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서양음악(클래식)
· ISBN : 9791161571294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2-02-11
책 소개
목차
음들의 포도밭
바이올린으로 경작하는 포도밭 | 가장 나다운 데로 데려다주는 음악
종달새의 순간, 종달새의 비상
누가 종달새 목에 종을 달았나 | 차이콥스키의 종달새 | 초원의 종지기 | 절대음악의 천부적인 증인
촉각적 상상력—에로티시즘
봄은 가장 추악한 계절 |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 치명적인 에로티시즘 | 아리랑의 에로티시즘
소월의 시, 소월의 노래
노래는 향수(香水)이며 향수(鄕愁) | 소박하지만 진지한 힘 | 가장 단순하고 정념적인 노래 | <첫 치마>, 저물어간 시간 속의 사랑 | 노래는 춤추는 언어
쇼팽의 음악, 쇼팽의 폴란드
영화 <피아니스트>와 쇼팽 | 쇼팽의 음악과 인상파 회화 | 댄디즘과 센티멘털리즘 | 가장 보수적이며 가혹하고 급진적인 | 쇼팽과 들라크루아 | 바르카롤, 태고의 노래 | 쇼팽의 미학
천재의 영감, 천재의 광기
천재의 소박함 | 절대정신과 미적 자율성 | 천재를 질투하는 범재? | 고귀한 도덕성과 정신성 | 가장 지적이고 정신적인 예술 | 천재의 출현이 요청되는 시대
최초의 악기, 최후의 악기—피리
피리의 역사 | 피리의 신화 | 가브리엘의 피리 | 피리를 불어라 | 햄릿의 피리 | 인간의 신체를 요약한 악기 | 존재의 은밀한 방
심장을 두드리는 소리—북
권력의 악기 | 공적인 악기 | 영혼을 두드리는 소리 | 북과 춤
인생의 겨울을 방황하는 자—《겨울 나그네》
겨울 여행 | 시와 음악의 가장 성공적인 만남 | 방랑 | <보리수>, 독일 민중의 자산 | 눈물의 수사학 | 거리의 악사 | 마지막 노래, 완성된 노래 | 유쾌한 방랑자
유년에서 성년으로, 성장의 마법—〈마왕〉
서정시인, 가곡의 왕 | 세이렌의 재현 | 에로티시즘과 파멸 | 유년의 종식을 알리는 비극 | 가곡예술이 도달할 수 있는 전형 | <마왕>과 <풍설야귀인>
시각에서 청각, 오감의 시대로—인공지능 시대의 음악
시각에서 청각으로 | 새로운 문명의 패러다임 | 청각이 열어가는 상호작용의 세계
맺으며 이 순간의 음악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종달새는 스프링처럼 하늘로 솟구치다가 초원으로 곤두박질한다. 비상이 생명의 본질이라면 곤두박질은 죽음의 본질이다. 비상하기 위해서는 곤두박질이 필요하다. 여기에 종달새의 운동성이 있다. 이처럼 순간의 동심원 속으로 뛰어들고 솟구치는 것이 음악이다. 종달새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자유롭게 오가며 초월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본 윌리엄스는 영국의 국민주의 작곡가이다. 그의 작품 <종달새의 비상>은 피겨스케이터 김연아가 사용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종달새의 비상>은 영국의 민속음계와 리듬을 바탕으로 만든 바이올린곡이다. 영국 시인 조지 메러디스의 「종달새의 비상」에서 영감을 얻었다. (「종달새의 순간, 종달새의 비상」에서)
라벨의 <볼레로>는 굴촉성의 선율을 들려준다. 이 선율은 파충류처럼 육체를 칭칭 감으며 파고든다. <볼레로>는 작은 북의 리듬 위에서 플루트로 주제 선율을 제시한다. 선율과 리듬의 구조는 단순하지만 파격적이다. 플루트에서 시작한 선율은 클라리넷, 오보에, 바순, 트럼펫, 색소폰, 호른, 트롬본, 튜바 등의 금관악기와 베이스드럼, 심벌즈, 탐탐 등의 타악기가 가세하여 점차 크고 두터운 음향을 만들어낸다. 음악은 집요한 반복으로 구성된다. 자극적인 선율 위에 다양한 음색의 악기들이 만들어내는 색채감과 감각적인 리듬은 무희들의 격렬하고 선정적인 몸짓을 연상시키며 황홀한 판타지의 세계로 이끌어 간다. (「촉각적 상상력—에로티시즘」에서)
노래는 육체에 스며들어 따뜻한 공기를 불어넣고 숨어 있던 씨앗을 발아시킨다. 대부분의 예술이 결핍과 고독, 허무 속으로 파고들어 존재의 본질을 파헤치지만 노래는 이 위기의 공간들을 채워준다. 대부분의 예술이 세계를 비틀고 재단하지만 노래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고 세계를 포용한다. 노래는 기본적으로 감성의 언어이며 느낌의 언어이다. 그래서 언어를 능가하는 호소력과 전달력을 지니며 존재를 껴안는다. (「소월의 시, 소월의 노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