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img_thumb2/9791160408638.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9116040863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9-15
책 소개
목차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서문을 대신하여
1장 먹느냐 먹히느냐
- 소를 먹고 소가 된 오디세우스의 동료들
- 소인 줄 알고 가족을 잡아먹은 이야기
- 말고기를 먹는 사람과 말에게 먹히는 사람
- 천둥의 신 토르와 조선시대의 엽기 떡국
- 자기 발을 잘라 파는 족발집 돼지 사장님
- 부댕과 순대로 피 한 방울 남김없이
- 아빠와 아이가 사이좋게 먹은 닭과 달걀
- 《피터 래빗 이야기》의 고기파이와 《수호전》의 고기만두
- 사람을 먹는 사람과 그 이야기를 즐기는 사람
- 양명학에서 말하는 ‘미꾸라지의 인 (仁) ’
- 사람고기를 먹지 않던 옛날 좀비
- “새우 아야, 아야!”
2장 육식의 역사와 문화
- 송나라 시인 소동파의 복어와 돼지
-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유대교와 이슬람교
- 금요일 때문에 생선이 된 기독교의 비버
- 무슬림 이웃에게 “라마단 무바라크”
- 스님은 왜 고기를 드시지 않나요
- 메디치 가문과 비스테카 알라 피오렌티나
- 닭의 간만 먹고 만든 〈다비드〉상
- ‘회를 싫어하지 않았다’는 공자
3장 모더니티와 고기고기
- 조선의 근대화와 홍종우의 프랑스 요리
- 근대 화학과 1920년대 평양냉면의 인기
- 전쟁의 기억, 영국의 스팸과 한국의 부대찌개
- 중국의 공산혁명과 두 가지 매운맛
- 쌀국수 포와 분짜에 담긴 20세기 냉전의 역사
- 케밥과 캅살롱 그리고 이민의 시대
- 모더니티와 바비큐의 정치학
4장 부자의 식탁, 빈자의 식탁
- 로마시대의 서민이 먹던 패스트푸드
- ‘비프’와 ‘포크’, 영어단어에 숨은 계급의 역사
- 서민의 식탁으로 쫓겨난 소스와 MSG
- 마파두부로 몸을 녹이는 중국의 인력거꾼
- 설렁탕을 포장해 오는 조선의 가난한 남편
- 베블런의 이론으로 본 ‘과시적’ 미식 취향
- 미식 리뷰로 인생 역전한 몰락한 부잣집 도련님
- 사냥으로 잡은 고기를 서민은 먹을 수 있을까
5장 고소한 치킨의 씁쓸한 뒷이야기
- 마이크를 죽인 사람과 마이크를 살린 사람
- 다음 시대에는 문제가 될 ‘육식의 대물림’
- 한 달을 사는 닭과 한 달 보름을 사는 닭
- 닭도리탕 또는 닭볶음탕 그리고 살코기
- 착한 듯 착하지 않은 듯 ‘착한 치킨’
- 닭이 닭을, 돼지가 돼지를 물어뜯는 세상
6장 고기고기에 대해 알고 싶은 것들
- 공룡을 먹느냐 공룡에 먹히느냐
- 데이터로 보는 꼬치 핫도그와 빵 핫도그
-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코고’
- 추억 속 냉동 삼겹살과 데이터 속 삼겹살
- 초계탕의 ‘계’란 무엇인가·
- 곱창의 ‘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제주 고기국수와 돈코쓰라멘의 차이
- 지방마다 다른 음식 ‘두루치기’의 정체는
- 함박스테이크와 버거 패티에 대해 궁금했던
- ‘어두일미 (魚頭一味) ’라는 말의 의미
7장 우리는 육식의 시대를 넘어설 수 있을까
- 식용곤충을 먹는 세상이 온다
- 콩과 코코넛으로 만든 고기, 맛있을까
- 채식 식단, 팔라펠과 후무스 그리고 아란치니
- 공장식 축산의 극복을 위한 시민 운동의 실험
- 감칠맛 때문에 고기를 끊지 못한다면
- MSG가 육식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책을 마치며
눈길을 끄는 책
저자소개
책속에서
“몸이 허하다는 핑계로 맛있는 고기를 먹는 일은 옛날 사람도 마찬가지였겠죠. 한편 남의 살을 먹을 때 우리가 느끼는 불편함을 옛날 사람도 느꼈을 거예요. 호메로스의《오디세이아》에는 이런 섬뜩한 구절이 나옵니다. 트로이 전쟁을 마친 후 고향에 돌아가던 그리스 사람들이 예언을 받아요. 헬리오스 신이 애완용으로 기르는 소를 잡아먹으면 목숨을 잃게 되리라고요. 그런데 먹을 것이 떨어지자 이 양반들이 ‘죽을 때 죽더라도 일단 고기를 먹어야겠다’는 마음으로 그 소 떼를 잡아먹었어요. 그때 무시무시한 광경이 펼쳐집니다. “소가죽이 땅 위를 기어 다니는가 하면 꼬챙이에 꿴 고깃점들이 구운 것도 날 것도 음매 하고 울었다”나요. 공포영화의 한 장면 같네요.”
“인간을 먹고, 인간을 부리고, 인간을 정죄하고. 말은 어째서 여느 짐승과 다른 느낌일까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태도에 실마리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빈치는 말에 관한 작품을 많이 남겼어요. 말이 특별히 아름다운 동물이라 여겨서 그랬다는군요. 제가 봐도 말은 먹기 미안할 정도로 아름다운 동물입니다. 그런데 잠깐만요, 인간의 눈에 아름답지 않은 동물은 불편한 마음 없이 먹어도 괜찮을까요? 괜한 딴죽 같지만 저만의 생각은 아니에요. 영국에는 ‘못생긴 동물보호협회 (Ugly Animal Preservation Society)’라는 단체가 있습니다. 2003년에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동물”로 멸종위기종인 블로브피시를 선정해 널리 알렸지요. 블로브피시는 정말 못생겼거든요. 단체의 취지가 눈길을 끕니다. 생물학자이자 코미디언인 사이먼 와트는 똑같이 멸종위기에 놓인 동물이어도 “귀여운 판다의 고통은 널리 알려졌지만 못생긴 종은 관심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이 운동을 시작했대요.”
“아르민 마이베스가 2001년에 베른트 위르겐 브란데스라는 사람을 잡아먹은 사건은 실화지만 불편함 없이 자주 언급되곤 해요. 브란데스가 잡아먹히는 일에 기꺼이 동의했고 마이베스도 그를 친절히 대했다는 사실이 심리적인 안전거리를 확보해준다고나 할까요. (...) 마이베스는 감옥에서 채식주의를 선언합니다. 생뚱맞죠. 과연 이상한 사람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었어요. 하지만 마이베스가 채식을 선택한 이유는 생뚱맞지 않습니다. 오늘날 공장식 축산에 문제가 많다고 느껴서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