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협력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협력

이수훈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협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협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60683462
· 쪽수 : 335쪽
· 출판일 : 2020-02-10

책 소개

저자가 200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남북문제와 동북아 정세에 대해 쓴 칼럼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 이전에는 사회학자로서 다양한 관심사를 칼럼으로 발표하기도 했는데 이 책에서는 모두 제외시켰다. 결국 주제는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협력’으로 귀결되어 있다.

목차

제1부 대외 전략
1. 북(北) 다자협력과 주변 4강
2. 미국이 아니라 중국이다
3. 미국을 너무나 모른다
4. 두 개의 세계 질서와 한국
5. 한미동맹, 무조건 옛날처럼?
6. MB 정부, 남북 협력 싫으면 동북아 협력이라도 해라
7. 한미동맹 ‘격상’, 외교마저 사적 이익만 좇으려나
8. 한나라당, 한반도에 대한 사유와 인식이 없다
9. 남북 관계 리셋을 위한 제1원칙은 ‘남탓하지 않는다’
10. 한미동맹, ‘역동성 강화’가 답이다
11. 중국의 질문, ‘한중 사이에서 한미동맹은 무엇인가?’
12. 피해·속박의 지정학에서 평화·번영의 지정학으로
13. 글로벌 중견국가로 나아가자
14. 국제협력 외교를 활성화하자
15.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합의’ 지켜져야
16.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은 우리에게 밀린 숙제
17. 만신창이가 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18. 동북아를 넘어 동북아플러스로

제2부 동북아 외교

19. 한국전쟁이 세계 구했다
20. 한미 갈등과 초당(超黨) 외교
21. 힐대사, 언로(言路)를 열어 주세요
22. 6자회담은 계속돼야 한다
23. 동북아, 화약고로 변하나
24. 일본이 국제사회 리더가 되려면
25. 동북아시아, 갈림길에 섰다
26. 동북아 정세와 후쿠다의 일본
27. 6자회담 깰 수 없다
28. 중국의 힘
29. 시험에 든 한미 공조
30.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검토 주장, 근거 없다
31.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연기·폐기론, ‘국익’을 해치고 있다
32.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연기는 대가 요구한다
33. 천안함에서 6자회담으로 국면 전환을
34. ‘9·19공동성명’ 5주년을 맞아
35. 미중 관계와 동북아
36. 힐러리의 선물?
37. 동북아, 국익과 지역이익
38. 시진핑의 방한과 동북아 외교
39. 사드 논의, 답은 가까운 데 있다
40. 방치한 북핵 돌파구, 중국과 협력 외교
41. 제재 정책의 딜레마와 6자회담의 앞날
42. 틸러슨의 순방과 동북아 외교의 과제
43. 동북아 외교 출발은 남북 관계

제3부 한반도 평화

44. 북핵 위기 완전 해소하려면
45. 한반도 ‘모든 가능성’ 대비를
46. 북(北) 경제 회생 지원을
47. 북(北) 경수로 사업 대안은 없나
48. 북한에 에너지를 보낸다면
49. 대화와 협상만이 남북 관계 해결법
50. 남북 두 정상이 맞잡은 손
51. 금강산 비극의 교훈
52. 비핵화 시계 되돌릴 순 없다
53. 2010년, 결단의 해
54. 잘못된 ‘주적’ 개념 부활론
55. 침몰한 천안함·남북 관계·6자회담
56. 넘어야 할 분단체제
57. 오직 평화통일이어야 한다
58. 2011년을 평화롭게 관리해야
59. 5·24조치 완화하고 남북 관계 복원해야
60. 6·15 11돌, 시간이 없다
61. 북한 핵문제 어디에 와 있나?
62. 남북 관계 ‘리셋’할 때
63. 신(新)냉전 구도의 형성과 대응
64. 김정은 시대, 우리가 할 일
65. 금강산 관광도 ‘추천’하시라
66. 북, 핵국가로 만들지 않겠다면
67. 끝내야 할 한국전쟁
68. 새해 남북 관계 진전을 소망하며
69. 대북 평화 메시지 빠진 8·15 경축사
70. 개성공단, 시간이 많지 않다
71. 북한이 무너진다?
72. 한반도 평화를 재건해야
73. 위험천만한 한반도 최첨단 무장화

제4부 국가 역량

74. ‘동북아 중심’의 필요조건
75. 파병, 공은 국회로 넘어갔다
76. 명분 약한 ‘탄핵 발의’ 철회를
77. 이라크전 1년의 교훈
78. 국민은 어리석지 않다
79. 지역 외교 전문가가 부족하다
80. 바깥 세상을 보자
81. 문화국가의 비전
82. 근본 비껴간 보도로 남남갈등 조장
83. 한국이 어린애처럼 의존하면 한미 동반자 협력은 공염불
84. 51시간의 공백이 던지는 교훈
85. MB 외교 노선이 부른 불편한 현실
86. 외교와 국정의 기본을 허문 대통령 전직 비서들
87. ‘빙하’의 제물이 된 회고록

저자소개

이수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12월 13일 경남 창원에서 출생하였다. 마산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부산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와 석사를 마쳤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전공을 사회학으로 바꾸고 앨라배마대학과 존스홉킨즈대학에서 각각 사회학 석사학위와 사회학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학위 취득 이후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기 시작하여 1987년 3월부터 경남대 사회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부교수, 정교수를 역임하였다. 또한 일본 게이오대학의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기획실장, 연구실장, 국제실장, 부소장을 거쳐 2009년부터 5년간 소장을 역임하였다. 학계의 활동으로는 한국사회학회 부회장, 한국비교사회학회 회장, 세계사회학회(ISA) 집행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명예이사, 동북아지식인연대 공동대표, 한국북한사회문화학회 회장, 한국정치사회학회 회장을 각각 역임하였다. 공직에 봉사할 기회도 있었는데 참여정부 시기인 2005년 7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장관급인 대통령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공로를 인정받아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그리고 문재인 정부 들어 2017년 10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주일본 대한민국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 『세계체제론』, 『자본주의 세계경제론』, 『세계체제·동북아·한반도』, State-Building in the Contemporary Third World 외 국영문 36권이 있고, 연구논문으로 「헤게모니 퇴조와 동북아 지역정치」, 「한미동맹복원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 DPRK Nuclear Issue After the Fourth Test” 외 국영문 수십 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