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560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18-04-16
책 소개
목차
서문|감사의 말|약어제
1부 신약 성령론의 발전
제1장 신약 성령론의 배경: 구약과 ‘중간기’ 유대교에서의 성령
제2장 공관복음서 전통에 나타난 예수와 성령
제3장 사도행전에 나타난 성령의 선물: 이스라엘의 회복과 증거의 권능인 ‘예언의 영’
제4장 요한복음 1-12장에 나타난 성령
제5장 요한복음 14-16장에 나타난 성령: 보혜사에 대한 약속
제6장 요한의 교회와 그 안에 주어진 선물인 성령
제7장 바울 서신에 나타난 성령 (1): 바울의 성령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론의 문제
제8장 바울 서신에 나타난 성령 (2): 특징적 주제들
제9장 성경적 조직신학을 향하여
제10장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 ‘성령의 선물’에 대한 성경적 조직신학을 향하여
제11장 오순절 관점에서 본 삼위일체적 성령론을 향하여
제2부 신약 교회와 오늘날의 성령의 은사들
제12장 신약에 나타난 예언
제13장 신약에 나타난 방언
제14장 신약에 나타난 치유의 은사
제15장 바울 계열 교회의 삶에 나타난 하나님의 은사와 성령
제16장 은사중지론과 신약의 입장
제17장 오늘날의 방언 현상
제18장 오늘날의 예언
제19장 오늘날의 치유
제20장 결론적 고찰: 오늘날 교회의 삶에 나타난 성령과 ‘성령의 은사’
참고 문헌|성경 색인|인명 색인
책속에서
중간기 유대교 문헌에 나타나는 성령은 무엇보다 “예언의 영”이었다. 따라서 성령으로부터 기대되었던 가장 전형적인 은사들은 다양한 유형의 은사적 계시, 은사적 지혜, 그리고 급작스럽게 엄습해오는 은사적 발언이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예언의 영이 다른 종류의 권능의 행위들과 연결되는 것을 배제시킨 것은 아니었다. 또한 “예언의 영”은 단순히 거의 윤리적인 영향은 없는 부가적인 선물(donum superadditum)이 아니었다. 성령의 계시적이면서 지혜를 부여하는 역할들은 (많은 영역에서) 변혁적이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구원론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여러 메시아적인 인물들 가운데서 예언의 영은 또한 급진적으로 윤리적인 방향을 지닌, 야웨에 대한 지식과 경외의 영 및 통치를 위한 지혜와 권능의 영이 될 것임이 예견되었다.
_1장 “신약 성령론의 배경: 중간기 유대교에서의 성령” 중에서
누가의 성령론은 누가의 신학적 시도에 대해 어떤 점을 전해주고 있는가? 이스라엘의 다윗 계열의 메시아이자 모세와 같은 예언자 아래서 이스라엘의 회복을 가져오는 카리스마적 권능으로서의 “예언의 영”에 대한 누가의 그림은 이데올로기적인 동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누가는 교회가 세워지는 순간에 비추어서 교회를 설명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교회를 정당화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교회가 교회로서의 진정한 정체성을 발견하게 되는 것은 교회가 이스라엘과 유대교를 떠날 때라고 독자를 설득하는 일과는 거리가 멀게, 누가는 교회가 이스라엘에 대한 약속들의 성취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누가가 모세와 같은 예언자에게 청종하지 않는 자들을 이스라엘 민족에서 배제시키고 있고, 누가복음 1-2장의 약속들이 대부분 오순절 이후의 공동체인인 사도행전 15장에서 성취되고 있다는 그의 믿음이 이 점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 그 사실은 그가 (제4복음서의 저자와 마찬가지로) 기독교가 여전히 하나님의 “이스라엘”이라는 주장을 놓고서 (헬레니즘적인) 유대교와 활발하게 경쟁하고 있을 때에 글을 쓰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_3장 “사도행전에 나타난 성령의 선물: 이스라엘의 회복과 증거의 권능인 예언의 영” 중에서
지금까지 우리가 검토한 항목들에서 우리는 즉시로 (“예언의 영”으로서) 성령이 카리스마적인 계시, 감동된 연설 및 영적 지혜/이해를 주신다는 유대적 이해를 추적할 수 있다. 계시의 성령을 한량없이 소유하고 있는(3:34) 예수 안에서, 그 예수를 통해서, 구원의 계시적 지혜라는 최상의 선물이 나누어진다. 의심할 바 없이 요한은 예수에게 성령이 주어짐으로써 예수가 신적 지혜의 전형이 되는 가르침을 줄 수 있게 되었음을 뜻하고 있다. 그러나 요한은 또한 그 이상의 것을 확증하기를 원한다. 그는 예수의 가르침을 통해 성령이 듣는 자들의 마음속에 도달한다는 점을 말하고 싶어한다.
_4장 “요한복음 1-12장에 나타난 성령”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