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4384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21-0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론 | 식민지 철도와 지역, 도시, 그리고 부산
제1부 식민지 도시 철도를 둘러싼 지역사회의 동역학
1장 경편철도(동래선) 건설과 부산의 식민도시화 과정
1. 식민도시 부산의 지역철도 건설구상과 釜山軌道株式會社의 동래선 건설
1) 부산 중심의 지역철도 건설구상
2) 釜山軌道株式會社의 동래선 건설
2. 朝鮮瓦斯電氣株式會社의 동래선 개선과 도시공간의 식민지적 확장
1) 조선가스전기주식회사의 설립과 동래선의 인수
2) 輕便鐵道로의 개선과 도시공간의 확장
3. 동래선의 電氣鐵道로의 전환과 도시공간의 식민지적 위계화
2장 시내외 전철 건설과 지역사회의 역학관계
1. 시내외 전철의 건설과 계획
1) 전차선로의 계획
2) 전차노선의 건설
2. 전철 건설과 운영을 둘러싼 역학관계
1) 조선총독부와 부산의 전철
2) 조선가스전기주식회사와 부산의 전철
3) 지역사회와 부산의 전철
4) 조선인과 부산의 전철
3장 시내외 전철 운영과 지역사회의 역학관계
1. 조선가스전기주식회사의 전차 운영
1) 전차의 개선과 운영
2) 구간제 운영과 전차 요금
2. 전차 운영을 둘러싼 지역 운동
1) 전차부영운동
2) 전차임균일제운동
3) 전차임인하운동
4장 임항철도 건설과 식민지적 특성
1. 적기만 매립권의 향방과 임항철도
2. ‘지역철도’로서의 임항철도 건설계획과 철도회사의 설립
3. ‘군용철도’로서의 전환과 교통국 이관
제2부 도시 간 철도와 지역민
1장 동래연장선 건설문제와 연선지역의 동향
1. 지역철도와 東萊輕鐵延長線 계획
2. 대구·경북지역과 ‘大邱浦項線’ 건설
3. 부산·경남지역과 ‘釜山蔚山線’ 건설
2장 동해남부선을 둘러싼 ‘지역정치’와 식민지적 역할
1. 철도 개통을 둘러싼 ‘지역정치’
1) 동해남부선 기공과 연선 지역의 ‘정치활동’
2) 노선 결정과 광궤 개축을 둘러싼 지역 간의 경합
2. 철도 운영의 식민지적 역할과 의미
3장 동해선 3선의 식민성과 ‘지역의 이해’
1. 동해선에 대한 조선총독부와 지역의 입장과 의미
1) 조선총독부의 입장과 식민지적 의미
2) 연선지역의 입장과 지역적 의미
2. 동해선 3선 운영의 식민성과 지역적 특징
결론 | 식민지 지역철도의 식민성과 지역성
참고문헌
출처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