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민지 조선의 경찰과 민중세계 1894-1919

식민지 조선의 경찰과 민중세계 1894-1919

('근대'와 '전통'을 둘러싼 정치문화)

신창우 (지은이), 김현수, 양인실, 조기은 (옮긴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식민지 조선의 경찰과 민중세계 1894-1919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민지 조선의 경찰과 민중세계 1894-1919 ('근대'와 '전통'을 둘러싼 정치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2786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9-06-20

책 소개

1894년부터 1919년까지의 조선민중의 생활세계와 경찰과의 대항관계에 초점을 맞춰, 그 특징을 '정치문화'라는 시각에서 바라본다. 왜 경찰이 대상인가. 그것은 경찰이 민중과 광범위한 접점을 갖고, 민중을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한 권력이기 때문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조선에서의 경찰지배와 민중-과제와 방법
제1절 문제의 소재
제2절 연구사 정리와 이 책의 주안점
제3절 이 책의 구성

제1장 조선왕조 말기 ‘경찰’ 체계의 형성
제1절 서울의 징벌·단속기구와 포도청
제2절 지방에서의 ‘경찰’
제3절 조선사회에서의 질서유지의 정치문화
제4절 통치와 민본주의
맺음말 조선왕조 말기의 경찰과 민중

제2장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머리말
제1절 제1차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제2절 제2차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맺음말 갑오개혁기 경찰제도 개혁의 좌절 요인

제3장 대한제국의 경찰지배
머리말
제1절 대한제국의 경찰구조
제2절 경찰통치의 이념
맺음말 ‘덕치적 경찰지배’의 정치문화

제4장 말단경찰과 민중의 정치문화
머리말
제1절 말단경찰의 정치문화
제2절 ‘호소’의 정치문화
정리와 전망 민중이 바라는 경찰상

제5장 조선식민지화 과정에서의 경찰과 민중
머리말
제1절 러일전쟁기의 경찰과 민중
제2절 고문경찰개혁과 민중
정리와 전망

제6장 의병전쟁과 헌병보조원 제도의 확립
머리말
제1절 인정仁政의 종언終焉과 ‘응징적 토벌’
제2절 조선인 헌병보조원의 탄생
제3절 헌병보조원과 치안유지
정리와 전망 헌병보조원의 재편과 분열

제7장 ‘무뢰’와 ‘창의倡義’의 사이
머리말
제1절 폭력의 만연
제2절 헌병보조원의 반역
정리와 전망 한국병합전의 불온한 민정

제8장 무단정치와 헌병보조원·순사보
머리말
제1절 헌병보조원·순사보제도의 운용 구조
제2절 헌병보조원·순사보의 순응과 일탈
전망 ‘왕화’와 ‘황화’를 둘러싼 딜레마와 조선인 경찰관

종장 경찰관 속의 ‘덕치’와 ‘무단’
제1절 근대 조선에서의 ‘경찰’의 정치문화
제2절 식민지 지배하 경찰의 정치문화의 변질
제3절 전망과 과제

찾아보기
저자·역자약력

저자소개

신창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세대학法政大學 사회학부 교수 히도쓰바시대학一橋大學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 졸업(사회학박사) 역사학 전공(조선근대사, 조일관계사, 재일조선인사) 논저로는, 「청일·러일전쟁과 나에시로가와 「조선인」日淸·日露戰爭と苗代川「朝鮮人」」 (久留島浩·須田努·趙景達 編, <薩摩·朝鮮陶工村の四百年>, 巖波書店, 2014年), 「식민지기 쓰시마의 조선인植民地期の對馬における朝鮮人」 (<大原社會問題硏究所雜誌> 706號, 2017年 8月), 「식민지(정복·방위)전쟁의 시점에서 본 3.1독립운동植民地(征服·防衛)戰爭の視點から見た朝鮮三·一獨立運動」(<大原社會問題硏究所雜誌> 728號, 2019年 6月)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메이지대학明治大學 겸임강사 메이지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 졸업(박사(사학)) 역사학 전공(근현대한일관계사, 재일조선인운동사) 논저로는, <일본에서의 한일회담 반대운동> (도서출판 선인, 2016년), 「전후 재일조선인의 「일본관」戰後在日朝鮮人の「日本觀」」 (杉竝歷史を語り合う會·歷史科學協議會 編, <隣國の肖像>, 大月書店, 2016年), 「재일조선인에게 있어서의 한일조약在日朝鮮人にとっての日韓條約」 (吉澤文壽 編, <五?年目の日韓つながり直し>, 社會評論社, 2016年)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인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이와테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 준교수. 제국일본 내 문화의 횡단, 한일문화교류사, 영상 속 재일코리안표상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 저술로는 「영화관객으로 재조일본인을 상상하기 일본어신문 『부산일보』를 중심으로」, 「복합영화상영관 메이지좌의 사회사」 등이 있다.
펼치기
조기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도쿄외국어대학東京外國語大學 해외사정연구소 특별연구원 도쿄외국어대학대학원 종합국제학연구과 박사과정 졸업(학술박사) 지역연구 전공(재일조선인사, 해외한국민주화운동사) 논저로는, <민단계 재일조선인의 한국민주화운동-「연대」 안의 「분단」民團系在日朝鮮人の韓國民主化運動-「連帶」の中の「分斷」> (도쿄외국어대학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4년), 「해외한국민주화운동-민주민족통일해외한국인연합을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韓日民族問題硏究> 제29호, 2015년 12월), 「재일조선인 사회의 ‘통일’론-민단계 재일조선인의 한국민주화 운동단체를 중심으로在日朝鮮人社會における「統一」論-民團系在日朝鮮人の韓國民主化運動團體を中心に」 (在日朝鮮人運動史硏究會 編, <在日朝鮮人史硏究> No.41, 2011年 10月)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