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재 황윤석 연구

이재 황윤석 연구

하우봉, 박순철, 최영성, 구만옥, 이헌창 (지은이), 재단법인 실시학사 (엮은이)
학자원
5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9,500원 -0% 0원
2,970원
56,5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재 황윤석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재 황윤석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62472965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23-05-30

책 소개

이재 황윤석은 좌우명으로 “군자가 되어 한 가지 사물이라도 알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부끄러운 일이다”라고 할 정도로 격물치지적인 박학을 중시하였다. 이재는 성리학과 박학을 체용의 관계로 인식하였다. 성리학이 체이고, 상수학 즉 천문역상과 수학 등을 용으로 생각하였다.

목차

간행사 •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 9
이 책을 내면서 ·······················································································13

이재 황윤석의 생애와 사상|하우봉|

1. 연구사 검토 ·······································································31
2. 생애와 학문 형성 ······························································ 43
3. 학문의 체계와 특성 ··························································· 82
4. 역사와 사회에 대한 인식 ···················································· 98
5. 사회개혁론 ······································································· 108
6. 이재 사상의 성격과 의미 ················································· 124

이재 황윤석의 시가(詩歌) 연구|박순철|

1. 들어가는 말 ··································································· 139
2. 학시(學詩)와 전범(典範) ·················································· 148
3. 시가(詩歌)의 특색 ·························································· 172
4. 맺음 말 ········································································· 227

이재학의 철학적 구조

– 철학(哲學)과 경세(經世)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영성|
1. 머리말 ············································································· 237
2. 학문 경향과 낙학(洛學)의 전통 ············································ 240
3.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과 북학(北學)의 문제 ·························· 247
4. 역학(易學)과 상수학(象數學), 그리고 경세학(經世學) ··············· 257
5. 경세학(經世學)의 관점에서 본 성리대전(性理大全) ··············· 267
6. 박물학과 성리학의 관계 ····················································· 272
7. 맺음말 ·············································································· 276

이수신편(理藪新編)의 편찬과 내용 구성|구만옥|

1. 머리말 ·············································································· 285
2. 이수신편(理藪新編)의 편찬 과정 ········································· 289
3. 편목(篇目)의 설정과 편집 방식 ············································· 307
4. 참고 문헌의 활용 ······························································· 329
5. 성리대전주해(性理大全註解)로의 여정 ································· 340
6. 맺음말 ·············································································· 353

조선시대 학술과 황윤석의 위상|이헌창|

1. 머리말 ··············································································· 363
2. 문호개방 이전 조선시대 학술의 동향과 황윤석의 위상 ············ 364
3. 조선·중국·일본 소분기(小分岐)의 학술 배경 ····························· 514
4. 황윤석 학문의 방법론과 성격 ··············································· 539
5. 황윤석의 경세관과 경제론 ················································· 594
6. 맺음말 ············································································ 621

부록
이재 황윤석 연보 ································································· 639
이재 황윤석 연구 저술, 논문 목록 ·········································· 655
이재 황윤석 연구 집담회 ···················································· 673
찾아보기 ·············································································· 721

저자소개

하우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문학박사,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한일관계사학회, 한국실학학회 회장 역임 『조선시대 해양국가와의 교류사』, 경인문화사, 2014. 『원중거, 조선의 일본학을 열다』, 경인문화사, 2020.
펼치기
이헌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에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경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3년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로 옮겨 지금까지 재직 중이다. 경제사학회와 한국고문서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한국경제통사』, 『조선시대 최고의 경제발전안을 제시한 박제가』, 『경제.경제학』이 있다. 편저는 『류성룡의 학술과 사상』,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등이 있다. 이외에도 경제사, 사상사, 정치사 등의 분야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구만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천문기상학과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학과 대학원에서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후기 자연관, 자연인식, 자연학 관련 담론을 탐구하여 조선후기 사상사의 변동 과정을 해명하는 작업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 Ⅰ주자학적 우주론의 변동』, 『영조 대 과학의 발전』이 있고, 공저로 『한국실학사상연구 4(과학기술편)』,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하늘, 시간, 땅에 대한 전통적 사색』, 『한국유학사상대계 (과학기술사상편)』, 『성호 이익 연구』, 『세종의 서재』 등이 있으며, 「조선후기 ‘선기옥형’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주요 쟁점 - 정조의 천문책과 그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 연구의 쟁점에 대한 검토와 제언」, 「마테오 리치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을 비롯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순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중문과 교수. 전남대학교에서 중국문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가의 원류 『시경』을 전공하여 ‘시언지(詩言志)’, ‘사무사(思無邪)’ 등에 관심을 갖고 정서함양과 도야를 위한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나아가 중국고전문학과 경서를 통한 ‘윤집궐중(允執闕中)’의 평온하고 균형 잡힌 군자의 삶을 실천하고 정립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주요 연구 논문으로는 『시경』 관련 논문이 많고 번역서로는 『이재난고』에 관련 역서가 많다.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장과 코아사업부단장을 지냈다.
펼치기
최영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
펼치기
재단법인 실시학사 (기획)    정보 더보기
실학사상의 계승·발전을 위한 학술연구와 지원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2010년 설립된 공익재단법인이다. 재단은 벽사 이우성 선생이 1990년 서울 대치동에서 문을 연 ‘실시학사’가 그 모태로, 2010년 모하 이헌조 선생의 사재 출연으로 공익재단법인으로 전환되었다. 실학사상의 학술연구팀을 구성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연구 성과를 모아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로 출간하고 있다. 또한 재단은 실학 관련 고전을 번역한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를 속속 출간하고 있고, 실학 관련 연구자들의 업적을 현창하고 신진학자를 격려하기 위한 사업으로 ‘벽사학술상’과 ‘모하실학논문상’을 제정하여 시상하는 등 실학 사상의 전파와 교류를 위한 출판, 행사, 교육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재단은 1990년대부터 경학 관계 저술을 강독 번역해온 ‘경학연구회’와 한국한문학 고전을 강독 번역해온 ‘고전문학연구회’, 두 연구회의 공동학술연구모임 등 재단 산하 연구회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우수한 실학연구자 육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재단은 앞으로도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서 실학사상이 개화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에 걸쳐서 우리나라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였으며, 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게 될 것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