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62207444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8-07-18
책 소개
목차
시작하는 글 모든 일에서 쓰기 능력이 요구된다
서장 글 쓰는 데 시간이 걸리는 이유
메신저 글은 누구나 빨리 쓴다
간단하고 편리한 메신저 서비스 / 용건만 짧게 써도 하고 싶은 말은 전달된다
잘 쓰려고 의식하면 손이 멎는다
관용구는 멋져 보일지는 몰라도 명확성을 떨어뜨린다 / 기승전결도 바른 문법도 신경 쓸 필요 없다
글은 절대 무에서 시작해서는 안 된다
신문기자는 어떻게 단숨에 기사를 쓸까? / 글감이 없으면 소설가도 글이 막힌다 / 글감이 풍부하면 뚝딱 쓸 수 있다
1장 글감만 있으면 글쓰기는 끝
글감의 3요소: 독자적 사실, 에피소드, 숫자
어떻게 쓰느냐보다 무엇을 쓰느냐를 중시한다 / 글감이 있으면 400자는 10분 만에 쓸 수 있다
글은 글감이 90퍼센트다
신문 기사는 90퍼센트 이상이 글감으로 이뤄졌다 / 글감만으로 기획서를 쓸 수 있다
유창한 글솜씨는 필요 없다
매력적인 글감은 꾸밀 필요가 없다 / 긴 글을 빨리 쓰는 방법 / 글감만으로도 글은 완성된다
2장 바른 글감을 모으는 두 가지 원칙
쓰는 이유를 명확히 한다
그 글로 어떤 느낌을 주고 싶은가 / 글쓰기를 의뢰받았을 때는 반드시 진짜 목적을 확인한다 / 쓰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모든 글에는 반드시 읽어주길 바라는 사람이 있다
암흑 속에서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할까? / 그 글을 읽는 사람은 담당자인가, 상사인가, 사장인가?
독자가 정해지지 않았을 때는 어떻게 할까?
지인 중 한 사람을 대상으로 쓴다 / 그 사람이 기뻐할 글감을 찾는다 / 모두를 대상으로 한 글은 아무에게도 전달되지 않는다
목적과 독자가 바뀌면 글감도 180도 바뀐다
인터뷰 글은 누구를 대상으로 해야 할까? / 독자가 누구든 재미있는 글 쓰는 법 / 글의 재미를 더하는 상황 사고법 / 읽을 사람이 접한 정보에 접해본다 / 자신이 어떻게 보일지 알아둔다 / 배려 있는 문장을 쓰려면
3장 떠오른 글감을 꽉 잡는 법
시간 낭비 없이 글감 모으는 법
많이 모으고 나중에 줄인다 / 메모만 해도 글감은 계속 늘어난다 / 본 것이 글감이 된다
자신의 감각도 글감이 된다
글감을 항목별로 나열해본다
글감 저장에는 스마트폰 메모장이 최고 / 글감을 항목별로 이름을 붙여 저장하면 끝
글감은 자신 안에도 얼마든지 잠들어 있다
일류 크리에이터가 피트니스센터에 다니는 이유 / 잡담으로 간단하게 글감을 끌어낼 수 있다 / 하나의 글감을 열 개로 늘릴 수 있는 연상 게임 / 긴 글의 구성을 빨리 정하는 방법
글감을 두 배로 빨리 모으는 시간 사용법
아무리 시간이 없어도 글감은 모을 수 있다
의견을 글감으로 바꾸는 방법
임기응변에 강한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 잡다한 글감 모으기는 블로그나 SNS가 최적 / 대화를 녹음하면 초고속으로 글감이 모인다
4장 글감을 읽기 쉬운 순서대로 구성하는 법
모든 글감을 가시화하면 속도가 현격히 오른다
이야기하듯 쓰면 반드시 전달되는 이유
말이 잘 전달되지 않을 때 상대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 / 눈앞에 독자가 있다고 생각하면 저절로 순서가 정해진다
술술 읽히는 글의 입구와 출구
절대 상투적인 어구로 시작해서는 안 된다 / 서두의 역할은 다음 이야기를 읽고 싶게 만드는 것 / 서두만큼은 소설가나 프로 작가 흉내를 내도 좋다 / 맺는 글의 글감도 따로 준비해둔다
5장 단번에 써 내려가는 법
글감이 모이면 초고속으로 쓴다
빨리 쓰면 마감을 확실히 지킬 수 있다
초고속으로 끝까지 쓰는 요령
완벽주의가 속도를 떨어뜨린다 / 많이 쓰고 나중에 줄인다
읽기 쉬운 글을 쓰는 일곱 가지 포인트
좋은 주간지는 최고의 글쓰기 교과서
편집자가 프로 작가의 글을 수정할 수 있는 이유
6장 누구나 읽기 쉽게 퇴고하는 법
다 썼더라도 그대로 제출해서는 안 된다
독자의 시점에서 수정할 때 두 가지 효과 / 커피만 마셔도 냉정한 관점을 되찾을 수 있다
전체에서 부분으로 초점을 옮겨가며 수정한다
처음에는 큰 논리와 글감 배치가 적절한지 확인한다 / 부족한 설명을 채우고 거부감을 일으키는 부분은 없앤다 / 어미만 보면서 리듬을 만들어간다 / 분량 조절은 종반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알기 쉽게 썼는지 확인하는 방법
쓰는 사람이 잘 모르는 것은 읽는 사람에게 절대 전달되지 않는다 / 읽는 사람은 아무것도 모른다고 전제한다 / 전문용어는 반드시 풀어 쓴다
형용사는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형용사를 글감으로 바꾸어간다
실천편 사례로 터득하는 글쓰기
글감 구성 방법 ① 800자 문장
글감 구성 방법 ② 2,000자 문장
글감 구성 방법 ③ 5,000자 문장
글감을 강조하여 전달되기 쉽게 한다
바르게 분량 줄이는 법
10분 만에 간단한 기획서를 쓴다
20분 만에 500자 서평을 쓴다
40분 만에 1,000자 칼럼을 쓴다
책 한 권, 10만 자를 5일에 쓴다
힘들이지 않고 긴 글을 쓸 수 있는 포스트잇 글감 관리법
맺는 글 잘 쓰고 못 쓰고는 중요하지 않다
책속에서
글을 쓸 때 좀처럼 진도가 나가지 않는 것은 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서다. 쓸 내용이 명확히 정해져 있어야 쉽게 써진다. 집필에 시간이 걸리는 가장 큰 원인은 무, 그러니까 아무것도 없는 맨바닥에서 글을 쓰려고 하기 때문이다. 글쓰기를 집을 짓는 일이라고 생각해보자. 집은 철근, 목재, 창, 문, 수도관 등 무수한 건축 자재로 이뤄져 있다. 만일당신 혼자서 집을 짓는데, 일을 해나가다가 필요한 자재를 하나씩 구하러 다닌다면 엄청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반면 사전에 어떤 자재가 필요한지 파악하고 모두 갖춰놓으면, 실제로 집을 짓는 건 그다지 큰일이 아니다.
절대 목적을 정하지 않은 채 글을 써서는 안 된다. 목적을 정하지 않으면 글을 쓰는 행위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린다. 그러면 기법이나 표현에 집착하게 돼 글쓰기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거듭 말하지만, 업무용 글은 어디까지나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지 솜씨를 자랑하는 장이 아니다. 도구가 목적이 될 수는 없다. 먼저, 글은 잘 써야 한다는 의식을 버리자. 정말 중요한 것은 진짜 목적을 달성하는 것, 그리고 그를 위한 글감을 모으는 것이다.
한시라도 빨리 글감을 모아 저장해두면 글쓰기가 전혀 두렵지 않게 된다. 쓸 내용이 눈앞에 있으니 자꾸 미루거나 진도가 나가지 않는 일도 생기지 않는다. 오히려 빨리 쓰고싶어 몸이 근질근질해진다. 글감이 혹시 너무 많더라도 나중에 줄이면 된다. 글감은 신속하게 많이 모았다가 나중에 줄이는 게 가장 낭비 없는 글쓰기 프로세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