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0806755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1-08-16
책 소개
목차
1 탐정 “이혼을 위한 조사 같은 일은 하지 않습니다”
2 집 “집, 신이시여 집을 축복하소서!”
3 독약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독약을 주었나요?”
4 병역면제 “난 조국을 위해 싸울 기회조차 놓쳤어”
5 섹슈얼리티 “사랑, 사랑, 무서운 말입니다”
6 호텔 “저 노부인들이 도대체 무슨 능력으로 이 호텔에 묵을 수 있죠?”
7 교육 “이튼 출신이라면 못하겠군!”
8 신분 도용 “난 작가인 척하고 있을 뿐이다”
9 배급제 “미국에서 보내온 버터 한 통을 쓰면 돼”
10 탈것 “오, 그 자동차가 내게 준 기쁨이란!”
11 영국성 “그 지긋지긋한 영국인 근성 때문이겠지요”
12 돈 “돈, 돈, 돈! 나는 아침에도, 낮에도, 밤에도 돈만 생각해요!”
13 계급 “헬렌은 하녀 이름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14 미신 “지금도 시골 어느 마을에나 마녀가 있어”
15 미시사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웅덩이 속의 물 한 방울”
16 제국 “해외여행 떠날 때가 되지 않으셨어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실제로 애거서는 현실성이라는 요소를 중시했다. 작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어디서 얻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녀는 등장인물은 가상의 인물이지만 필수적인 요소인 배경은 “이미 현존하는 것으로, 반드시 실재하는 대상이어야 한다”라고 밝힌 적 있다. 직접 나일강을 유람하고, 오리엔트 특급을 타보고, 첼시의 카페에서
식사를 해봐야지만 그런 배경을 소설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이렇게 보자면 추리소설은 사회사
에서 아주 유용하고도 풍부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보자면 이 작업은 ‘B급 문학’을 역사연구의 소재로 활용해보는 모험적 시도라는 의미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이 20세기 영국의 역사, 특히 전간기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역사가로서 아주 기쁠 것이다.
―〈책을 펴내며〉 중에서
애거서의 작품에는 유달리 집이 많이 나온다. 스타일즈, 할로, 침 니스, 엔드하우스처럼 아예 제목에 집을 내세운 작품도 많고, 살인의 동기를 찾을 때도 집을 물려받고자 하는 욕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애거서의 자서전은 어린 시절을 보낸 집 ‘애슈필드’로 시작해서 애슈필드로 끝맺으며 집에 관련된 내용을 아주 많이 담고 있다. 사실 애거서는 오늘날의 기준에서 볼 때 ‘부동산 투기꾼’이 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집을 많이 사고팔았던 사람이다. 《자서전》에 “집 보러 다니는 일은 언제나 내가 제일 좋아하는 취미다”라고 썼을 정도니 말 다 했다. ―〈2장 집 : 집, 신이시여 집을 축복하소서!〉 중에서
제1, 2차 세계대전은 성인 남성들의 대규모 입대를 요구했기에 시골에서 젊고 건강한 남자를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런데 《파도를 타고》에 등장하는 롤리 클로드는 건장한 젊은이인데도 군대에 가지 않고 마을에 남아있었다. 오히려 그의 약혼녀 린 마치몬트가 먼 해외의 전장을 누볐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 전쟁 내내 집 근처를 벗어나본 적이 없던 롤리와 달리 린은 이집트,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등 넓은 세상을 돌며 전쟁을 치렀다. 그런 린에게 롤리는 “난 전쟁터에 나가본 적이 없어. 난 마땅히 내가 가졌어야 할, 내 조국을 위해 싸울 기회조차 놓쳤어”라고 말한다. 그런데 롤리에게 군 복무를 박탈당했다는 사실보다 더 쓰라린 것은 젠더 역할의 역전이었던 듯싶다.
―〈4장 병역면제 : 난 조국을 위해 싸울 기회조차 놓쳤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