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60800883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7-11-13
책 소개
목차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 시리즈를 펴내며
머리말
제1장 영웅군담소설
01 홍길동전 - 욕망의 서사, 타자의 서사, 타자화의 서사
02 숙향전 - 전쟁고아의 운명적인 사랑
03 임경업전 -‘만고충신’이라 불린 영웅, 임경업의 팩션
04 임진록 - 임진왜란의 기억과 소설적 상상력
05 박씨전 - 허구적 상상으로 극복한 병자호란의 치욕
06 소대성전 - 영웅이 된 거지 이야기
07 조웅전 - 윤리적 이념과 중세 질서 수호를 위한 노력
08 최고운전 - 최치원을 통해 본 16세기 반(反)중화 의식
09 전우치전 - B급 영웅 이야기
10 유충렬전 - 신기한 영웅의 국가 질서 회복과 해체된 가족 복구의 서사
11 방한림전 - 동성혼을 통한 여성 담론의 속살
12 홍계월전 - 남성이고 싶었던 여성의 일생
제2장 가정소설
01 사씨남정기 - 신념을 지킨 선(善), 제도가 낳은 악(惡)
02 창선감의록 - 바르게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03 장화홍련전 - 가정불화의 원인과 현상을 파헤치다
04 채봉감별곡 - 고난을 이기고 현실적 욕망을 구현하다
제3장 세태소설
01 이춘풍전 - 고전소설 끝자락에서 새롭게 꾸민 이야기
02 옥단춘전 - 배신한 양반, 의리를 지킨 기생
03 오유란전 - 19세기 몰락 양반의 웃음과 불안
04 배비장전 - 판소리와 소설, 두 장르의 만남
제4장 우화소설
01 장끼전 - 윤리 의식의 시대적 반영물
02 서대주전 - 양식을 둘러싼 쥐와 다람쥐의 다툼
03 황새결송 - 새들의 목청 자랑과 황새의 판결
제5장 판소리계 소설
01 춘향전 - 힘으로 넘어선 신분적 질곡
02 심청전 - 눈물과 환희로 담아낸 민중의 염원
03 흥부전 - 탐욕이 넘쳐나는 시대를 넘어서는 민중의 꿈
04 토끼전 - 봉건 국가의 해체와 풍자의 행로
05 화용도 - 제갈공명에 의한 제갈공명의 이야기
06 옹고집전 - 진정한 ‘나’에 대한 반성적 고찰
07 게우사 - 왈짜의 유흥 문화
08 변강쇠가 - 길 위의 여인 옹녀와 유랑민의 삶
09 숙영낭자전 - 낭만적 사랑과 현실적 고난에 대한 공감
제6장 국문장편소설
01 소현성록 - 17세기 가문주의의 소설적 형상
02 완월회맹연 - 조선판 180부작 대하드라마
03 하진양문록 - 애정을 갈구하는 남성 영웅과 도덕군자인 여성 영웅
찾아보기
기획위원 및 집필진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등 교육 현장에 제공되는 작품에 대한 지식?정보들 가운데는 신뢰할 수 없는 것이 많습니다. 학계에서 인정되고 있는 정설이나 통설이 아닌 견해, 학계에서 이미 폐기된 견해가 제공되는가 하면, 심지어는 잘못된 지식?정보가 제공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지식?정보는 암기를 전제로 한 단편적 지식의 나열에 그칠 경우가 많아서 흥미로운 수업을 가능케 하는 바탕 자료의 구실을 하기 어렵습니다. 이해와 해석의 차원에서 쟁점은 무엇인지, 정설이나 통설이 어떻게 정설이나 통설이 될 수 있었는지,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는 무엇인지 등을 제대로 알아야 보람 있는 수업, 흥미로운 수업, 창의성을 촉발하는 수업을 할 수 있습니다.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 시리즈를 펴내며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은 고전소설 2권(한문소설, 한글소설), 한문학 2권(한시와 한문산문, 고전산문), 고전시가 1권, 구비문학 1권 등 모두 6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국 고전문학의 주요 작품들은 물론 새로 주목해야 할 작품들까지 포함하여 고전소설 68항목, 한문학 100여 항목, 고전시가 50여 항목, 구비문학 40여 항목 등 전체 260여 항목을 100여 명의 전문 연구자가 집필하여 묶어내었습니다. 집필에 참여한 인원 면에서나 규모 면에서 전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방대한 작업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 시리를 펴내며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은 각 작품의 전문 연구자가 집필한 작품론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문 연구자들의 ‘학술 논문 모음집’은 아닙니다. 중등 교육의 현장에서 의미 있는 교육 자료로 활용되도록 학술 논문과 같은 작품 해석의 수준과 엄격함은 유지하면서도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서술 분량을 줄이고 내용을 풀고 가다듬었습니다.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 시리를 펴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