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

(교육쟁점으로 풀어쓴)

황규호, 한유경, 김안나, 서경혜, 김남희, 오인수, 정제영, 이선복, 조경원, 김경희 (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690원
22,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육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학개론 (교육쟁점으로 풀어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58903794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교육학 탐구의 근간이 되는 열두 가지 교육쟁점을 고찰하고, 그 해법을 탐색하며, 이를 통해 생생한 교육학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최신 교육학 개론서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이자 교육학자로 구성된 저자들이 제시하는 이 열두 가지 물음과 그 대답을 접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1. 교육목적 탐구의 필요성
2. 전통적 교육사상에 나타난 교육목적
3. 현대 교육개념 논의와 교육목적

2장.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1. 몇 가지 대답의 검토
2. 관점들의 관계 이해

3장.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1. 좋은 수업의 개념
2. 좋은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협업적 노력
3. 협업수업의 사례
4. 좋은 수업의 과제

4장. 무엇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1. 교육평가는 무엇인가
2.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3.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4. 질 높은 평가란 무엇인가
5. 평가 결과의 기록, 보고, 활용은 어떻게 할 것인가

5장. 학교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상담할 것인가
1. 학교상담의 필요성
2. 학교상담의 현황
3. 학교상담의 정의 및 특징
4. 예방적 접근을 통한 정서·행동 문제의 개입
5. 통합적 접근을 통한 정서·행동 문제의 개입

6장. 학교조직은 어떻게 구성·운영되는가
1. 학교조직의 구성원
2. 학교조직의 리더와 리더십
3. 학교조직의 구성과 운영의 원리
4. 학교조직의 문화
5. 학교조직의 발전 방향

7장. 학교는 ‘위대한 평등장치’인가
1. 현대사회에서 학교교육의 중요성
2. 교육과 사회이동의 관계
3. 교육에 기초한 능력주의 이념의 기원
4. 능력주의를 무산시키는 요인들
5. 학교의 딜레마: 가능성과 한계

8장. 교직은 전문직인가
1. 교직 전문성에 대한 역사적 접근
2. 교사 전문성에 대한 관점
3. 교사 전문성에 대한 재개념화
4.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근
5. 교사학습공동체 운동

9장. 교직의 여성화는 우려할 현상인가
1. 교직의 여성화 경향
2. 교직의 여성화에 대한 우려

10장. 인공지능이 학생을 가르칠 수 있을까
1. 4차 산업혁명과 학교교육
2.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3.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발달 과정과 개념
4.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구조
5.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 탐색

11장. 사교육 확대는 학교 실패의 증거인가
1. 사교육의 문제
2. 사교육 수요와 공교육의 질
3. 사교육의 국제 동향
4. 사교육 확대의 원인: 국가 간 차이와 유사성
5. 사교육의 전망과 공교육에 대한 시사점

12장. 평생교육, 어디까지 와 있는가
1. 평생교육의 중요성
2. ‘평생교육’의 등장과 다양한 정의
3. 평생교육 관련 개념
4. 평생교육 관련 이론
5. 한국 평생교육에 대한 질문들: 무엇을 짚어보아야 하는가

찾아보기

저자소개

조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교육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철학박사)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주요 논저로는 '교육학의 이해'(공저), '철학과 교육'(역), '여성교육개론'(공저), '좋은 교육'(공저), '서양교육의 이해'(공저), '한국교육의 이해'(공저), '교육여성학', '롤즈의 정의론에 입각한 교육기회균등의 문제', '유교 여훈서의 교육원리에 대한 철학적 분석', '지식기반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 초중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방향탐색',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Principal Leadership' 외 다수
펼치기
한유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교육행정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장, 학교폭력예방연구소장 및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안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LA)에서 교육사회학과 비교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한국교육개발원의 연구위원을 역임하였다. 대학효과, 대학서열화, 학업중단, 학자금지원효과 등 고등교육사회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연구해 왔고, 최근에는 학문자본주의, 국제학생이동같이 고등교육에 미치는 글로벌 자본주의의 영향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제도운영전문위원, 국무조정실 교육부정책평가위원,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 대통령교육문화수석실 정책자문위원, UCLA 방문교수, 학술지 『교육과학연구』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교육과학연구소 소장, 한국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육사회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서경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전공 석사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Teachers College 발달심리학 전공 석사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Teachers College 교육과정 전공 박사 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 of Wisconsin-Milwaukee) 교수 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펼치기
정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부가 지정한 미래교육연구소장과 창의교육거점센터장을 맡고 있다. 제44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10여 년간 근무하여 사무관과 서기관으로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두루 경험한 바 있다. 교육정책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취학 기준일 변경 등 학제 개편 정책, 외고 등 특목고를 포함한 고교체제 개편 정책, 자기주도학습전형 도입 등을 담당하여 추진했다.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미래교육정책의 기획과 집행, 평가 과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학생 맞춤형 교육 시스템 개발 연구,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굴하고 개입하는 Early Warning System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챗GPT 교육혁명》,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4》, 《AI 교육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AI융합교육개론》,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뉴 이퀼리브리엄》,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정책론》, 《교육정치학 이론과 적용》, 《한국의 교사교육》, 《디지털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의 시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제영의 다른 책 >
오인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2009-현재)로 미국 사우스케롤라이나대학교(University of South Carolina)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2007-2009)를 역임하였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상담자교육(Counselor Education)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아동 및 청소년의 상담과 교육 전문가이다. 학교폭력 및 학생 부적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약 100여 편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였고 학술지인 ??교육과학연구??의 편집장을 맡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실적 우수교수(2017) 및 강의 우수교수(2011)로 선정된 바 있다. 상담과 교육에 관한 15편의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주요 역서로는 아동 · 청소년을 위한 학교상담(2016), 다문화상담(201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등이 있다. 10년간 교사로 재직한 경험과 5년간 청소년을 상담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폭력을 포함한 학교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2017년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부분)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이선복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강대학교 물리학과(학사) University of Georgia 대학원 물리학과(석사), 통계학과(석사), 교육학과(박사) 경력 現 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 現 AI융합교육전공 주임교수 前 University of Houston 조교수 학술논문 Lee, S. (2019). Logistic regression procedure using penalize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Lee, S., Sriutaisuk, S., & Kim, H. J. (2019). Using the tidyverse package in R for simulation studies in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Lee, S., Lei, M. K., & Brody, G. H. (2015). Confidence intervals for distinguishing ordinal and disordinal interactions. Psychological Methods, 20, 245-258.
펼치기
황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영국 킹스칼리지에서 교육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가교육과정 개정 연구에 참여해왔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및 교육연수원장, 영재교육원장이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남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성인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 및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미국 노스센트럴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평가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