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운정 성락서의 현실인식과 리더스피릿

운정 성락서의 현실인식과 리더스피릿

CNU리더스피릿연구소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2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50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9,7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운정 성락서의 현실인식과 리더스피릿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운정 성락서의 현실인식과 리더스피릿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리더십
· ISBN : 9791165032043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23-10-30

책 소개

한 사회 리더에 대한 기대치를 상향 조정하거나 역할 행동을 강화시키는 노력은, 구성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사회 전반 의식수준을 끌어올리는 작업과 연결되어야 한다. 리더스피릿연구소가 이미 여러 해 전부터 ‘충청의 리더스피릿’ 시리즈를 기획하였다.

목차

서언 21세기에 운정의 리더스피릿을 되새기는 까닭 010
서영식|CNU 리더스피릿연구소장
축사I 심대평|前충청남도지사 014
축사II 정재근|한국유교문화진흥원장 017
축사III 이진숙|충남대학교 총장 020

PART1
I. 운정 성락서의 공공활동 리더십|이정우 025
II. 인문학으로 대학을 디자인하다:
운정 성락서의 인문학적 비전의 총장 리더십|이종성 049

PART2
III. 인본과 윤리:
운정 성락서의 유가사상에 반영된 리더십 정신|이종성 085
IV. 운정 성락서의 성균관장으로서의 리더십
-유림월보를 중심으로- |최영갑 111

PART3
V. 운정 성락서의 조선음악서 편찬과 그 성과|이수정 141
VI. 운정 성락서의 유가유신론|이향배 171


주석 197
참고문헌 231
연보 241
운정 선생의 얼과 활동이 간직된 장소와 건축물 247
집필진 소개 255
출처 261

저자소개

CNU리더스피릿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명수 | 충남대학교 사학과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쿠빌라이 정부의 교통·통상 진흥 정책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몽골 시대 정치·사회, 민족관계, 외교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몽골-고려 관계 연구』(2019)가 있다. kohms@cnu.ac.kr 김문준 | 건양대학교 휴머니티칼리지 인문융합부 교수 성균관대학교에서 한국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동서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중봉조헌선생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kmj@konyang.ac.kr 김시덕 | 문헌학자 임진왜란부터 현대에 이르는 동아시아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일본에서 출간한 저서 『일본의 대외 전쟁』은 2011년 일본에서 제4회 일본고전문학학술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며 2017년도에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후속작 『전쟁의 문헌학』은 2017년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되었다. 2021년에는 제70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학술부문을 수상했다. hermod_k@naver.com 김응종 | 충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1978년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졸업 후 1984년 프랑스 낭트 대학교에서 석사, 1987년 프랑스 프랑쉬콩테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래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충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장, 인문대학장,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아날학파』(민음사, 1991), 『오늘의 역사학』(공저, 한겨레신문사, 1998), 『아날학파의 역사세계』(아르케, 2001), 『서양의 역사에는 초야권이 없다』(푸른역사, 2005), 『페르낭 브로델』(살림, 2006), 『서양사개념어 사전』(살림, 2008), 『관용의 역사』(푸른역사, 2014), 『프랑스혁명사는 논쟁 중』(푸른역사, 2022) 등이 있고, 역서로는 『16세기의 무신앙 문제』(문학과지성사, 1996), 『고대도시』(아카넷, 2000), 『랑그도크의 농민들』(공역, 한길사, 2009), 『유럽은 어떻게 관용사회가 되었나』(푸른역사, 2015), 『라로슈자클랭 후작부인의 회고록』(한국문화사, 2018) 등이 있다. fides@cnu.ac.kr 김찬동 | 충남대학교 도시·자치융합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쿄대학교 대학원 법학정치학연구과에서 정책 과정에서의 정관 관계와 행정책임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연구원(시정개발연구원)에서 10년간 연구위원으로서 서울시 행정과 정책을 연구했고, 현재 충남대에서 자치행정 인재들을 길러내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지방자치』(공저, 2022) 『주민자치정책론』(2019), 『주민자치제도의 재설계』(2017), 『주민자치의 이해』(2015) 등이 있다. cdkim15@cnu.ac.kr 김충현 | 충남대학교 리더스피릿연구소 교수 충남대학교에서 프랑스 종교전쟁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밭대학교에서 교양강의를 하고 있다. 저술로는 『공공성과 리더스피릿』(공저, 2022), 『인문학 속 민주시민 교육』(공저, 2022), 『고전의 창으로 본 리더스피릿』(공저, 2021), 「17세기 후반 위그노 망명과 영국의 명예혁명」(2020), 「루이 16세의 <관용칙령>과 얀센주의 운동」(2019) 등이 있다. sky1717@hanmail.net 김희정 | 충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였고, 동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충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반테러리즘과 자유, 안전에 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연구 관심분야는 안전, 정당, 정보인권, 구금인권, 선거, 교육권 등이다. 국가인권위원회 자유권 위원으로 구금, 군인, 국제인권 분야의 일을 하고 있다. sidhj001@naver.com 남기택 |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충남대학교에서 한국 현대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교수이자 강원문학연구회 회장, 계간 『문학의 오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제도 너머의 문학』(2020), 『강원권 시문학과 정전의 재구성』(2021),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공저, 2022) 등이 있다. litoem@kangwon.ac.kr 민경택 | 충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충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White Fang & Other Stories』(편저, 2020), 『19세기 미국소설 다시읽기』(2019), 『The Call Of The Wild & Other Stories』(편저, 2018), 『미국소설과 서술기법』(공저, 2014), 『영화로 읽는 영미소설1-사랑이야기』(공저, 2010), 『모비딕 다시 읽기』(공저, 2005), 『미국소설 명장면 모음집』(공저, 2004), 『비극적 세계에서 희망찾기-멜빌과 그린의 작품세계-』(2004), 『알파 미국문학사』(공역, 2003) 등이 있다. 그 밖에 미국소설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mkt201@cnu.ac.kr 박규철 | 국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국민대학교 후마니타스 리더십 연구소 소장이며 한국동서철학회 부회장이다. 연세대학교에서 ‘플라톤 『고르기아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된 연구 분야는 플라톤 정치철학과 신플라톤주의 그리고 고대 회의주의와 인문학 리더십 등이다. 저서로는 『고전의 창으로 본 리더스피릿』(공저, 2021)와 『그리스 로마 철학의 물음들』(2017)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철학과 신학』(공역, 2016)과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적 대화』(공역, 2015) 그리고 『신플라톤주의』(공역, 2011)가 있다. ttakala@hanmail.net 박병기 |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윤리학과 도덕교육을 전공하여 서울대학교에서 ‘사회윤리의 책임주체 문제’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고,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에서 불교철학과 윤리를 공부했다. 관심 분야는 시민교육과 도덕교육이고, 한국교원대 대학원장, 교육부 민주시민교육자문위원장을 역임했다. bkpak15@knue.ac.kr 박지성 |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으로 학·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인사컨설팅회사에서 선임컨설턴트를,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방문연구원을 역임하였다. 인적자원관리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출간했으며,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jspark1@cnu.ac.kr 박현모 |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1999년 서울대학교에서 ‘정조(正祖)의 정치사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2001년부터 14년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조와 세종, 정도전과 최명길 등 왕과 재상의 리더십을 연구했다. 2013년부터는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 일본 ‘교토포럼’ 등에서 외국인 대상으로 ‘한국형 리더십’을 강의하는 한편, 시민강좌 ‘실록학교’를 운영해 왔다. 현재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및 세종리더십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세종 리더십’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태종평전』, 『정조평전』 등이 있고, 「경국대전의 정치학」, 「정약용의 군주론: 정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등 8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hyunmopark@daum.net 변은진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한국 근현대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 후 고려대·영남대·가천대·방송대 등에서 연구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허헌 평전, 항일운동의 선봉에 선 인권변호사』(2022), 『일제말 항일비밀결사운동 연구』(2018), 『독립과 통일 의지로 일관한 신뢰의 지도자, 여운형』(2018), 『자유와 평화를 꿈꾼 ‘한반도인’, 이소가야 스에지』(2018),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2013) 등이 있다. bbdbej@naver.com 서영식 | 충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스위스 루체른대학교에서 서양고전철학 연구로 박사학위(D
펼치기

책속에서

운정이 세상을 떠난 지 35년의 세월이 지난 현재의 시점에서 돌이켜보면, 그동안 우리 충청지역에서 그에 필적할만한 리더가 과연 몇 명이나 배출되었는지 의문이 든다. 그리고 동일한 물음을 21세기 한국사회에도 던질 수 있을 것이다. 눈부신 경제발전과 민주주의의 제도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리더 그룹과 기득권층을 향한 비판의 시선이 어느 때보다 매섭다. 과거 운정 같은 큰 인물이 보여주었던, 사무사(思無邪)에 입각한 리더십과 리더정신(leaderspirit)이 오래전에 자취를 감추어 버린 까닭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