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60541922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8-10-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한국의 태권도사상 제1편 ? 풍류도, 화랑·선비도, 홍익인간을 중심으로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방법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
제2장 한국의 주요사상과 태권도
제1절 풍류사상과 태권도
1. 풍류도
2. 광명정대(光明正大)
제2절 화랑·선비사상과 태권도
1. 화랑·선비도
2. 오계·오상(五戒五常)
제3절 홍익인간사상과 태권도
1. 한국의 건국·교육이념
2. 홍익인간(弘益人間)
제3장 한국의 태권도목적론
제1절 한국인들의 신체사상
1. 신체의 의미
2. 심신불분리론적(心身不分離論的) 신체관
제2절 한국 태권도에서의 신체사상
1. 신체의 의미
2. 심신일여론적(心身一如論的) 신체관
제3절 한국 태권도의 목표와 목적
1. 태권도의 목표
2. 태권도의 목적
제4장 한국의 태권도방법론
제1절 신법(身法)
1. 신법의 개념
2. 품새에서의 신법
3. 겨루기에서의 신법
4. 격파에서의 신법
제2절 심법(心法)
1. 심법의 개념
2. 품새에서의 심법
3. 겨루기에서의 심법
4. 격파에서의 심법
제3절 단계법(段階法)
1. 경(經)의 단계
2. 술(術)의 단계
3. 예(藝)의 단계
4. 도(道)의 단계
제5장 결론
한국의 태권도사상 제2편 ? 도복의 깃과 띠에 내재된 玄 개념을 중심으로
제1장 서론
제2장 玄 개념에 관한 이해
제3장 도복의 깃과 띠에 내재된 玄 개념의 함의
제1절 도복의 깃에 관한 의미
제2절 띠에 관한 의미
제3절 도복의 깃과 띠에 내재된 玄 개념의 함의
제4장 결론
한국의 태권도사상 제3편 ? 기합을 중심으로
제1장 서론
제2장 기합의 이해
제3장 태권도에서 기합이 갖는 본질적 함의
제1절 품새
제2절 겨루기
제3절 격파
제4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