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무량수경 심요

무량수경 심요

(불설대승무량수장엄청정평등각경 강해)

정공 (강해), 허만항 (편역)
비움과소통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무량수경 심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무량수경 심요 (불설대승무량수장엄청정평등각경 강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60160017
· 쪽수 : 740쪽
· 출판일 : 2016-07-22

책 소개

하련거夏蓮居 대사께서 무량수경 5종 역본을 회집한 '불설대승무량수장엄청정평등각경'(무량수경 회집본, 또는 선본)을 경문으로 삼아, 그 요점을 풀이(요해)하고 강의록(강해)을 첨부한 국내에서 번역된 가장 상세한 무량수경 해설서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12
불설대승무량수장엄청정평등각경 16
서분 18
제1품 법회에 참가한 성중 28
제2품 보현보살의 덕을 좇아서 닦다 33
제3품 무량수 법회가 열린 인연 72
정종분 80
제4품 법장 비구의 발원과 수행 81
제5품 지극한 마음으로 정진하다 94
제6품 마침내 대원을 발하다 107
제7품 반드시 정각을 이루리라 230
제8품 무량한 공덕을 쌓다 239
제9품 수행과 공덕을 원만하게 성취하다 250
제10품 모두 아미타불처럼 되길 발원하다 257
제11품 극락세계의 장엄청정 263
제12품 광명이 시방세계에 두루 비추다 269
제13품 극락세계에는 수명과 대중이 무량하다 277
제14품 보배나무가 국토에 두루 가득하다 281
제15품 아미타불 극락도량의 보리수 285
제16품 아미타불 극락도량의 강당ㆍ정사ㆍ누각 290
제17품 아미타불 극락도량의 연못 팔공덕수 294
제18품 시방세계 뛰어넘는 희유한 환경 302
제19품 성중들의 부족함 없는 생활 306
제20품 공덕의 바람 불고 꽃비 내리다 311
제21품 보배연꽃과 부처님 광명 315
제22품 구경의 불과를 결정코 증득하다 318
제23품 시방제불께서 찬탄하시다 323
제24품 삼배왕생의 방배 326
제25품 삼배왕생의 정인 350
제26품 아미타불께 예배공양하고 법을 듣다 362
제27품 시방제불의 공덕을 찬탄하다 378
제28품 극락세계 대보살의 위신광명 384
제29품 대보살의 원력은 크고 깊다 390
제30품 극락세계 보살의 수행생활 397
제31품 극락세계 보살의 진실한 공덕 409
제32품 극락세계에는 수명과 즐거움이 무극하다 424
제33품 권유하고 채찍질 하시다 455
제34품 미륵보살의 마음이 열리다 467
제35품 오탁악세의 다섯 가지 악과 고통 474
제36품 거듭 가르치고 권하시다 503
제37품 가난한 사람이 보배를 얻듯이 513
제38품 대중이 마침내 아미타 부처님을 뵙다 531
제39품 미륵보살께서 본 경계를 말하다 544
제40품 변지, 의심의 성에 갇히다 556
제41품 의심이 없어야 부처님을 친견할 수 있다 579
제42품 많은 보살들이 서방정토에 왕생하다 600
유통분 612
제43품 염불인은 홀로만 가는 소승이 아니다 613
제44품 보리의 수기를 받다 625
제45품 오직 이 경전만 세상에 남는다 644
제46품 힘써 닦고 굳게 지키길 부촉하다 655
제47품 복덕과 지혜가 있어야 들을 수 있다 665
제48품 이 경을 듣고 나서 큰 이익을 얻다 683

무량수경 합찬 688
부록1 무량수경 선본善本의 대사인연 694
부록2 해현海賢 노화상, 무량수경을 증명해보이시다 716

저자소개

정공 (강해)    정보 더보기
정토불교를 전수 홍양하는 단체인 정종학회의 정신적 지도자. 1959년 출가한 후 대승불법의 부흥을 위해 60년 이상 화엄경 금강경 법화경 무량수경 등 대승경전을 널리 대중을 위해 강설한 후 2022년 입적하였다. 《요범사훈》에 큰 영향을 받아 자주 독송하여 강설하였다. 세계 각국이 요동치면서 인과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요범사훈》을 인과교육의 교재로 삼아 널리 유통하였다. 1978년 대만 화장대학에서 총 30회, 1990년 대만 화장도서관 총 15회, 1999년 호주 정종학회에서 총7회, 2001년 중국에서 총 20회 강연하면서 사회풍토의 개선을 꾀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 내지십념乃至十念 약불생자若不生者 불취정각不取正覺
[釋] 십념十念은 최소한이다. 옛 사람들은 우리를 위해 이 원을 해석하였다. 십념은 평상시 십념인가, 임종시 십념인가? 엄격히 말하면 이것은 임종시 십념이지만, 평상시 십념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자운慈雲 관정灌頂 법사께서는 사람에게 십념법十念法을 가르치셨다. 그것은 보통 일하느라 바쁜 사람들에게 저녁 염불일과를 할 시간이 없는 사람에게 십념법을 가르치고 전하셨다.
어떤 방법인가? 한 번 숨을 쉬는 것을 일념이라 하는데 이 숨 한 번에 염불을 많이 하느냐 적게 하느냐에 구애받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호흡이 길고, 어떤 사람은 호흡이 짧다. 호흡의 길고 짧음에 관계 없고, 많고 적음에 구애받지 않는다. 아미타불ㆍ아미타불ㆍ아미타불ㆍ아미타불. 한번 숨을 쉬며 염불하는 것을 일념이라 하고, 그 시간은 길지 않다. 아침에 일어나 세수하고 양치질한 후, 불상이 있으면 불상 앞에서 합장 예배하고, 열 번 숨을 쉬며 염불한다. 만약 불상이 없다면 서방을 향해서 열 번 숨을 쉬며 부처님 명호를 염한다. 아침에 한번 저녁에 한번 습관을 들여서 이번 생에 한 번도 빠뜨리지 않는다. 이것을 정념이 이어짐(淨念相繼)이라 한다. 빠뜨리지 않고 매일 염불한다. 이 방법은 매우 좋다. 몇 백 년 동안 수많은 사람이 이 방법으로 염불을 성취하였다.
나는 이곳에서 여러분에게 새로운 십념법을 전해드리겠다. 그것은 관정 법사와 다르고, 그보다 더 간단하다. 그는 열 번 숨을 쉬면서 염하라고 하셨지만, 나는 이것도 필요 없고, 열 마디, 아미타불ㆍ아미타불 열 마디를 염하면 된다. 한번 숨을 쉬느냐, 두 번 숨을 쉬느냐 상관하지 말고 바로 열 번 소리내어 부처님 명호를 염하면 된다. 시간은 1분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하지만, 하루에 아홉 차례 염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좋은 점이 대단히 많다. 아침 일찍 한번 염하고, 식사할 때 한번 염한다. 하루 세끼 식사를 한다면 식사를 할 때마다 염한다. 이때 일반 불교도들은 모두 공양진언을 염송하면서, 부처님께 공양하고 불법에 공양하며 승가에 공양하며 일체중생에게 공양한다. 실제로 모두 무심하게 입으로 염송한다. 이것은 착실하게 열 마디 아미타불을 염하는 것만 못하다. 그래서 우리는 부처님 명호로 공양진언을 대체하여 아미타불을 열 번 소리 내어 진실하고 정성스런 마음ㆍ청정한 마음ㆍ공경하는 마음으로 열 마디 부처님 명호를 염한다. 열 마디 부처님 명호를 염한 후 식사를 한다. 이러면 몸과 마음이 청정하고, 먹는 것도 잘 흡수되며 소화를 도와서 좋은 점이 많다. 이것은 진실이다.
오전에 일을 시작할 때와 일을 마칠 때, 오후 일을 시작할 때와 일을 마칠 때 각 한 차례, 저녁에 잠들기 전에 한 차례, 하루 총 아홉 차례 염불하는 습관을 키운다. 시간은 비록 짧아도 그것은 간격이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고, 또 한 차례 염불하여 하루 아홉 차례 몸에 배이도록 닦으면 그 효과는 매우 크다. 내가 그때 이 방법을 제안한지 오래 지나 않아 2주후 즉시 말레이시아 동수께서 나에게 전화를 하여 그들도 효과를 느꼈다고 감사의 말을 전했다. 그들은 진정으로 따라 했고 2, 3주에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는 대단히 좋은 방법으로 일 하느라 바쁜 사람도 모두 닦을 수 있다. 당신의 일에,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지 절대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것이 모두 십념이다. 이 방법을 사용해보라.


☞ 마음을 거두는 염불법(攝心念佛)
어떻게 마음을 거두어 들여 득력得力할 것인가? 염불할 때 염불기에서 나는 소리를 듣는다. 잡념은 모두 소리(聲塵)를 따라 들어온다. 그래서 염불할 때 대중을 따라 함께 수행하든 염불기를 켜서 하든 상관없이 열심히 자신의 염불소리를 경청한다. 마음으로 염불하던 입으로 염불하던 모두 한 글자 한 글자 또렷하게 염불하고 듣는다. 아阿~미彌~타陀~불佛~ 이처럼 소리를 내뽑지 말고, 음률을 넣어 염불하지 말라. 연속해서 멈추지 말고, 아阿 미彌 타陀 불佛, 한 글자 한 글자 사이에 잠시 멈추면 글자 글자가 분명해진다. 자신의 염불소리를 또렷하게 들을 수 있고, 망념이 저절로 그친다. 매우 쉽게 육근을 거두는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같은 염불방법은 처음 염불하는 사람과 망념이 많은 사람에게 매우 큰 도움이 된다!
염불할 때 이마나 가슴에 집중하지 말라. 그러면 쉽게 병이 난다. 코끝 및 입술 전방에 주의력을 집중하고, 눈은 반쯤 감거나 완전히 감는다. 자신에게 잘 맞는다고 느껴지는 것이 좋다!
왜 소리를 내뽑아서는 안 되는가? 소리를 내지 않고 염불할 때 만약 소리를 끌면 부처님 명호소리가 또렷하게 들리지 않고 머리가 어지럽기 쉽다! 이렇게 한 자 한 자 염하는 법은 득력할 때 염불소리가 귀 쪽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이런 경계에 도달하면 소리를 내지 않아도 자신의 염불소리를 고요히 듣는다. 임종 시 조념助念하는 사람이 없다고 할지라도 자신의 이 한마디 부처님 명호에 의지해서 왕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염불하는 사람은 절대로 애써 이 경계를 추구하지 않는다! 오직 착실하게 염불하면 저절로 은밀히 오묘한 도에 계합하여 반드시 왕생할 자격이 생긴다.


☞ 부실정의不失定意 항상 중단 없이 청정한 마음을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어서 바깥 경계에 따라 바뀌지 않는 것이니, 이것은 팔지보살八地菩薩 이상의 경계이다.
[釋] 이 같은 수승한 이익이 서방극락세계에 왕생한 보살들에게 존재하고 하나하나 구족하고 있음을 우리는 앞에서 보았다. 명호를 듣고서 서방극락세계에 태어나지 못한 보살들도 이러한 이익을 얻을 수 있을까? 얻을 수 있다. 초지보살 이상의 지상보살地上菩薩이라고 한다면 당연하다. 어쩌면 경전에서 우리가 말한 아유월치보살, 칠지 이상의 보살은 부처님의 가지를 얻지 않아도 이런 능력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십회향 이전의 지전보살地前菩薩은 이런 능력이 없다. 그의 지혜ㆍ도력ㆍ신통은 그렇게 크지 않다. 아미타 부처님 위신의 가지를 한번 얻으면 이런 능력이 홀연히 상승하여 칠지ㆍ팔지ㆍ구지 보살과 같아져서 이렇게 큰 능력이 생기고, 일념 중에 시방세계 무량무변 제불께 두루 널리 공양할 수 있다. 이것은 극락세계에 왕생한 사람들과 다르지 않아 얻는 이익도 서로 같다. 아미타 부처님의 마음이 평등함을 알 수 있다. 당신이 이 사바세계에 태어나도 나는 당신을 가지하겠다는 말이 전혀 아니다. 당신이 극락세계에 오지 않아도 나는 당신을 내버려 두겠다는 말이 아니다.
아미타 부처님의 마음은 분별이 없고, 집착이 없으시다. 이런 마음은 정말 청정한 마음이고, 평등한 마음이시다. 우리는 응당 이를 학습해야 한다. 어떻게 법을 배울 것인가? 현재 이 사회에서 불교에는 종파가 매우 많아 우리는 언제나 정토를 제외한 그 밖의 종파를 많이 접촉하는데, 선종도 있고, 밀종도 있고, 교종에서는 천태종도 있다. 비교적 늘 보는 것은 천태종을 배우는 사람으로 적지 않다. 법상을 배우는 이도 있는데, 언제나 수학하는 사람을 만나는 가운데 법상유식을 배우는 이가 비교적 많은 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들 동수 여러분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가? 아미타 부처님을 배워야 한다. 내가 정토를 닦는다고 정토가 제일이고, 그대들은 나만 못하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분별이 있고, 집착이 있으며, 나를 높이는 아만이 일어나면 아미타 부처님과 상응하지 못한다. 아미타 부처님은 남에게 평등하시다. 다른 사람이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는 것은 관계가 없다. 그것은 그의 사정이다. 우리는 자신은 다른 사람에 대해 평등해야 한다고 자신에게 요구해야 한다. 그들이 어떤 법문을 닦던지 상관없이 우리는 모두에게 환희 찬탄해야 하고, 결코 자신을 찬탄하고 남을 비방해서는 안 된다. 이런 행위는 허용할 수 없다. 보살계菩薩戒에서 자신을 찬탄하고 남을 비방하는 것은 유가보살계에서 본래 제일 무거운 계로 나열되어 있다. 반드시 평등한 마음을 내어야 한다. 왜냐하면 모든 일체불법은 모두 부처님께서 설하신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우리 자신이 자신의 법문을 찬탄하고 다른 사람의 법문을 비방한다면 그것은 불ㆍ법ㆍ승을 비방하는 것으로 잘못이다. 그래서 응당 부처님과 같이 평등하게 대해야 한다. 그들이 이번 생에 불법을 성취하는 것에 대해 그는 믿을 수 있고, 이해할 수 있으며, 무량겁의 선근이 성숙하다.
그가 들은 후 믿지 않고 발원하지 않으며 심지어 배척을 하면 우리는 그의 선근이 성숙하지 않음을 알고 그를 탓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이 법문을 믿기 어려운 법이라 한다. 이렇다면 좋다. 그래서 우리들 심지는 청정을 유지하여야 한다. 선정에 들어 부처님께 공양을 하고, 공양하여서 청정한 마음을 잃지 않는다면 바로 바깥 경계에 굴림을 당하지 않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