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1~5 세트 - 전5권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1~5 세트 - 전5권

박성준, 김도환, 이지수 (지은이), 장선환 (그림)
한겨레출판
6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4,000원 -10% 0원
3,000원
5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1~5 세트 - 전5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1~5 세트 - 전5권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91160400427
· 쪽수 : 1000쪽
· 출판일 : 2017-07-26

책 소개

역사적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꼼꼼하게 짚어 주는 어린이 역사책이다. 1권(선사~삼국)에서는 선사시대를 최대한 자세하게 다루면서 독자들이 수백수십 만 년이라는 시간을 가늠하고, 더불어 연대기의 빈칸을 상상력으로 채워 넣을 수 있게 돕고 있다.

목차

1권

작가의 말

선사시대
고조선과 국가의 등장
삼국의 건국과 발전
삼국의 전쟁과 통일
통일신라와 발해

연표
찾아보기

2권

작가의 말

고려 초기의 사회와 제도
귀족 사회의 성립과 발전
무신정권
고려와 원나라
공민왕의 개혁과 고려의 멸망

연표
찾아보기

3권

작가의 말 4

조선의 건국
새로운 나라 조선을 세우다 10
조선의 건국이념, 성리학 17
토지 제도 개혁과 과전법 21
조선의 수도, 한양 24
왕자의 난과 태종 29
[인물과 사건] 이방원과 정도전 36
[유물로 보는 역사] 왕의 초상, 어진 38

조선의 통치 제도와 사회
왕권 강화와 관료 제도 정비 42
지방 제도 50
교육 제도와 과거 제도 56
신분 제도로 보는 조선 사회 60
[인물과 사건] 태종과 민인생 70
[유물로 보는 역사] 《조선왕조실로》 72

세종과 조선 문화의 발달
백성을 사랑한 왕 76
집현전과 신하들 80
실용 과학의 발달 85
훈민정음 창제 93
도량형과 공법 제정 97
대마도 정벌과 4군 6진 개척 105
[인물과 사건] 오우치 요시히로, 고의홍 112
[유물로 보는 역사] 자격루 114

왕권과 신권의 대립
세조와 시육신 118
훈구파와 사림파 125
사화와 중종반정 134
조광조와 개혁 정치 139
외척 세력의 정치 진출 146
[인물과 사건] 한명회와 신숙주 150
[유물로 보는 역사] 조선 백자 152

임진왜란
사림파와 재등장과 붕당 156
일본의 전국 통일 165
일본, 조선을 침략하다 170
이순신, 조선을 구하다 177
정유재란 189
[인물과 사건] 홍의장군 곽재우 196
[유물로 보는 역사] 화약 무기 198

연표 200
찾아보기 202

4권

작가의 말 4

병자호란과 북벌운동
광해군과 인조반정 10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18
효종의 북벌운동 27
[인물과 사건] 소현세자 30
[유물로 보는 역사] 남한산성 32

붕당의 대립과 심화
예송논쟁 36
세 차례의 환국 41
만동묘와 대보단 49
청나라와 유럽의 만남 55
신임옥사 61
[인물과 사건] 김상헌, 김창집과 안동 김씨 66
[유물로 보는 역사] 향교와 서원 68

탕평책과 왕권 강화
탕평책과 이인좌의 난 72
외척 재상과 사림 관료 77
지방 사림 세력의 약화 81
사도세자의 비극 85
[인물과 사건] 혜경궁 홍씨 92
[유물로 보는 역사] 〈준천시사열무도〉 94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대동법과 균역법 98
농업과 시장의 발달 107
서민 문화의 발달 118
실학의 발생 123
[인물과 사건] 김홍도와 신윤복 128
[유물로 보는 역사] 판소리 130

정조의 시대
홍국영의 세도정치 134
의리탕평과 규장각 137
북학파와 문체반정 142
천주교의 전래 145
수원 화성 건설 151
[인물과 사건] 김만덕 156
[유물로 보는 역사] 《무예도보통지》158

세도정치와 흥선대원군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 162
홍경래의 난 167
정약용과 김정희 170
무너진 왕권과 외척 176
삼정 체제와 민란 180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 186
[인물과 사건] 김정호와 〈대동여지도〉 194
[유물로 보는 역사] 〈세한도〉 196

연표 198
찾아보기 200

5권

작가의 말 4

서양의 세계 진출과 조선의 개항
서양의 세계 진출 10
강화도조약과 개항 17
임오군란 29
갑신정변 35
[인물과 사건] 김옥균과 홍종우 42
[유물로 보는 역사] 외규장각 의궤 44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1차 동학농민운동 48
청일전쟁과 2차 동학농민운동 56
갑오개혁 61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63
[인물과 사건] 명성황후 72
[유물로 보는 역사] 약현성당 74

대한제국 수립과 국권 회복 운동
《독립신문》과 독립협회 78
대한제국 81
러일전쟁과 을사늑약 92
국권 회복 운동 103
[인물과 사건] 어니스트 베설 112
[유물로 보는 역사] 서대문형무소 114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독립 운동
1910년대 무단통치 118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124
1920년대 문화통치 136
청산리전투와 6·10만세운동 141
연이은 전쟁과 민족말살정책 151
1930~40년대 독립 운동과 해방 155
[인물과 사건] 방정환 160
[유물로 보는 역사] 조선총독부 162

해방과 남북 분단
냉전과 남북 분할 166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분단 172
한국전쟁 176
이승만 정권과 4·19 혁명 184
5·16군사정변과 박정희 정권 192
5공화국과 민주화 운동 200
[인물과 사건] 해방둥이 김한국 씨 206
[유물로 보는 역사] 경찰청 남영동 인권센터 208

연표 210
찾아보기 212

저자소개

박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에서 한국사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한국학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고종시대 공문서 연구』(공저), 『행복한 인문학』(공저), 「대한제국기 신설 궁의 지주 경영」,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역둔토 경영의 성격」등이 있다.
펼치기
김도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홍대용 사상의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한양대 사학과 강사, 한양대 한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 규장각 선임연구원 등을 역임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정조와 홍대용, 생각을 겨루다》 《담헌 홍대용 연구》,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문화 의식》(공저), 《민에서 민족으로》(공저), 《한국의 역사와 문화》(공저)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이지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역사를 공부하고, 역사책 기획자이자 작가로 활동 중입니다. ‘역사연구소 N’에서 헤리티지 아 트를 비롯해 새로운 역사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기획한 책으로 《역사 속 우리 이야기 달마루》 시리즈와 《푸른숲 역사 인물 이야기》 시리즈 등이 있고, 쓴 책으로 《위험한 행운의 편지》, 《단비야, 조선을 적셔라》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장선환 (그림)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미술교육학과와 동 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화가이자 그림책 작가로 활동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선로원』으로 ‘2024 대한민국 그림책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쓰고 그린 책으로 『아프리카 초콜릿』 『줄을 섭니다』 『우주 다녀오겠습니다』 『파도타기』 『갯벌 전쟁』 『날아라 아빠 새』 등이 있고, 그린 책으로는 『임진록』 『땅속 나라 도둑 괴물』 『최후의 늑대』 『나는 흐른다』 『강을 건너는 아이』 『안개 숲을 지날 때』 등이 있다. https://www.instagram.com/f_art_sunhwan/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