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60683257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19-12-28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고대편
1장 상주 왕조 교체와 주의 제후 봉건 _이유표
1. 상(商)의 쇠퇴와 주(周)의 흥기
2. 상말 주의 세력 확장
3. ‘무왕극상(武王克商)’-상주 왕조 교체
4. ‘삼감의 난’에서 ‘주공동정’까지
5. 성왕의 은유민 정책
6. 주왕조의 제후 봉건 및 그 목적
7. 제후 봉건으로 본 서주 왕조의 확장과 좌절
2장 고대 동아시아의 호적(戶籍)제도-출토자료를 중심으로 _김경호
1. 머리말
2. 호적의 연원 : 중국 고대 사회의 호적
3. 호적의 전파
4. 맺음말
3장 한문제(漢文帝) 형제개혁(刑制改革) _임병덕
1. 한문제(漢文帝)는 어떤 황제인가?
2. 한문제의 공적에 관한 사료의 내용
3. 수노상좌율과 비방요언율의 폐지가 가지는 의미
4. 육형 폐지의 의의
2부 중세편
4장 공자의 관을 덮고 나서-중국왕조의 공자 평가 2000년 간사(簡史) _김성규
1. 서론
2. ‘스승’에서 ‘왕자(王者)’로
3. 대성지성선사(大成至聖先師)의 탄생
4. 다시 ‘스승’으로: 해체와 재생
5. 맺음말: 청조의 공자 인식
5장 효문제(孝文帝)의 한화정책(漢化政策)-보편적 통치원리에 입각한 통일국가의 지향 _정재균
1. 서론
2. 북위의 화북 통일과 중앙집권화 과정
3. 효문제의 한화정책: 문벌주의 채용과 보편적 통일국가로의 지향
4. 신분질서의 확립과 황제 지배체제의 구축
5. 결론
6장 당(唐) 전기(前期) 예제(禮制)의 정비와 국가의례서(國家儀禮書)의 편찬 _김정식
1. 들어가며
2. 당초(唐初) 예제논쟁과 국가의례서의 편찬
3. 현종조(玄宗朝) 『대당개원례』의 편찬
4. 『대당개원례』의 구성 : 오례(五禮)체제
5. 『대당개원례』의 의의와 영향
7장 중세 동아시아의 왜구 침략과 외교 _한윤희
1. 서론
2. 고려 말 왜구의 침구와 일본 규슈의 정세
3. 고려 정부의 외교적 대책과 일본의 대응
4. 고려 말 피로인 송환과 이마가와 료슌
5. 결론
3부 근세편
8장 16~19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성립과 변용 _홍성화
1. 서론
2. 14-17세기 초 ‘명조적 화이질서’
3. 17세기 초 새로운 화이질서의 태동
4. 18-19세기 초 조공과 호시의 사이에서
5. 근대 시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6. 결론
9장 근대 조·청 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제언 _우신(于晨)
1. 서론
2. 기존 연구의 틀과 쟁점
3. 기존 연구의 틀로부터의 변용
4. 새로운 제언: 예·법공생체제의 성립
5. 결론
4부 근현대편
10장 신해혁명과 민국의 탄생 _이평수
1. 서론: ‘파이 중국’과 ‘동물원 중국’
2. 장렬한 죽음: 루하오동과 린줴민
3. 수의 삼열사: 펑추판·류푸지·양홍성
4. 무창기의와 민국의 선포
5. 비운의 정장군 총사령관 인창헝
6. 혁명 전후의 남겨진 서화들
7. 결론: 우연과 필연의 이중주
11장 중국의 설탕 이야기 _정영구
12장 근대 일본 공민교육의 탄생과 소멸-정치교육을 중심으로 _김종식
1. 서론
2. 공민과 성립기
3. 공민과 전개기
4. 공민과의 변화-정치교육의 등장과 소멸
5. 결론
13장 1949년 개국대전(開國大典) 그날 _김지훈
1. 개국대전 하루 전
2. 개국대전 개최 결정
3. 개국대전을 어디에서 개최할 것인가?
4. 새로운 국기와 국가 결정
5. 메이화춘 공관으로 걸려온 전화
6. 17대의 비행기로 26대의 편대비행 실시
7. 개국대전을 둘러싼 보이지 않는 전쟁
8. 개국대전 개최
9. 10월 1일의 기쁨과 슬픔
10. 맺음말
게재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