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책과 한국 현대사 이야기

우리 책과 한국 현대사 이야기

(책은 어떻게 지금의 우리를 만들었나, 개정판)

부길만 (지은이)
유아이북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우리 책과 한국 현대사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책과 한국 현대사 이야기 (책은 어떻게 지금의 우리를 만들었나,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322098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3-07-10

책 소개

유구한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의 책 문화는 현대로 접어들며 크고 작은 변화를 맞이해 왔다.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 유신시대까지 대한민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지나 우리 책은 과연 어떤 길을 걸어왔을까? 《우리 책과 한국 현대사 이야기》에서 그 발자취를 따라가 본다.

목차

머리말 · 005

◇ 제1부 일제강점기 출판

제1장 일본의 지배와 지식인의 대응
- 한국은 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나요? · 015
- 일본의 지배에 대하여 지식인들은 어떻게 대응했나요? · 017

제2장 출판 탄압과 저항
- 일제는 출판 탄압을 어떤 식으로 했나요? · 024
- 어떤 책들이 금서가 되었나요? · 028

제3장 일제강점기의 출판사들
- 일제강점기에도 한국인 경영 출판사들이 많이 있었나요? · 036
- 일제강점기에는 어떤 출판사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나요? · 039
①신문관 ②회동서관 ③박문서관 ④한성도서주식회사 ⑤정음사

제4장 일제강점기의 독서
- 일제강점기에 누가 책을 많이 읽었나요? · 054
- 일제강점기 사람들은 어떤 종류의 책을 많이 읽었나요? · 059
- 일제강점기에도 베스트셀러 작가가 많았나요? · 065
-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는 어떤 책들인가요? · 074
①『무정』 ②『상록수』 ③『순애보』

◇ 제2부 해방 이후 출판

제1장 미군정기의 출판
- 해방이 되고 왜 곧바로 독립국가가 되지 못했나요? · 085
- 해방이 되고도 한글은 왜 공용어가 아니었나요? · 086
- 해방 직후 어떤 출판사들이 활동했나요? · 090
- 해방 직후 어떤 종류의 책들이 얼마나 나왔나요? · 100

제2장 제1공화국 시기 출판
- 제1공화국 시기 한국은 어떤 상황이었나요? · 108
- 정부의 출판정책은 어떠했나요? · 111
- 6·25전쟁 기간에도 출판활동을 했나요? · 113
- 어떤 종류의 책들을 출판했나요? · 115
- 어떤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나요? · 119

제3장 1960년대 출판
- 1960년대 한국 상황은 어떠했나요? · 125
- 4·19혁명은 출판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 130
- 5·16 이후 출판 상황은 변화가 있었나요? · 135
- 1960년대의 출판시장은 어떠했나요? · 139
- 어떤 종류의 책들이 많이 나왔나요? · 142
- 어떤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나요? · 143
- 1960년대 대표적인 베스트셀러 작가는 누구인가요? · 149
①저술가 이어령 ②철학교수 김형석

제4장 1970년대 출판
- 1970년대의 시대 상황은 어떠했나요? · 173
- 1970년대 시대상황은 출판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 179
- 한글세대 등장으로 출판문화는 어떻게 달라졌나요? · 184
- 문고본 출판은 왜 1970년대에 활성화되었나요? · 189
- 한국에서 도서정가제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 192
- 1970년대에는 어떤 종류의 책들이 많이 나왔나요? · 194
- 1970년대에는 어떤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나요? · 195
- 1970년대 대표적 베스트셀러 작가는 누구인가요? · 205
①소설가 최인호 ②소설가 황석영

참고 문헌 · 229
찾아보기 · 236

저자소개

부길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출판역사연구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 독어과를 졸업하고 영국 셀리오크대학을 거쳐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에서 출판잡지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마치고 한양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사(言論史)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원대학교 광고편집과 교수로 정년퇴임했으며, 경희대 신문방송대학원, 동국대ㆍ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서강대 언론대학원 강사를 역임했다. 그리고 문화재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출판정책 자문위원, (사)한국출판학회 회장, (사)어린이도서연구회 이사장 등으로 활동한 바 있다. 저서로는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 연구>(2004년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책의 역사>(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지역사회와 민주주의를 말하다>, <지역사회의 책문화 살리기>, <우리 책과 한국사 이야기>(2020년 북토큰 선정도서), <우리 책과 한국현대사 이야기>(2022년 세종도서교양부문 선정도서), <해공 신익희와 민주공화국>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는 독약을 마시고 자결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가 죽어야 할 의무는 없지만, 나라가 선비를 기른 지 500년에, 나라가 망하는 날, 한 사람도 죽는 사람이 없어서야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 황현은 『매천야록』을 남겨 지금도 그의 굳건했던 역사의식을 느끼게 해 줍니다.


일제가 이처럼 출판을 탄압했지만, 출판인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서적들을 다수 출판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서적들이 발매 금지 및 압수당했습니다. 말하자면 ‘금서’가 된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322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