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61691855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1-11-26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은 무엇인가?
1.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에는 4가지 종류가 있다
2.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중 규모가 가장 작은 자율주택 정비사업
3. 대세 중 대세인 가로주택 정비사업
4. 미니 재건축인 소규모 재건축사업
5. 새롭게 도입된 소규모 재개발사업
6.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큰 물줄기를 바꾸게 될 소규모주택 정비관리계획
7. 소규모주택 정비관리지역에서 공공이 시행하는 소규모 재개발 & 가로주택 정비사업
Chapter 2 왜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인가?
1. 신속한 사업진행으로 조합설립인가부터 입주까지 5년이면 가능하다
2. 사업성 개선을 위한 다향한 혜택이 있다
3. 건축규제의 완화 등에 관한 특례 적용을 받을 수 있다
4. 주택도시보증공사를 통한 파격적인 금융지원이 가능하다
5. 재개발 · 재건축과 다르게 조합원 지위 전매제한에서 자유롭다
6. 노후 건축물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7. 양보다 적재적소가 중요한 시대다
8. 내 집 마련에 더해 투기가 아닌 적절한 기대수익의 확보가 가능하다
Chapter 3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1. 어떤 곳이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대상지역이 될 수 있을까?
2. 가로주택 정비사업의 가로구역이란 무엇인가?
3. 가로구역과 사업시행구역은 다른 개념이다
4. 노후 · 불량 건축물의 의미
5. 소규모 재건축은 조합원이 핵심이다
6. 가로주택 정비사업과 소규모 재개발은 토지등소유자가 중요하다
7.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분양자격은?
8. 가로주택 정비사업의 분양자격은?
9.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조합원이 받을 수 있는 입주권은 몇 개인가?
10. 총사업비와 시공비 그리고 총수입
11. 종전자산평가액(감정평가액)
12. 종전자산평가액의 딜레마?
13. 비레율이란?
14. 권리가액이란?
15. 분담금과 추가분담금이란?
16. 사업진행절찰별 키포인트는?
Chapter 4 조합설립 이후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사업성 분석
1. 조합설립 이후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사업성 분석은 총회책자에서 시작한다
2. 실제 사례 분석 :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에서 용도지역이 중요한 이유
3. 실제 사례 분석 : 용도지역이 남달라 가능한 미친 사업성
4. 실제 사례 분석 : 이래서 ‘상업지역!, 상업지역!’
5. 실제 사례 분석 : 총회책자의 내용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배워야 할 것들!
6. 실제 사례 분석 : 규모가 작아도 용도지역 덕분에 사업추진이 가능한 경우!
7. 실제 사례 분석 : 용도지역의 한계를 극복하는 경우도 있다
8. 실제 사례 분석 : 뜻이 있기에 길이 열린 경우도 있다
Chapter 5 남들보다 먼저 좋은 지역을 선점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1. 경험치를 활용해 세대수 추정하기
2. 총사업비를 쉽고 큰 오차 없이 추정하기
3. 좋은 지역인지 실제로 분석하기 : 수도권 ①
4. 좋은 지역인지 실제로 분석하기 : 수도권 ②
5. 좋은 지역인지 실제로 분석하기 : 수도권 ③
6. 좋은 지역인지 실제로 분석하기 : 수도권 ④
Chapter 6 돈 되는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핵심 포인트
1. ‘세대당 평균 대지지분’을 따져보라!
2. 각 세대별 대지지분을 확인하라!
3. 용도지역에 주목하라!
4. 주변지역의 분양가를 확인하라!
5. 일반분양물량 규모를 따져보라!
6. 조합원수(토지등소유자수)를 확인하라!
7. 법 · 제도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라!
8. 정부의 정책 의지를 읽어라!
9. 아직 보편화되지 않은 지금이 최적의 투자 타이밍이다!
10. 소액으로 거주와 투자 모두가 가능한 곳을 노려야 한다!
11.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토지등소유자는 모두 디벨로퍼다!
12.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은 미분양 걱정이 없다!
13. 앞으로 계속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이 대세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