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철학잡기 6

교육철학잡기 6 (2023-1)

(독일 기행, 아우구스티누스, 주역, 그리고 화이트헤드)

신창호 (지은이)
박영스토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450원
14,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500원 -10% 670원 11,480원 >

책 이미지

교육철학잡기 6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철학잡기 6 (2023-1) (독일 기행, 아우구스티누스, 주역, 그리고 화이트헤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교육철학
· ISBN : 9791165194772
· 쪽수 : 186쪽
· 출판일 : 2023-11-01

목차

1월 1
계묘년(癸卯年) – 검은 토끼의 해, 첫 날 2
망천(輞川) – 철곡(鐵谷), 시우실로 가는 길 5
나의 새 별칭(別稱)들 고민 – 망천(輞川), 철곡(鐵谷), 시우실에
부여하는 의미 7
독일 기행 – 1일 차, 비행기에서 카셀까지 8
독일 기행 – 2일 차, 카셀에서 하노버로 13
독일 기행 – 3일 차, 하노버에서 함부르크까지 18
독일 기행 – 4일 차, 함부르크 첫날 26
독일 기행 – 5일 차, 함부르크 둘째 날 37
독일 기행 – 6일 차, 브레멘 그리고 다시 함부르크 43
독일 기행 – 7일 차, 프랑크푸르트 첫째 날 47
독일 기행 – 8일 차, 프랑크푸르트 둘째 날, 그리고 귀국 50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 – ‘고백(告白)’의 자기교육 53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 – 언어학습과 교육 55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3 – 체벌, 복종(服從)과 나태(懶怠)의
사이에서 57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4 – 어른의 오락과 청소년의 놀이 62
제갈량의 「계자서(誡子書)」 - 자식에게 전하는 말 64
대한(大寒) 절기 – 그 차가움과 따스함 67
섣달그믐 – 세모(歲暮)의 그리움 69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5 – 부모들의 이중성 71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6 – 강요당한 공부의 유용성 73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7 – 언어 공부, 자유로운 호기심 75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8 – 교육을 향한 기도 77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9 – 어떻게 살아야 할까?ⓛ 78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0 – 어떻게 살아야 할까?② 80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1 – 어떻게 살아야 할까?③ 81
환갑 ‘생일(生日)’ 소회(素懷) 83
생각 없이 말만 많은 광인(狂人)의 나라, 그 씁쓸한 위기 85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2 – 어떻게 살아야 할까?④ 88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89
정월대보름 91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3 – 악(惡)의 기원ⓛ-자유의지 93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4 – 악(惡)의 기원②-물질적 존재의 유혹과
공포 95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5 – 악(惡)의 기원③-의지의 배반 98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6 – 영혼에 깃든 활력 100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7 – 존재의 한계, 교육의 자리 102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8 – 감각 판단의 이성 103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19 – 기억의 힘① 105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0 – 기억의 힘② 107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1 – 기억의 힘③ 109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2 – 기억의 힘④ 111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3 – 기억의 힘⑤ 113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4 – 기억의 힘⑥ 115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5 – 기억의 힘⑦ 117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6 – 기억의 힘⑧ 119
다시, 내 생(生)의 데미안(Demian)을 가슴에 품고 120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7 – 망각의 의의 123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28 – 허영과 도취 126
「주역」 산책 50 – 허중하현(虛中下賢); 마음을 비우고
낮출 때 128
「주역」 산책 51 – 명변석(明辨晳); 분별의 지혜 130
「주역」 산책 52 – 대유불거(大有不居); 소유에 관한 공공성 132
「주역」 산책 53 – 신이발지(信以發志) 향지응성(響之應聲);
믿음으로 재능을 열고 메아리 소리에 응할 수 있을까? 133
「주역」 산책 50 – 허중하현(虛中下賢); 마음을 비우고
낮출 때 128
「주역」 산책 51 – 명변석(明辨晳); 분별의 지혜 130
「주역」 산책 52 – 대유불거(大有不居); 소유에 관한 공공성 132
「주역」 산책 53 – 신이발지(信以發志) 향지응성(響之應聲);
믿음으로 재능을 열고 메아리 소리에 응할 수 있을까? 133
「주역」 산책 54 – 리신사순(履信思順); 믿고 따르는 사태의
본질 135
「주역」 산책 55 – 지산 겸(地山 謙); 숭고하지만 비천한 곳에
머무는 용기 137
「주역」 산책 56 – 하제상행(下濟上行); 자연 질서가 던지는
겸손의 메아리 139
「주역」 산책 57 – 익류복호(益流福好); 겸손을 다루는 양식 140
「주역」 산책 58 – 인덕실고(人德實高); 겸손의 교육 효과 142
「주역」 산책 59 – 칭물평시(稱物平施); 저울질하여 배풀어라 143
「주역」산책 60 – 공로능겸(功勞能謙); 공로가 있어도
겸손하다면 144
「주역」 산책 61 – 불부기린(不富其隣); 부유하지 않아도 얻는
이웃 146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 – 유기체철학의 핵심 논점에
다가서며 147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2 – 〈강의1〉중요성①; 철학적 논의와
교육적 논의 150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3 – 〈강의1〉중요성②; 체계적 사고의
명암 152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4 – 〈강의1〉중요성③; 철학의 일차적
단계, 수집 153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5 – 〈강의1〉중요성④; 지적인 삶 155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6 – 〈강의1〉중요성⑤; 존재의
문명화 156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7 – 〈강의1〉중요성⑥; 대비되는
두 관념 157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8 – 〈강의1〉중요성⑦; 경험의
기본 양태 158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9 – 〈강의1〉중요성⑧; 언어의 일반성 159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0 – 〈강의1〉중요성⑨; 학문 체계의
한계 160
노동절 161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1 – 〈강의1〉중요성⑩; 사태의 관념 163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2 – 〈강의1〉중요성⑪; 중요성의
관념 164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3 – 〈강의1〉중요성⑫; 다시, 사태의
관념 165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4 – 〈강의1〉중요성⑬; 사태와
중요성 166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5 – 〈강의1〉중요성⑭; 단순한 사실 167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6 –〈강의1〉중요성⑮; 중요성의 특징 168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7 – 〈강의1〉중요성⑯; 도덕률과
도덕성 169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8 – 〈강의1〉중요성⑰; 사상의 진보 170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19 – 〈강의1〉중요성⑱; 역사에 대한
비판 171
화이트헤드 「사고의 양태」 20 – 〈강의1〉중요성⑲; 사태의 궁극 172

저자소개

신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서양 고전을 현대적 시각으로 해석하며 고전 읽기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철학을 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사서(四書)의 수기론」으로 석사학위, 고려대 일반대학원에서 「중용(中庸)의 교육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로 활동 중이다. 한중철학회와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논저로는 동양학 및 교육학과 관련한 연구논문 150여 편과 100여 권의 저술이 있다. 한글을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세대의 시대정신을 담은 한글 사서(四書) 시리즈, 『한글 논어』 『한글 맹자』 『한글 대학·중용』을 완간하고, 정조의 78가지 정책 질문을 담은 『정조 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를 비롯해 『진시황평전』 『공자평전』 『노자평전』 『관자』 『주역절중』(전12권), 『칠서상설』(전42권) 등 동양적 사유의 핵심을 담은 저작들을 번역하였다. 인문학 대중화를 위한 활동으로 15년 넘게 매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동양고전특강’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는 꼬레아아테나고등교육원에서 『사기』를 강독하고, 독서문화연구원 연구소장으로서 청소년 독서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또한 ‘한글 사서’에 이어 ‘한글 삼경(三經)’과 기독교 성경에까지 관심을 넓히며, 고전의 현대적 해석과 확장에 몰두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198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