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91160683721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제1장 미군정기 방송체제의 확립과 운영
1. 머리말
2. 방송 정책과 제도
가. 방송의 군정기구화
나. 방송관리체제의 확립과 운용
다. 방송 통제
라. 호출부호 개정
3. 방송 활동
가. 방송선전정책
나. 편성
다. 프로그램
4. 방송 설비
가. 송신시설의 복구와 강화
나. 정치교육 및 선전 강화 계획에 따른 방송설비 확충
다. 방송 기자재의 보강
5. 방송 청취
가. 라디오 수신기의 보급 실태
나. 전력공급
다. 방송 수용 양상
6. 맺음말
■2장 한국전쟁기 전시방송과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 및 운영
1. 머리말
2. 전쟁 초기 전시방송
가. 전쟁 발발과 전시방송
나. 이승만 대통령의 ‘대전방송’
다. 서울 후퇴 이후 전시방송
3.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
가. 미군의 통제권 장악
나. 한국정부의 통제권 양여
다. 통제권의 행사, 갈등, 회수
4. 전시방송
가. 편성
나. 프로그램
5. 방송설비 확충과 수신기 보급
가. 방송설비 복구와 확충
나. 라디오 수신기의 보급
6. 맺음말
■3장 전후 방송의 발전과 미국의 지원
1. 머리말
2. 방송설비 확충사업과 민영방송사의 탄생
가. 방송설비 확충사업
나. 민영방송사의 탄생
3. 방송 운용 역량의 강화
가. 한미 정부의 협력 증진
나. 기술정보업무개선사업
다. 방송인 도미연수
라. 1959년 제네바 주파수 배정 회의 준비
4. 방송청취조사의 실시
가. 미국공보원의 조사와 원조기관의 후원
나. CBS와 KBS의 청취조사
5. 맺음말
■4장 라디오 수신기의 생산과 보급
1. 머리말
2. 수신기의 보급과 한·미 정부의 정책
가. 수신기 보급의 실태
나. 한국정부의 수신기 보급 정책
다. 미국정부의 수신기 보급 정책
3. 천우사의 수신기 생산
가. 수신기 사업의 개시와 OEC 정책
나. 수신기 생산과 판매
4. 미국 정부기관의 저가 라디오 수신기 프로젝트
가. 프로젝트의 추진
나. 프로젝트의 무산
5. 금성사의 수신기 생산과 보급
가. 수신기 개발과 생산의 초기 단계
나. 수신기 보급의 확대
6. 맺음말
■5장 코카드 텔레비전 방송국의 설립과 방송
1. 머리말
2. 코카드 텔레비전 방송국의 설립과 주체
가. RCA 투자설의 검토
나. 코카드의 방송국 설립
3. 문화적 냉전설과 미국정부의 역할
4. 한국정부의 허가와 그 배경
5. 방송국 경영과 폐국
가. 코카드의 경영과 수상기 보급
나. 대한민간텔레비전방송국(DBC-TV)의 인수와 폐국
6. 텔레비전 방송과 미국 영상물
가. 편성과 프로그램
나. 미국공보원 제공 미국 영상물
7. 맺음말
■6장 한국 방송을 통한 미국공보원의 선전
1. 머리말
2. 미국공보원의 방송 선전 활동
3. 이념의 선전 : 반공과 민주주의
가. 반공
나. 민주주의
4. 정치적 선전 : 미국정부의 정책
5. 경제적 선전 : 원조와 근대화
가. 원조
나. 경제개발과 근대화
6. 문화적 선전 : 미국문화와 영어
가. 교육과 학술
나. 미국 역사와 인물
다. 문학과 연극
라. 음악
마. 영어
7.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