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가르침과 배움의 합의)

마야 비알릭, 찰스 페댈, 웨인 홈즈 (지은이), 정제영, 이선복 (옮긴이)
박영스토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19,000원 -0% 0원
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가르침과 배움의 합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5190576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12-17

목차

ㅣ원저자의 헌정사ㅣ v
ㅣ추천사ㅣ vii
ㅣ역자 서문ㅣ xiii

개관: 맥락

1. 왜 혁신이 필요한가?  5
2.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9
3.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2
4. 평가의 역할  14
5. 결론  14

01 학교는 왜 변화해야 하는가: 인공지능 시대, 미래교육의 지향

1. 교육환경의 변화(1): 저출산과 학령인구의 감소  19
2. 교육환경의 변화(2): 고령화와 인구구조의 변화  23
3. 교육환경의 변화(3): 사회적 양극화와 교육격차의 심화  26
4. 표준화된 학교교육의 문제점  29
5. 표준화된 교육과정의 운영과 상대평가로 인한 무한 경쟁  32
6. 개인별 맞춤형 교육의 방향  36

02 학생들은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인공지능이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1. 교육의 목적  42
2. 기초 지식: 학생들이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가?  48
3. 핵심 개념의 개관  49
4. 핵심 내용의 개관  51
5. 의미 구성과 알고리즘의 영향  54
6. 핵심 개념  79
7. 교육과정의 필수적인 내용  93
8. 교육과정에 추가해야 할 내용  108
9. 교육과정에서 삭제해야 할 내용  111
10. 교육과정 개정시 현실적 고려 사항  117
11. 소결  118

03 학생들은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 교육과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의 전망과 시사점점

1.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127
2. 인공지능의 배경지식  129
3. 인공지능 기술과 용어  134
4. 인공지능이 교육에서 활용되는 방식  141
5.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150
6.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대화형 튜터링 시스템  165
7.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탐구학습 시스템  173
8.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자동 서술형 평가  182
9.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ITS+, AR, VR, 챗봇  191
10. 인공지능의 다른 활용이 가능할까?  209
11. 인공지능의 활용한 교육: 잠정적인 결론  225
12.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이 미칠 사회적 효과  229

04 미래의 학교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미래교육의 방향

1. 미래교육의 방향 설정: 개인별 맞춤형 교육  248
2. 학급당 학생수 감축으로 맞춤형 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가?  251
3. 부분적 교육개혁의 한계  253
4. 미래 학교교육을 위한 시스템적 혁신  255
5.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미래교육의 방향  259
6. 학교제도의 유연화  263
7. AI 교육혁명: 하이터치 하이테크 교육  267
8.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과정을 지원하는 ‘AI 보조교사 시스템’  268
9. 미래 교사의 역할과 역량 변화: EX with AI 270

부록 1  277
부록 2  295

저자소개

찰스 페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로벌 교육의 전문가, 선도적 이론가이다. 교육과정재설계센터(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의 창립자로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 및 MIT ESG, and UPenn CLO의 초빙교수를 지냈고, OECD의 경제자문기구(BIAC)의 교육위원회 의장이자 베스트셀러 <21세기 핵심역량>의 공동저자이다. Conference Board 및 P21.org의 선임연구원으로도 활동하면서 30여 개 국의 교육 시스템과 제도 관련 업무를 수행해왔다.
펼치기
마야 비알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가이자 에디터, CCR의 연구통합 담당자다. 과학과 사회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비영리 단체인 피플스사이언스(The People’s Science)의 공동설립자이자 부소장이며 과학 커뮤니케이션, 즉흥성, 학제성을 주제로 한 워크샵들을 이끌고 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마음, 두뇌와 교육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mayabialik
펼치기
정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부가 지정한 미래교육연구소장과 창의교육거점센터장을 맡고 있다. 제44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10여 년간 근무하여 사무관과 서기관으로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두루 경험한 바 있다. 교육정책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취학 기준일 변경 등 학제 개편 정책, 외고 등 특목고를 포함한 고교체제 개편 정책, 자기주도학습전형 도입 등을 담당하여 추진했다.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미래교육정책의 기획과 집행, 평가 과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학생 맞춤형 교육 시스템 개발 연구,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굴하고 개입하는 Early Warning System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챗GPT 교육혁명》,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4》, 《AI 교육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AI융합교육개론》,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뉴 이퀼리브리엄》,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정책론》, 《교육정치학 이론과 적용》, 《한국의 교사교육》, 《디지털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의 시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제영의 다른 책 >
이선복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강대학교 물리학과(학사) University of Georgia 대학원 물리학과(석사), 통계학과(석사), 교육학과(박사) 경력 現 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 現 AI융합교육전공 주임교수 前 University of Houston 조교수 학술논문 Lee, S. (2019). Logistic regression procedure using penalize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Lee, S., Sriutaisuk, S., & Kim, H. J. (2019). Using the tidyverse package in R for simulation studies in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Lee, S., Lei, M. K., & Brody, G. H. (2015). Confidence intervals for distinguishing ordinal and disordinal interactions. Psychological Methods, 20, 245-258.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