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땅, 그리고 독도: 일본 독도영유권 주장의 허구와 진실

우리 땅, 그리고 독도: 일본 독도영유권 주장의 허구와 진실

(한철호 독도연구 선집)

한철호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7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0,000원 -0% 0원
0원
7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61,4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땅, 그리고 독도: 일본 독도영유권 주장의 허구와 진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땅, 그리고 독도: 일본 독도영유권 주장의 허구와 진실 (한철호 독도연구 선집)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0689204
· 쪽수 : 783쪽
· 출판일 : 2024-11-24

책 소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허구성을 가장 역사적이고 가장 논리적으로 밝힌 고(故) 한철호 교수님의 연구 성과를 일정한 체계로 구성한 것이다.

목차

발간사
총론

1부 근대 일본 정부의 독도 인식

1장 · 일본의 도서 ‘편입’ 논리
해제
01 | 일본의 ‘센카쿠제도(尖閣諸島)’(釣魚島) 편입 배경과 과정
02 | 메이지(明治) 시기 일본의 도서선점 사례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그 의미
03 | 외국의 도서선점에 대한 일본의 승인과정과 그 논리: 일본 외무성 편찬의 『국제법선례휘집(2)』을 중심으로

2장 · 일본 해군성의 독도 인식
해제
04 | 일본 해군 수로부의 오키 측량과 독도 인식
05 | 일본 수로부 간행의 수로지와 해도에 나타난 독도
06 | 일본 수로국 아마기함(天城艦)의울릉도 최초 측량과 독도인식
07 | 일본 수로부의 「조선전안(朝鮮全岸)」 간행·개정 및 활용과 독도 인식

3장 · 일본 행정기관과 시마네현의 독도 인식
해제
08 | 일본 농상무성의 「일본제국전도(日本帝國全圖)」 편찬과 독도 인식
09 | ‌메이지 초기 일본 외무성 관리 다나베 다이치(田太一)의 울릉도·독도 인식: 일본의 ‘공도’정책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10 | 일본 내무성 지리국 출신 하타 세이지로(秦政治郞)의 오키·독도 인식
11 | ‌1905년 2월 이전 시마네현의 관할지 내 독도 제외와 그 의미: 『시마네현통계서(島根縣統計書)』를 중심으로

2부 근대 일본 검정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인식

4장 · 일본 초등 지리교과서와 독도 인식
해제
01 | ‌일본 메이지 시기 오쓰키 슈지(大修二)의 일본지지략(日本地誌略)』 편찬과 독도인식
02 | ‌일본 메이지 시기 오쓰키 슈지(大修二)의 일본지지요략(日本地誌要略)』 편찬과 독도 인식
03 | ‌1905년 2월 이전 시마네현(島根縣) 소학교(小學校) 지리교과서의 현(縣) 관할지 서술 내용과 독도 인식
04 | ‌일본 메이지 시기 오카무라 마스터로(岡村太)의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인식
05 | ‌일본 육군성 참모국 출신 나카네 기요시(中根淑)의 일본지리교과서 편찬과 독도 인식

5장 · 일본 중등 지리교과서와 독도인식
해제
06 | ‌메이지 시기 야마카미 만지로(山上萬次)의 일본 지리교과서 · 부도 집필과 독도 인식
07 | 일본 메이지 시기 야즈 마사나가(矢津昌永)의 지리교과서 · 부도 편찬과 독도 인식

참고문헌

저자소개

한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20여 년간 재직했으며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역사교과서연구소 소 장을 역임하였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림대학 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근대사를 연구하면서 한·중·일의 근대화를 비교·분석하고 현재에 끼친 영향을 통찰하는 것을 화두로 삼았다. 주요 논저로 『친미개화파연구』, 『한국 근대 개화 파와 통치기구 연구』, 『한국 근대 주일한국공사의 파견과 활동』,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박영효 태 극기’, 1882)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 (1884)의 원형 발견과 그 역사적 의의」 등이 있고, 역서로는 『동아시아 속의 한일 2천년사』, 『동아시아 근현대사』, 『일본이라는 나라』, 『1905년 한국 보호조약과 식민지 지배책임』, 『미국의 대한 정책, 1834~1950』, 등이 있다. 역사교육에도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갖고 대표 저자로서 중학교 『역사』, 고등학 교 『한국근·현대사』와 『한국사』 교과서를 집필하 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