시장 가격이 결정됩니다.
─「1장. 주식, 1도 모르지만 일단 시작 – 주식은 어디서, 어떻게 사고 파는 걸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