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9116372143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一. 서론
01. 중국시화의 기원과 발전
02. 한국에서 시화의 발전
03. 시란
二. 한·중 양국 시화의 다양한 평론
01. 시화 속의 『시경』
02.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대한 품평
03. 『창랑시화』와 『지봉유설』
04. 『농암잡지』의 평론
05. 홍만종 『시화총림』의 평론
06. 한·중 시화 속의 학시논쟁
07. 한·중의 이백과 두보에 대한 우열논쟁
08. 시로 시를 논하다.
三. 한·중 시화 속의 시인품평
01. 시화 속의 풍격(風格)
02. 시화 속의 시인군(詩人群) 총평
03. 시화 속의 시인형상
四. 한·중 시화 속의 일화
01. 한유(韓愈)와 가도(賈島)
02. 송지문(宋之問)과 유정지(劉庭芝)
03. 정지상(鄭知常)과 김부식(金富軾)
04. 두보(杜甫)와 소식(蘇軾)의 속어(俗語)
05. 진자앙(陳子昂)의 「등유주대(登幽州臺)」
06. 왕발(王勃)과 등왕각(滕王閣)
07. 하지장(賀知章), 이백(李伯)을 적선인(謫仙人)으로 평하다.
08. 시선 이백, 시를 고치다.
09. 시(詩)로 간(諫)하다.
10. 백거이(白居易), 시 한 편으로 명성을 얻다.
11. 이수광(李睟光)과 황학루(黃鶴樓)
12. 자연시파(自然詩派) 왕유(王維)의 고사(故事)
13. 맹교(孟郊)의 시, 궁한 뒤에 뛰어나게 되다.
14.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과 운문암(雲門庵)
15. 이의부(李義府)와 당(唐) 태종(太宗)
16. 왕창령(王昌齡)·왕지환(王之渙)·고적(高適)이 시의 명성을 다투다.
17. 술집, 이백(李白) 시 한 편으로 부자가 되다.
五. 한·중 시화 속의 시작 상관성
01. 여산폭포와 박연폭포
02. 영홍(映紅)과 상홍(相紅)
六. 시화와 시 감상
01. 시의 감상법
02. 감상의 실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