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58903794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1. 교육목적 탐구의 필요성
2. 전통적 교육사상에 나타난 교육목적
3. 현대 교육개념 논의와 교육목적
2장.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1. 몇 가지 대답의 검토
2. 관점들의 관계 이해
3장.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1. 좋은 수업의 개념
2. 좋은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협업적 노력
3. 협업수업의 사례
4. 좋은 수업의 과제
4장. 무엇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1. 교육평가는 무엇인가
2.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3.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4. 질 높은 평가란 무엇인가
5. 평가 결과의 기록, 보고, 활용은 어떻게 할 것인가
5장. 학교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상담할 것인가
1. 학교상담의 필요성
2. 학교상담의 현황
3. 학교상담의 정의 및 특징
4. 예방적 접근을 통한 정서·행동 문제의 개입
5. 통합적 접근을 통한 정서·행동 문제의 개입
6장. 학교조직은 어떻게 구성·운영되는가
1. 학교조직의 구성원
2. 학교조직의 리더와 리더십
3. 학교조직의 구성과 운영의 원리
4. 학교조직의 문화
5. 학교조직의 발전 방향
7장. 학교는 ‘위대한 평등장치’인가
1. 현대사회에서 학교교육의 중요성
2. 교육과 사회이동의 관계
3. 교육에 기초한 능력주의 이념의 기원
4. 능력주의를 무산시키는 요인들
5. 학교의 딜레마: 가능성과 한계
8장. 교직은 전문직인가
1. 교직 전문성에 대한 역사적 접근
2. 교사 전문성에 대한 관점
3. 교사 전문성에 대한 재개념화
4.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근
5. 교사학습공동체 운동
9장. 교직의 여성화는 우려할 현상인가
1. 교직의 여성화 경향
2. 교직의 여성화에 대한 우려
10장. 인공지능이 학생을 가르칠 수 있을까
1. 4차 산업혁명과 학교교육
2.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3.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발달 과정과 개념
4.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구조
5.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 탐색
11장. 사교육 확대는 학교 실패의 증거인가
1. 사교육의 문제
2. 사교육 수요와 공교육의 질
3. 사교육의 국제 동향
4. 사교육 확대의 원인: 국가 간 차이와 유사성
5. 사교육의 전망과 공교육에 대한 시사점
12장. 평생교육, 어디까지 와 있는가
1. 평생교육의 중요성
2. ‘평생교육’의 등장과 다양한 정의
3. 평생교육 관련 개념
4. 평생교육 관련 이론
5. 한국 평생교육에 대한 질문들: 무엇을 짚어보아야 하는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