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0371857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22-04-01
책 소개
목차
1. 위-디오니시우스 • 7
(1) 종교적 인간, 신비주의 신학, 그리고 위-디오니시우스
(2) 위-디오니시우스, 3색조의 전설
(3) 위-디오니시우스의 저작
(4) ≪신비신학≫, 신비와 신학은 무엇을 뜻하는가?
(5) ≪신비신학≫의 중요성
(6) 감사
2. ≪신비신학≫ 본문 • 39
3. ≪신비신학≫ 주해 • 63
제1장
신적인 어두움이란 무엇인가?
제1장의 핵심
감각적인 지각과 명상적인 인식을 넘어서는 상태, 즉 하나님과 하나 되기 위해 모든 지식과 인식을 넘어선 상태가 신적인 어두움의 상태이다.
제1장의 개요
(1) 가장 낮은 존재가 찬란한 어두움에 이르는 틀과 구조에 대한 설명
(2) 신적인 어두움에 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어들
(3) 신앙에 입문하지 못한 자들의 한계
(4) 긍정보다 더 효과적인 부정
(5) 바돌로매와 모세의 가르침
(6) 신적인 어두움의 상태와 그곳에 들어가는 방법
(7) ‘알려지지 않은 자’와 하나됨
제2장
인간이 어떻게 만물을 초월하는, 만물의 근원이 되는 자 와 하나가 되고, 그에게 찬양을 드릴 수 있을까?
제2장의 핵심
조각가가 대리석에서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함으로 숨겨진 아름다움을 드러내듯이, 인간은 부정을 통해서 초월하여 존재하는 자를 알아간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과 부정의 과정은 발현과 회귀라는 거대한 틀을 잘 보여준다.
제2장의 개요
(1) 거부와 부정의 원칙, 일자를 찬양할 길
(2) 아름다움을 찾아 나서는 조각가
(3) 발현과 회귀
제3장
긍정신학은 무엇이고, 부정[신학]은 무엇인가?
제3장의 핵심
신비신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긍정신학과 부정의 개념을 묻고 논한다.
제3장의 개요
(1) 긍정신학과 위-디오니시우스의 3대 저작에 나타난 발현과정
(2) 발현과 회귀의 구조 안에서 본 언어의 다수화와 단순성
(3) 발현에서 회귀로의 전환점, 비유사적 유사성
(4) 벌레기독론
제4장
온갖 감각적인 존재의 최상의 원인은 그 자체가 감각적이지 않다.
제4장의 핵심
신적인 어두움은 모든 감각적인 존재들을 초월한다.
제4장의 개요
(1) 상승열차
(2) 이중 부정
(3) 감각적인 존재들을 넘어서
(4) 고양하기
제5장
온갖 개념적인 존재의 최상의 원인은 그 자체가 개념적이지 않다.
제5장의 핵심
신적인 어두움은 모든 개념적인 존재들을 넘어서 있다.
제5장의 개요
(1) 모든 지식의 무활동을 넘어 존재하는 것
(2) Quid non est, 존재하는 어떤 것이 아닌 것
(3) Sine modo
(4) 다시 무지의 구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