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2786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9-06-2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조선에서의 경찰지배와 민중-과제와 방법
제1절 문제의 소재
제2절 연구사 정리와 이 책의 주안점
제3절 이 책의 구성
제1장 조선왕조 말기 ‘경찰’ 체계의 형성
제1절 서울의 징벌·단속기구와 포도청
제2절 지방에서의 ‘경찰’
제3절 조선사회에서의 질서유지의 정치문화
제4절 통치와 민본주의
맺음말 조선왕조 말기의 경찰과 민중
제2장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머리말
제1절 제1차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제2절 제2차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맺음말 갑오개혁기 경찰제도 개혁의 좌절 요인
제3장 대한제국의 경찰지배
머리말
제1절 대한제국의 경찰구조
제2절 경찰통치의 이념
맺음말 ‘덕치적 경찰지배’의 정치문화
제4장 말단경찰과 민중의 정치문화
머리말
제1절 말단경찰의 정치문화
제2절 ‘호소’의 정치문화
정리와 전망 민중이 바라는 경찰상
제5장 조선식민지화 과정에서의 경찰과 민중
머리말
제1절 러일전쟁기의 경찰과 민중
제2절 고문경찰개혁과 민중
정리와 전망
제6장 의병전쟁과 헌병보조원 제도의 확립
머리말
제1절 인정仁政의 종언終焉과 ‘응징적 토벌’
제2절 조선인 헌병보조원의 탄생
제3절 헌병보조원과 치안유지
정리와 전망 헌병보조원의 재편과 분열
제7장 ‘무뢰’와 ‘창의倡義’의 사이
머리말
제1절 폭력의 만연
제2절 헌병보조원의 반역
정리와 전망 한국병합전의 불온한 민정
제8장 무단정치와 헌병보조원·순사보
머리말
제1절 헌병보조원·순사보제도의 운용 구조
제2절 헌병보조원·순사보의 순응과 일탈
전망 ‘왕화’와 ‘황화’를 둘러싼 딜레마와 조선인 경찰관
종장 경찰관 속의 ‘덕치’와 ‘무단’
제1절 근대 조선에서의 ‘경찰’의 정치문화
제2절 식민지 지배하 경찰의 정치문화의 변질
제3절 전망과 과제
찾아보기
저자·역자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