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리더십
· ISBN : 9791165031435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2-01-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영식 리더스피릿연구소장 4
추천사 Ⅰ 설동호 대전광역시 교육감 6
추천사 Ⅱ 안성호 제주세종특위위원장 8
추천사 Ⅲ 이상민 국회의원 11
추천사 Ⅳ 정재근 대전세종연구원장 13
추천사 Ⅴ 이진숙 충남대학교 총장 16
이론과 사상
Ⅰ. 공공성과 리더십 / 임의영 29
Ⅱ. 플라톤의 공공성 프로젝트와 대한민국 공공리더십의 향방 / 서영식 57
Ⅲ. 율곡사상에 나타난 공공성 리더십의 문제 / 이종성 83
Ⅳ. 디킨스의 소설에 등장하는 19세기 영국 사회상과 공공성의 문제/ 김택중 113
역사와 현실
Ⅴ. 옥타비아누스의 大志小心과 거래적 변혁리더십 – 공유비전 제시와 공공성 구현을 중심으로 - / 서영식 143
Ⅵ. 해가지지 않는 영국의 설계자, 엘리자베스 1세의 공공리더십- 공치(共治), 통치(通治), 인치(仁治)를 중심으로 - / 김충현 173
Ⅶ. 도산의 대공사상을 통해 본 공공의 리더십 / 황수영 199
Ⅷ. 가인 김병로 - “요즘 헌법 잘 계시느냐” - / 김희정 225
사회와 실천
Ⅸ. 지방자치와 리더십: 자치리더십과 공공성 / 김찬동 255
Ⅹ. 소셜미디어 시대의 리더스피릿 / 김재영 289
ⅩⅠ. 리더의 카리스마 독인가, 약인가? / 전기석 311
주석 335
참고문헌 356
색인 369
저자소개 372
저자소개
책속에서
[ 저자서문 ]
충남대학교 리더스피릿연구소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가치개념, 즉 리더십과 리더에게 요구되는 정신(leaderspirit)을 학술적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논구하고, 나아가 교육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2021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정치의 수준은 국민의 수준에 비례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리더의 수준 역시 그가 속한 사회와 교육의 수준에 비례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수준 높은 리더의 등장은 사회구성원에 대한 체계적인 가치교육과 그에 따른 의식수준 향상과 밀접히 연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희
연구소가 ‘리더에게 요구되는 정신’ 연구에 매진하려는 이유입니다.
리더십은 다양한 유형의 공동체가 등장하기 시작한 이래 인류가 가장 주목해 온 보편적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진정한 리더는 조직의 관리 기술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긍정적인 변화와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리더에게
요구되는 정신’이란 구성원들이 지금 여기서 가장 필요로 하는 바, 즉 ‘시대정신’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새로운 ‘공유비전’(shared vision)으로 개념화한 후 현실에서 구성원과 협력하여 성취할 수 있는 자세와 역량으로 규정하고자 합니다.
주지하듯이 ‘공공성’(publicness) 문제는 21세기 대한민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이며, 동시에 큰 논쟁거리 중 하나입니다. 리더는 공공성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누구보다 명확히 인식해야하는데, 공적 가치에 대한 리더의 이해와 실천이 공동체 내부의 신뢰와 안정을 고양시키는 첩경이기 때문입니다. 일찍이 대전제일위인(大田第一偉人)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선생이, 모름지기 지도자는 ‘소아’(小我)적 사고방식을 과감히 청산하고 심중(心中)에서 더 확장된 자아의 모습 즉 ‘대아’(大我)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일 것입니다.
이에, 저희 리더스피릿연구소는 2021년 초 충남대학교 교수진을 중심으로 공공성에 관한 ‘인문사회과학 공동학술연구’를 기획하였고, 한 해 동안 유의미한 학술담론을 진행했습니다. 공공성과 리더스피릿은 그 결과물입니다.
이번 공공성과 리더스피릿 출간이 ‘개인의 가치와 공동체의 가치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진정성을 바탕으로 윤리적 결단을 감행할 수 있으며, 선하고 균형 잡힌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구성원들의 공감과 제도적 변화를 견인할 수 있는 리더’의 등장을 촉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해 봅니다.
리더십은 다양한 유형의 공동체가 등장하기 시작한 이래 우리 인류가 가장 주목해 온 보편적 관심사 중 하나이다. 진정한 리더는 단지 조직의 관리 기술뿐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긍정적인 변화와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리더에게 요구되는 정신’(leaderspirit)이란 구성원들이 지금 여기서 가장 필요로 하는 바, 즉 ‘시대정신’(Zeitgeist)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새로운 ‘공유비전’(shared vision)으로 개념화한 후 현실에서 구성원과 더불어 성취할 수 있는 자세와 역량으로 규정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로 대변되는 21세기는 인류의 문명사에서 끊임없이 등장했던 고전적 단어인 리더십을 새로운 정신적・문화적 가치개념으로 해석해야 할 시기이다. 공적 합리성, 개인의 자율성과 평등, 지속적인 자기계발이 공존과 번영의 필수조건인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21세기 ‘리더스피릿’은 이러한 시대정신을 선도하고 강화할 수 있는 지도자의 자세 및 역량과 연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