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떻게 교사리더십을 발휘할 것인가?

어떻게 교사리더십을 발휘할 것인가?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탐색)

김병찬 (지은이)
박영스토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690원
22,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3,000원 -10% 1150원 19,550원 >

책 이미지

어떻게 교사리더십을 발휘할 것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떻게 교사리더십을 발휘할 것인가?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탐색)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5193928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3-06-30

책 소개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교사리더십 필요성 및 개념 등에 대해 논하였다. 2부에서는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을 의식, 역량, 행동성향 세 영역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3부에서는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의 활용 방향 및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1부 교사리더십 개념 및 성격
1장 교사리더십 필요성 2
I. 교육 패러다임 변화....................................................................... 3
II. 교육체제와 구조 변화.................................................................. 7
1. 집권적 교육체제 → 분권적 교육체제.........................................8
2. 폐쇄체제 → 개방체제.................................................................9
3. 관료체제 → 공동체 체제............................................................9
4. 학교 및 교사 자치의 강화.........................................................10
III. 교사의 역할 변화...................................................................... 11
1. 수동적 교사 → 능동적 교사 ....................................................11
2. 지식을 전달하는 교사 → 지식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12
3. 교육과정대로 가르치는 교사 →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교사...13
4. 교육정책 소비자 → 교육정책 생산자.......................................13
IV. 교실 현장에서 문제나 어려움 극복.......................................... 14
V. 교직 풍토와 문화 개선............................................................... 16
1. 형식주의 극복..........................................................................17
2. 보수주의 극복..........................................................................18
3. 고립주의 극복 .........................................................................19
4. 평등주의 극복..........................................................................20
5. 승진주의 극복..........................................................................22
6. 권위주의 극복..........................................................................23
VI. 미래 교육 대비.......................................................................... 25
1. 비대면 및 AI교육 시대의 대비.................................................25
2. 복잡하고 예측불가능한 시대의 교육 대비................................26
3. 정책이나 제도가 아닌 교사 변화를 통한 개혁의 시대..............27

2장 교사리더십 개념 29
I. 리더십 개념.................................................................................. 30
II. 선행연구에서 교사리더십 개념................................................. 32
1. 선행연구에서 교사리더십 개념................................................32
2. 교사리더십이 논의되는 맥락....................................................36
III. 본 저서에서 교사리더십 개념.................................................. 39
1. 교사리더십 개념.......................................................................39
IV. 소결........................................................................................... 53

3장 교사리더십 성격 55
I. 분산적 리더십으로서 교사리더십............................................... 57
1. 분산적 리더십 개념..................................................................58
2. 분산적 리더십의 특징...............................................................59
3. 교사리더십의 분산적 리더십 성격............................................61
II. 공유리더십으로서 교사리더십................................................... 61
1. 공유리더십 개념.......................................................................62
2. 공유리더십의 특징...................................................................62
3. 교사리더십의 공유리더십 성격................................................65
III. 셀프리더십으로서 교사리더십................................................. 66
1. 셀프리더십 개념.......................................................................66
2. 셀프리더십의 특징...................................................................67
3. 교사리더십의 셀프리더십 성격................................................70
IV. 서번트리더십으로서의 교사리더십.......................................... 71
1. 서번트리더십 개념...................................................................72
2. 서번트리더십의 특징................................................................72
3. 교사리더십의 서번트리더십 성격.............................................75
V. 구성주의 리더십으로서의 교사리더십...................................... 76
1. 구성주의 리더십 개념...............................................................77
2. 구성주의 리더십의 특징...........................................................78
3. 교사리더십의 구성주의 리더십 성격........................................81
VI. 교사리더십의 일반적 성격....................................................... 82
1. ‘리더’의 속성이 아닌 ‘교사’의 속성...........................................82
2. 교사전문성을 넘어서는 교사리더십.........................................84
3. 지위 권력이 아닌 개인 역량.....................................................86
4. 교사리더십 발휘 기반 특성......................................................86

2부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4장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도출 배경 및 과정 90
I.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도출 배경................................................ 91
II.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도출 기반............................................... 93
1. 선행연구나 사례 바탕의 귀납적 접근.......................................93
2. 교사리더십 자질에 초점...........................................................94
3. 내적 요인에 초점......................................................................96
4. 종합적, 체계적 접근.................................................................97
III.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구성 요인............................................. 98
1. 교사리더십 영역.......................................................................98
2. 교사리더십 영역별 요소.........................................................102

5장 교사리더십 의식 106
I. 의식............................................................................................108
II. 교사리더십 의식.......................................................................108
1. 주체의식.................................................................................112
2. 책임의식.................................................................................117
3. 자율의식.................................................................................123
4. 교사리더십 의식 종합.............................................................129

6장 교사리더십 역량 132
I. 역량.............................................................................................134
II. 교사리더십 역량........................................................................135
1. 이해 역량................................................................................140
2. 소통 역량................................................................................147
3. 촉진 역량................................................................................153
4. 성찰 역량................................................................................160
5. 철학 역량................................................................................167
6. 교사리더십 역량 종합.............................................................176

7장 교사리더십 행동 성향 180
I. 행동 성향....................................................................................182
II. 교사리더십 행동 성향..............................................................183
1. 목표지향성.............................................................................189
2. 과업주도성.............................................................................196
3. 공동체성.................................................................................203
4. 전문성....................................................................................211
5. 교사리더십 행동 성향 종합....................................................217

8장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종합 221
I. 교사리더십 세 영역 관계 특성..................................................223
1. 통합성....................................................................................223
2. 체계성....................................................................................224
3. 불균형성.................................................................................224
II. 교사리더십 발휘 함수..............................................................225
1. 각 영역 사이의 함수 관계.......................................................227
2. 각 요소 사이의 함수 관계.......................................................228
III.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의 가치................................................229

3부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의 활용 및 과제
9장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활용 234
1. 교사 개인 차원의 활용...........................................................235
2.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활용.....................................................237
3. 교사공동체 차원에서의 활용..................................................239
4. 교육청 차원에서의 활용.........................................................239
5. 교원양성기관 차원에서의 활용..............................................240
6. 교사리더십 함양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운영 제안.................242

10장 교사리더십 발휘 효과 및 실행 과제 246
I. 교사리더십 발휘 효과................................................................247
1.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교사 본인에게 주는 효과..................247
2. 동료교원에게 주는 효과.........................................................250
3. 학생에게 주는 효과................................................................251
4. 학교 차원의 효과....................................................................252
II.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실행 및 연구 과제................................253
1.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실행 과제............................................253
2.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개발 및 연구 과제...............................256
3. 교사리더십 현상 연구 과제....................................................263
4. 교사리더십 발휘 모형 후속 연구............................................264

11장 맺음말 266
부록 교사리더십 진단 도구 271
1. 교사리더십 의식.....................................................................273
2. 교사리더십 역량.....................................................................274
3. 교사리더십 행동 성향.............................................................277
참고문헌 280
색인 309

저자소개

김병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 임실 生(1966)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졸업(1991)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석사(1995)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박사(2002) 남서울중학교 및 서울시내 중등교사(1991-2002) 중등교원 임용고사 출제위원(2006)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비상임전문위원(2007) 한국교육학회 부회장(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회장(2023)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2019-2021)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2004 – 현재) 주요 저서 왜 교사리더십인가(단독, 학지사, 2019) 한국의 교직과 교사 탐구(공저, 학지사, 2018) 학교컨설팅의 이론과 실제(공저, 학지사, 2017) 왜 핀란드교육인가(단독, 박영스토리, 2017) 잘 가르치는 대학의 특징과 성공 요인(공저, 학지사, 2015) 한국 교육책무성 탐구(공저, 교육과학사, 2014) 주요 논문 교사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공동, 교육행정학연구, 2023) 교사리더십 발휘 교사의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공동, 한국교원교육연구, 2023)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 개념 관계에 관한 시론적 논의(공동, 한국교원교육연구, 2022)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공동, 한국교육, 2017) 한국 교육행정에서 ‘양가성(ambivalence)’ 현상의 탐색과 의미(단독, 교육행정학연구, 2017)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분석(단독, 한국교육학연구, 2017) 교사리더십 개념 모형 구안 연구(단독, 한국교원교육연구, 2015)
펼치기

책속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198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