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91160684223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0-12-24
책 소개
목차
간행사
머리말
제Ⅰ부 종교인 구술사 연구의 목적, 방법, 의의
제01장 종교인 구술사 연구의 목적, 방법, 의의
1. 종교인 구술사 연구의 목적
2. 단계별 연구의 목표와 특성
3. 종교인 구술사 연구방법
4. 연구진 구성 및 역할
5. 종교인 구술사 연구내용
제Ⅱ부 군사독재 시기와 종교인 민주화 운동(1960~1980)
제01장 기억의 역사로 본 영등포 산업선교회의 노동운동- 인명진 목사의 구술을 중심으로 -
1. 머리말
2. 구술사와 기억의 의미
3. 기억의 장소로서 영등포산업선교회의 역사
4. 기억을 통해 본 산업선교의 동기
5. 기억을 통해 본 산업선교의 내용
6. 맺음말
제02장 구술사로 본 한국 민주화 운동의 성격 - 인문지리학적 시각의 공간 역사에 대한 시론적 모색 -
1. 머리말
2. 한국 민주화운동의 지리적 스케일
3. 민주인사들의 공간 생산과 공간조직 형성
4. 맺음말
제03장 민중불교운동의 배경으로서 종교적 내면 동력- 1970년대 불교운동가들의 집합기억 -
1. 머리말
2. ‘민중’+‘불교’의 의미 구성
3. ‘민중불교회 사건’(1975)에 비쳐진 종교적 내면동력
4. ‘민중불교론’(1976) 배경과 그 확산
5. 불교운동의 진전으로서 사원화운동
6. 맺음말
제Ⅲ부 광주 민주화 운동에서 6월 항쟁까지(1980~1987)
제01장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한국 교회 - 고민영 목사의 구술 기억을 중심으로 한 5·18 광주민주화운동 -
1. 머리말
2.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한국교회의 연관성
3.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한국교회의 대응
4. 맺음말
제02장 한국 민중교회 운동의 발전과 전망 그리고 종교적 내면 동력 - 이준모 목사의 구술을 중심으로 -
1. 머리말
2. 1997년 IMF체제 이전까지의 민중교회 운동 역사
3. 1997년 IMF체제 이후 민중교회 분화와 대응
4. 이준모 목사의 민중운동과 내면동력
5. 민중교회 운동의 새로운 모델과 그 가능성
6. 맺음말
제03장 1980년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지식인 연구- 서광선 목사와 김경재 목사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2. 서광선 목사의 신학함의 전환점: 아버지의 순교
3. 서광선 목사의 민주화, 통일 운동 참여
4. 김경재 목사의 신학함의 전환점: 6·25전쟁에서 맏형의 전사, 한국신학대학, 장공 김재준 목사
5. 김경재 목사의 민주화, 통일 운동 참여
6. 맺음말
제Ⅳ부87년 6월 항쟁 이후부터 현재까지(1987~현재)
제01장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교회의 대응- 김경호 목사의 구술을 통해 본 6월 항쟁의 기억과 기독교 시민운동의 형성 -
1. 머리말
2. ‘민중신학’과의 만남: 김경호 목사의 ‘내면적 고백언어’의 변화
3. 항쟁 시기 발포과정의 진실에 대한 사이 메우기
4. 1987년 6월항쟁의 기억
5. 1987년 6월 항쟁이후 한국교회의 한 단면: 개방적, 민주적 교회운동과 기독교 시민운동의 형성
6. 맺음말
제02장 여성문제와 한국 기독교 여성 지도력의 발전- 윤미향의 구술을 통해 본 일본군 성노예피해자 문제 -
1. 머리말
2. 차별을 넘게 만든 내적동력
3. 일본군 성노예피해자의 삶 그리고 한국 사회의 편견
4. 한국교회의 양면성
5. 여성지도력의 발전
6. 맺음말
제03장 조계종단 개혁(1994년) 과정의 집단기억과 그 서사
1. 머리말
2. 종단개혁(1994)의 배경과 동인
3. ‘범종추’ 구성과 개혁회의의 발족
4. 여론의 반전과 개혁 세력의 전면 등장
5. 종단개혁의 평가
6. 맺음말
제Ⅴ부 한국교회의 기원, 성장, 기억과 구술
제01장 양화진, “기억의 터”로서 교회사적 의미
1. 머리말
2. “기억의 터”에 대한 이해
3. “기억의 터”로서 양화진
4. 교회사적 “기억의 터”로서 양화진 외국인 묘지
5. 맺음말
제02장 김약연과 북간도 항일독립운동, 그리고 민주화 운동 - 김재홍의 구술을 중심으로 -
1. 머리말
2. 김재홍 구술자료의 사료적 가치
3. 북간도 한인 자치기구 간민회와 민주주의
4. 3.13용정만세시위와 비폭력 연대의 독립운동
5. 이상향 자치공동체 명동촌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