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

(아픈 자 돌보는 자 치료하는 자)

김준혁 (지은이)
휴머니스트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14,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 (아픈 자 돌보는 자 치료하는 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60807226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10-18

책 소개

의료윤리학자 김준혁은 국내 의료윤리의 지평을 열고 대중화에 앞장서 왔다. 이 책에서 그는 안락사, 임신중절, 치매 돌봄, 감염병, 유전자조작, 건강세, 의료 정보 공개 등 지금 한국의 현대 의학에서 가장 논쟁적인 의료 이슈를 소개하며, 각각의 역사적 맥락을 안내한다.

목차

들어가며 지금 의료윤리를 말한다는 것 •5

1부 누구의 문제인가

1장 연명의료 중단과 안락사 • 15
— 법과 윤리 사이에서
존엄사와 안락사는 어떻게 다른가 •16
‘자발적 안락사’는 자살 행위일까? •31
연명의료를 둘러싼 생각의 차이 •45

2장 낙태죄가 사라진 빈자리에서 • 59
— 낙태, 임신중절, 임신중지
낙태죄를 떠나보내며 •60
임신중절 허용 논의의 쟁점들 •76
임신중절, 더 넓은 시야로 보기 •94

3장 치매와 돌봄의 윤리 • 105
— 치매 환자를 대할 때 우리는 무엇을 바라는가
국가, 치매를 관리하다 •106
자율의 이상을 넘어서는 일에 관하여 •116
아픈 사람을 모시는 일이란 •131

4장 감염병과 윤리 • 143
— 코로나19가 지나간 뒤 남을 풍경들
배제와 강제의 대상, 감염병 •144
백신을 반대해도 되는가 •163
백신 분배와 국가주의 •174

2부 어떻게 할 것인가

5장 유전자조작의 실현 • 189
— 유전자조작 기술이 삶을 지배할 수 있을까,
아니 지배해도 될까
유전자조작, 이제 시작이다 •190
예방 원칙 vs 사전주의 원칙 •205
인간, 인간, 인간 •227

6장 보건의료에서 정의 말하기 • 237
— 건강의 공정, 형평은 가능할까
부족한 의료 자원, 누구에게 먼저 줄 것인가•238
의료 분야에서 정의란 무엇인가?•254
당신의 건강을 위해 세금을 납부하세요•269

7장 의료 정보는 어디까지 지켜야 할까 • 285
— 정보 공개와 사생활 보호의 충돌
어디까지 환자 정보를 알려도 될까? •286
개인과 집단의 이익이 충돌할 때 •301
사회가 개인에게 어떤 것을 요구하는 방식 •316

8장 환자와 의료인이 만나다 • 329
— 지금, 우리의 병원 풍경을 결정하는 것들
의사와 파업 •330
환자와 의료인은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340
의료 전문직이란 무엇인가 •353

맺음말 미래의 의료윤리와 서사윤리 •369

미주 •378

저자소개

김준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로 일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병원 소아치과 수련을 받았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료윤리 석사를, 부산대학교에서 의료인문학 박사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에서 펠로로 일했다. 한국의철학회 편집이사,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학술이사, 한국의료윤리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누구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2018),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2021), 역서로 『의존을 배우다』(2023)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서사 의학, 돌봄 윤리, 헬스케어 AI 윤리이며, 국내외 등재지에 주로 의료윤리 및 의철학 분야의 논문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왜 지금 의료윤리를 이야기해야 하는가? 뇌리에 강렬하게 남은 최근의 보건의료 이슈들을 떠올려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2011년 가습기 살균제 사건, 2014년 요양병원 화재 사고와 신해철 의료사고 사망 사건,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발생, 2017년 ‘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 사태, 같은 해 소위 ‘문재인 케어’로 불리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과 관련한 이슈, 2018년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2019년 헌법재판소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같은 해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자 노벨화학상 수상……. 그동안 발생한 수많은 보건의료 사건들은 사회경제에는 물론 일상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제 질병과 돌봄, 치료는 우리 삶과 떼어놓을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서문 <지금 의료윤리를 말한다는 것> 중에서


누구에게나 각자의 의료윤리가 있기 때문에 이를 주체적으로 도움이 되는 결정으로 바꿔내는 건 이론적 종합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론을 아무리 모아도 그 자체로 현실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현실이 이론을 어떻게 조명하는지, 이론에서 다시 현실로 넘어올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피며 둘 사이의 간극을 넘는 일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본 안락사 관련 이론 또한 그저 이론일 뿐 환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과는 거리가 있다. 환자의 고통을 줄일 방법을 알아내려면 현실을 살펴야 하고, 환자의 필요를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이 일은 사회학적 조사로 가능하지 않다. 무엇보다 내 앞의 환자를 이해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환자는 환자대로, 자신이 처한 상황을 이해해야 하고 허물어져가는 삶을 바로잡아야 하며 새로운 관계에 적응해야 한다. 질환의 폭풍 앞에서 큰 혼란을 겪고 있는 환자야말로 스스로를 이해할 방법을 찾고 도움을 받아야 하는 존재인 것이다.

-1장 <연명의료 중단과 안락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