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3143857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11-1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역사와 나
1부
여자 일에 질문을 던진 여성들
숨어 살아야 했던 사람, 옥호 부인
현모양처 말고 뛰어난 예술가, 신사임당
혼인으로 피우지 못한 글재주, 허난설헌
조선 시대 뛰어난 예술인, 기생 황진이와 석개
죽은 자는 말이 없다, 평양 기생 계월향
서로 애정하며 나눈 글, 미암 유희춘과 시인 송덕봉
용감하게 지켜 낸 삶의 기록, 남평 조씨
잘 벌어서 잘 쓴 제주 여성, 김만덕
조선 시대 여행가, 김금원
마음껏 책 읽고 공부한 조선 여성, 이빙허각
조선 시대 여성 유학자들, 윤지당과 정일당
조선 시대 이혼소송, 유정기와 아내 신태영
묘지명에 남겨진 짧은 삶, 김운
아내의 죽음을 애도하며 쓴 글, 묘지명과 제문
2부
옛글로 알아보는 여성의 삶
여자로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방법, 효녀
효도는 청이가 하고 복은 아비가 받고 《심청전》
조선 시대에 여자만 얻을 수 있는 명예, 열녀 《춘향전》
열녀의 죽음, 절개일까 저항일까 〈향랑전〉
가엾은 기생 팔자 《용재총화》 《어우야담》
조선 시대 성폭력 사건 〈재상가 서녀 진복의 일생〉
김은애 살인 사건, 진짜 살인자는 누구? 〈은애전〉
이씨 부인의 극한 생존 시집살이 〈복선화음가〉
비틀어 보는 영웅 소설 《박씨부인전》
진정한 영웅 다모 김조이 〈다모전〉
하늘을 날던 여자들 《용재총화》 《삽교만록》
거침없고 대범한 귀신 《아랑전설》 《장화홍련전》
되풀이되는 평강공주들 《청구야담》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는 별 재주 없는 사람이지만, 그래도 책을 읽으며 위안을 얻고, 배우고 싶으면 배울 수 있고, 어찌어찌 밥은 벌어먹고 살 수 있다는 자신감은 가지고 살아왔다. 그 마음으로 그 시절을 버텼다. 그러면서 그럴 수 없는, 없었던 사람들을 생각했다. 옛날 사람들은 어땠을까. 태어날 때부터 주어진 조건에 평생 얽매여 살아야 했던 사람들도 답답함을 느꼈을까. 당연한 일이라고 받아들였을까. 그러면서 사백 년쯤 전에 살았던 시인 허난설헌에 대해 자주 생각했다. 누구나 아는 것 같지만 실은 잘 모르는 사람이다. _ 허난설헌
금원은 《호동서락기》 첫머리에 여행을 떠나기 전 상황과 함께 자기에 대해서 짧게 썼다. ‘나는 관동 봉래산 사람으로 스스로 호를 금원이라 칭하였다’고 썼다. 금원의 고향은 원주인데, 봉래산 즉 금강산 사람이라고 한 것부터 평범하지가 않다. ‘금원’이라는 이름도 스스로 지은 것이다. 식구들과 집안에 대한 설명은 아주 짧다. ‘어려서 잔병이 많아 부모님께서 나를 어여삐 여겨 여자 일에 힘쓰게 하지 않고 문자를 가르쳐 주셨다’고 한다. 금원은 총명하여 글을 배운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서삼경과 역사서를 두루 읽었고 시를 즐겨 지었다고 한다. 금원은 짐승이 아니라 사람으로, 그 가운데서도 ‘문명국’인 조선 사람으로 태어난 것이 자신의 복이라고 하면서도 남자가 아닌 여자로, 부귀한 집이 아닌 한미한 집에서 태어난 것은 불행이라고 했다. _ 김금원
유교는 사람의 도리, 사람이 가야 할 길, 사람이 이루어야 할 일들을 가르친다. 그렇다면 유교에서 말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소학》의 가르침을 듣고 다시 질문한다. ‘나는 사람이 맞을까? 내 행위와 윤리의 주체가 될 수 있을까?’ 사실 이 질문은 내가 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유학을 공부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하게 될 것 같지 않다. 이런 철학과 사상이 있었더라는 기초 지식밖에 없다. 내가 《소학》을 읽는다 해도 내 윤리의 지침으로 삼지는 않을 것이다. 기분 나쁜 소리만 잔뜩 있구먼, 그땐 다들 이렇게 생각을 했나보군, 하고 치워 버리면 그만이다. 나는 유교의 가르침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질문은 음식이나 장만하고 제사나 정성껏 모시면 된다는 데도 ‘굳이’ 학문을 하고자 했던 어떤 여자들을 대신해서 하는 질문이다. 그들이 학문을 하며 어떤 생각을 했는지, 어떤 의미를 찾았는지 나는 알 수 없지만, 그들이 과연 나와 같은 의문을 가졌는지도 알 수 없지만, 그래도 묻고 싶다. 스스로 판단하지도 생각하지도 말고 오직 순종하라는 가르침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나의 존재를 부정하는 가르침을 받아들여 내 존재의 의미를 찾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그들은 그 모순을 어떻게 극복하려고 했는지. _ 윤지당과 정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