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임신/출산
· ISBN : 979116521048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0-02-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_ 조금은 늦게 부모가 될 여러분께(조용균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원장)
프롤로그_ 3545, 남보다 조금 늦은 출산을 생각하는 당신에게
1장_ 3545 임신에 대한 궁금증
01 3540 임신, 너무 늦은 건 아닐까?
02 나이와 임신 능력, 상관있을까?
03 35세 이후의 임신은 위험하다?
04 난소의 나이는 실제 나이와 다르다
[3545 심리테라피] 늦은 나이라서 괜찮은 점도 있어요
2장_ 3545 임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01 늦은 임신일수록 준비가 필요하다
[3545 Special] 3540 계획임신 step by step
02 임신을 위한 기본 조건
03 생활습관을 바로잡아라
04 임신 전 영양 상태를 점검하자
[3545 Special] 임신에 좋은 식단
05 적절한 체중 관리는 임신 준비의 필수
06 운동으로 건강한 몸을 만들자
07 임신의 가능성을 높이는 부부관계의 기술
08 배란일 계산으로 적합한 임신 시기 찾기
09 환경호르몬을 피하는 생활 속 작은 습관들
10 편안한 마음으로 기다리자
3장_ 3545, 임신 전 검사는 필수다
01 내게 맞는 병원을 선택하자
02 몸에 대한 사전 점검을 실시하자
03 임신 전 질병,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04 난임클리닉은 언제 찾는 것이 좋을까?
05 남편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
4장_ 3545, 임신 가능성을 높이는 난임 치료
01 임신과 난임의 원인
02 난임 검사, 이렇게 한다
03 난임 치료, 어떻게 하나?
04 난임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05 배란 유도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06 인공수정, 어떻게 할까?
07 체외수정 시술(시험관 시술)의 모든 것
08 세포질 내 정자주입술은 언제 시행하나?
09 동결보존은 괜찮을까?
10 그 외의 보조생식술
11 정자 및 난자 기증, 해도 괜찮을까?
[3545 심리테라피] 쉽지 않은 난임 치료, 남편과 함께해요
5장_ 3545, 아기를 가졌어요
[Mothery Checklist] 임신 10개월 체크리스트
01 임신을 알리는 몸의 신호
02 시기별 산전 검사와 진찰
[3545 Special] 임신 시기별 태교
6장_ 3545, 임신 중 건강관리
01 임신 초기(1~14주)의 건강관리
02 임신 중기(15~28주)의 건강관리
03 임신 후기(29~40주)의 건강관리
04 임신 중의 영양 관리
[3545 Special] 내 아이를 위한 10개월 영양 만점 추천 식품
[3545 Special] 내 아이를 위한 10개월 영양 만점 레시피
05 임신 중의 체중 관리
06 임신 중 똑똑한 직장생활 노하우
07 임신 중에 나타나는 증상과 대처법
[3545 Special] 부위별 튼 살 예방 마사지
[3545 Special] 손발 저림과 부기 해소 마사지
[3545 Special] 모유 수유 준비하기
7장_ 3545, 임신 중 주의사항
01 임신 중 올바른 약물 사용
02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임신부의 질환
03 특히 조심해야 하는 조산과 유산
04 깊은 고민이 필요한 인공유산
05 아이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임신 중 요인들
06 다태임신(쌍둥이 임신)의 주의사항
[3545 Special] 임신 중에 조심해야 할 것에 대해 더 알고 싶어요!
8장_ 3540, 엄마가 되기까지
[Mothery Checklist] 출산 용품 리스트
01 엄마와 아이가 함께 겪어낼 출산의 과정
[3545 Special] 순산을 돕는 체조
[3545 Special] 진통을 줄이는 자세
02 자연분만과 제왕절개
9장_ 3545, 엄마가 되었어요
01 출산 후 몸의 변화와 산후 트러블
02 고령 산모의 산후조리
03 모유 수유에 도전하자
04 출산의 마지막 과정, 산후 다이어트
[3545 Special] 산후 다이어트 체조
05 출산 후 부부관계와 피임
[3545 심리테라피] 산후우울증 극복하기
에필로그_ 여성이 건강해야 다음 세대가 건강하다
임신과 출산은 또 다른 삶의 시작이에요
책속에서
35세 이후의 임신은 위험하다?
의학적으로 고위험 임신이란 이미 질병을 앓고 있거나, 임신을 함으로써 임신부와 태아에게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임신중독증, 임신성 당뇨병, 조기진통, 다태임신(쌍둥이 임신), 임산부가 35세 이상인 경우를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합니다. 임신부가 35세 이상인 경우를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하는 이유는 임신성 당뇨병이나 임신성 고혈압 등 임신 중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높고, 다태임신과 이로 인한 난산의 위험, 제왕절개의 분만 빈도, 태아의 조산이나 염색체 이상 등의 확률이 전반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위험하다고 해서 피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닙니다. 일단 만 35세 이상의 늦은 임신으로 만날 수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알고 대처한다면 충분히 위험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임신을 위한 기본 조건
임신 기간을 40주로 잡고, 수정 전에 새로운 난자가 생기는 단계를 임신의 첫 2주로 잡는 것은 여러모로 의미가 있습니다. 사실 임신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기 훨씬 전, 즉 난자와 정자가 아내와 남편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것에서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건강한 임신을 하려면 남편과 아내의 몸 상태와 생활환경이 균형을 이루고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예비 부모는 바쁩니다. 임신 전 검사를 통해 자신의 몸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문제가 있다면 해결하고 필요한 예방접종도 해야 합니다. 운동을 꾸준히 해서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신경관 결손을 예방하고 건강한 난자와 정자가 생성되도록 임신 전부터 엽산을 섭취합니다. 그렇게 몸 상태를 좋게 만들고 나면 배란일에 맞춰서 부부관계를 갖고, 태아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모두 배제하면서 임신이 되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이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때 건강한 아이를 자연스레 임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