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교육책무성 탐구

한국 교육책무성 탐구

김병찬, 박남기, 박선형, 변기용, 송경오, 정동욱, 최정윤 (지은이)
교육과학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교육책무성 탐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교육책무성 탐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0770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4-01-26

책 소개

교육의 개혁이나 발전이 모든 국가의 핵심적인 과제가 되었는데, 이러한 흐름의 한 귀결이 바로 교육책무성 기제의 부각 및 강화로 나타났다.

목차

발간사 3
서문 7

제1장 교육책무성 논의를 시작하며 19

제2장 교육책무성: 개념과 원리 및 쟁점 41
1. 서 론 43
2. 교육책무성의 정의와 개념 구조 46
1) 책무성의 어원과 정의 및 유사개념 46
2) 교육책무성의 개념구조와 구성요인 57
3. 교육책무성의 유형과 쟁점 65
1) 교육책무성 유형과 기제별 특성 65
2) 교육책무성 쟁점 72
4. 교육책무성의 향후 발전 방향 80

제3장 교육책무성 시스템 도입의 배경과 맥락 91
1. 들어가며 93
2. 책무성 개념 유형 94
3. 미국의 교육책무성 도입 배경과 맥락의 비교교육학적 이해 100
4. 초·중등교육 책무성 시스템 도입 배경과 맥락 104
1) 5·31 교육개혁에 나타난 책무성 시스템 도입 배경 104
2) 학업성취도 평가와 교육책무성 확보 109
5. 고등교육 책무성 시스템 도입 배경 127
1) 책무성 개념 대두 이전의 책무성 확보 128
2) 책무성 요구 표면화 시대 130
6. 우리나라 교육책무성 시스템 도입의 배경과 맥락 135
1) 세계적인 흐름 136
2) 교육을 둘러싼 배경 요인 138
3) 교육계의 상황 141
7. 나오며 147

제4장 초·중등교육 책무성 정책 분석 153
1. 서 론 155
2. 초·중등교육 책무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 158
1) 초·중등교육분야에서 책무성 개념 158
2) 초·중등교육 책무성 정책에 대한 접근: 교육외적 접근 VS. 교육내적 접근 161
3. 초·중등교육 책무성 정책 탐색을 위한 분석틀 164
1) 분석틀 164
2) 분석대상 176
4. 현행 초·중등교육 책무성 정책에 관한 분석 177
1) 분석결과 177
2) 종합논의 189
5. 초·중등교육 책무성 정책의 발전방향 192

제5장 고등교육 분야의 책무성 확보기제 분석 203
1. 서 론 205
2. 고등교육 책무성의 개념과 유형 207
1) 고등교육 책무성의 개념 207
2) 고등교육 책무성의 유형 211
3. 고등교육 책무성 분석틀 215
1) 고등교육 책무성 분석틀 215
2) 분석틀의 주요 구성요소 217
4. 현행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기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 221
1) 대상과 수단의 측면 223
2)‘ 관점’의측면 230
3) 환경적 맥락의 측면 233
5.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를 위한 정책방향 237

제6장 초·중등교육 책무성 정책 사례의 논리와 성과 분석: 학력향상중점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253
1. 서 론 255
2. 교육 책무성 정책의 논리 분석 258
1) 분석의 틀: 본인-대리인 이론 258
2) 분석대상: 교육 책무성 정책 사례 260
3) 분석결과 261
3. 교육 책무성 정책의 성과: 학력향상중점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267
1) 교육 책무성 정책의 효과에 대한 논의 267
2) 우리나라의 교육 책무성 정책의 효과 논의 269
3) 분석 데이터 및 대상 271
4) 학력향상중점학교 정책의 성과 분석 272
4. 요약 및 결론 292
1) 요약 292
2) 결론: 교육 책무성 정책의 발전방향 294
[부록 1] 주요 변수 설명 300
[부록 2] 기술통계 303
[부록 3] 교육 책무성 정책의 효과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 305

제7장 고등교육 분야 책무성 기제의 실증 사례 분석: 대학수행지표를 중심으로 309
1. 서 론 311
2. 고등교육 책무성 강화와 수행지표 314
1) 대학수행지표의 개념 314
2)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 기제로서 수행지표의 부상과 활용: 주요국 사례 317
3. 주요 대학수행지표를 활용한 대학생 학습경험 및 학습성과의 대학 간 차이 분석 324
1) 분석방법 324
2) 분석결과 331
4 결론: 고등교육 책무성 정책의 발전방향에 주는 시사점 340
〈부록〉모형에 포함된 변수의 기술통계와 문항척도 348

제8장 한국 교육책무성 정책의 미래 방향 탐색 351
1. 교육책무성 정책의 전개 맥락 354
1) 교육책무성 주창 논리 357
2. 교육책무성 정책의 공과(功過) 359
1) 교육책무성 정책의 공과(功過) 359
3. 새로운 교육책무성 패러다임: 시론(試論)적 논의 371
1) 교육의 특성 372
2) 교육책무성 원리 374
3) 새로운 교육책무성 패러다임 376
4. 한국 교육책무성 정책의 미래 방향 378
1) 지향 측면 378
2) 구조 측면 383
3) 방법 측면 389
5. 맺음말 393

찾아보기 403

저자소개

박남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피츠버그대학교에서 교육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립대 최연소 총장(2008-2012)을 지냈으며, 교원교육학회 회장(2018), 대한교육법학회 회장(2019),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2020) 등을 맡아 학문 발전에 힘썼다. 현재 전남교육청 민관산학교육협력위원회 위원장과 교육부 교육정책자문위원회 부위원장 겸 디지털교육 혁신분과 위원장을 맡아 한국 교육계가 맞고 있는 변화의 물결에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대학 교수와 교육청 교원을 대상으로 ‘생성 AI 시대 교육의 방향’, ‘생성 AI 시대 최고의 교수법’ 등의 주제로 100여 회가 넘는 강연을 이어오고 있다. 저서로는 『실력의 배신』, 『최고의 교수법』, 『교사는 어떻게 성장하는가』(공저), 『학부모와 함께하는 학급경영』(공저), 『학급경영 마이더스』(공저), 『교육전쟁론』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 임실 生(1966)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졸업(1991)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석사(1995)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박사(2002) 남서울중학교 및 서울시내 중등교사(1991-2002) 중등교원 임용고사 출제위원(2006)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비상임전문위원(2007) 한국교육학회 부회장(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회장(2023)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2019-2021)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2004 – 현재) 주요 저서 왜 교사리더십인가(단독, 학지사, 2019) 한국의 교직과 교사 탐구(공저, 학지사, 2018) 학교컨설팅의 이론과 실제(공저, 학지사, 2017) 왜 핀란드교육인가(단독, 박영스토리, 2017) 잘 가르치는 대학의 특징과 성공 요인(공저, 학지사, 2015) 한국 교육책무성 탐구(공저, 교육과학사, 2014) 주요 논문 교사리더십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공동, 교육행정학연구, 2023) 교사리더십 발휘 교사의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공동, 한국교원교육연구, 2023)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 개념 관계에 관한 시론적 논의(공동, 한국교원교육연구, 2022)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공동, 한국교육, 2017) 한국 교육행정에서 ‘양가성(ambivalence)’ 현상의 탐색과 의미(단독, 교육행정학연구, 2017)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분석(단독, 한국교육학연구, 2017) 교사리더십 개념 모형 구안 연구(단독, 한국교원교육연구, 2015)
펼치기
변기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niversity of Oregon 박사(고등교육정책 및 행정) 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고등교육정책연구소 소장
펼치기
송경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석사) 미시간주립대학교 교육정책 전공(박사) <경력> (현) 조선대학교 교수 <주요 연구물> (저서) 정치교육론(공저, 학이시습) 교육행정학연구방법론 핸드북(공저, 학지사) 외 (학술논문) Re-thinking Democracy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Journal for Critical Education Policy)
펼치기
정동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석사, 콜롬비아 대학교 철학박사(교육경제학 전공)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부교수 관심영역: 교육행정, 교육경제, 교육재정, 교육정책 이메일: jeongdw@snu.ac.kr
펼치기
최정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불문학과(문학사) 미국 UCLA 고등교육 전공(석사) 미국 UCLA 고등교육 전공(박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임연구원 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