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

이진구 (지은이)
박영스토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1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5190477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0-02-05

책 소개

잠재적인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현재 직업능력개발 훈련 기관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종사자, 또는 직업능력개발 훈련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행정가 등이 상시적으로 두고 참고할 수 있기를 바라는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목차

1부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와 직업능력개발 평가제도

제1장 직업능력개발 훈련과 평가 3
01 직업능력개발의 이해 5
02 직업능력개발 사업 체계 7
03 직업능력개발 평가의 이해 13
04 활동지: 직업능력개발과 평가 21

제2장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및 직업능력개발 평가제도 23
01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이해 25
02 직업능력개발 평가제도 36
03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42
04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 역량평가 45
05 활동지: 직업능력개발 평가의 종류 50

제3장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모형 55
01 평가의 접근 모형 57
02 결과중심 평가모형 59
03 과정중심 평가모형 66
04 통합적 평가모형 73
05 활동지: 직업능력개발훈련프로그램 평가의 이론 79

2부 직업능력개발 훈련프로그램 평가

제4장 직업능력개발 훈련프로그램 평가모델 및 평가 핵심 요소 83
01 훈련프로그램 평가모델 85
02 훈련프로그램 평가의 핵심 요소 87
03 훈련프로그램 평가절차 88
04 훈련프로그램 평가영역 93
05 훈련프로그램 평가계획 94
06 훈련프로그램 평가도구 96
07 활동지: 훈련프로그램평가의 절차 103

제5장 직업능력개발 훈련프로그램 도구개발: 훈련만족도 평가 105
01 훈련만족도 평가의 개요 107
02 훈련만족도 평가지표 및 예시 110
03 훈련만족도 평가도구개발 113
04 훈련만족도 평가자료 수집 및 분석 123
05 활동지: 훈련프로그램 평가도구개발-만족도 평가 131

제6장 훈련 평가도구개발: 훈련성취도 평가 137
01 훈련성취도 평가 139
02 훈련성취도 평가의 설계 143
02 훈련성취도 평가도구개발 145
04 훈련성취도 평가결과 분석 165
05 활동지: 훈련프로그램 평가도구개발-성취도 평가 171

3부 직업능력개발 훈련 역량평가

제7장 역량평가의 이해 및 프로세스 175
01 역량의 이해 177
02 역량평가의 이해 180
03 역량평가 프로세스 190
04 활동지: 역량평가 및 NCS 이해 197

제8장 역량평가계획수립 199
01 NCS기반 훈련과정 교과목 내용 분석 201
02 역량평가 범위 선정 209
03 역량평가방법 선정 215
04 역량평가 증거자료 선정 217
05 활동지: 역량평가계획수립 221

제9장 역량평가 도구설계 및 개발1-인지 평가 중심 223
01 역량평가 도구설계 225
02 서술형 시험 / 논술형 시험 227
03 기타형 231
04 평가자 질문 235
05 구두발표 238
06 문제해결 시나리오 241
07 사례연구 244
08 평가문항 개발 시 유의사항 246
09 활동지: 역량평가 도구설계 및 개발1 249

제10장 역량평가 도구설계 및 개발2-실기 평가 중심 251
01 포트폴리오 253
02 일지 / 저널 257
03 역할연기(role playing) 259
04 작업장 평가 261
05 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263
06 활동지: 역량평가 도구설계 및 개발2 271

제11장 역량평가도구세트 및 평가기준 273
01 역량평가도구세트 275
02 평가기준 281
03 루브릭(rubric) 285
04 채점방식 288
05 활동지: 평가기준 292

제12장 역량평가의 실행 및 타당성 검토 293
01 역량평가 실행의 절차 295
02 타당성 검토 314
03 활동지: 역량평가의 실행 및 타당성 검토 318

제13장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자 역할과 해외 역량평가자 양성 사례 321
01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자의 역할 323
02 해외 역량평가사 양성교육 사례 334

참고문헌 342

저자소개

이진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HRD/OD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카드 인력개발팀을 거쳐 KT&G 인재개발원과 인사혁신팀에서 근무하면서 13년간 HR 현장을 경험하였고 2012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의 인력개발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기업을 대상으로 인력개발 및 조직개발에 대한 강의와 컨설팅을 수행하면서 국가 직업능력개발 체계를 발전시키는 일에도 헌신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