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6534411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성과관리는 인생경영 방법론이다
PART 1 성과관리의 본질
성과관리란 무엇인가?
일하는 방식의 혁명
PART 2 성과관리 프로세스 5단계
성과관리 프로세스 한눈에 살펴보기
1단계 : 핵심과제 선정
성과창출에 결정적인 핵심과제
핵심과제를 선정하는 법
현재 상태, 현재 수준 현황파악
2단계 : 성과목표 설정
성과목표란 원하는 결과물의 구체적 기준과 상태
성과목표는 의사결정의 기준
KPI 결정하는 법
성과목표의 적정 수준은 어떻게 판단하나?
성과목표조감도 작성하는 법
3단계 : 성과목표 달성전략 수립
전략은 선택과 집중의 기준
성과목표 달성전략 수립하는 법
4단계 : 성과목표 실행
실행력의 첫 단추는 기획력
성과목표 실행의 핵심, 캐스케이딩
업무계획서 말고 성과기획서
일일 성과관리가 연간 성과목표 달성 좌우한다
기간별 과정 성과평가와 피드백
5단계 : 성과평가와 피드백
리뷰와 프리뷰의 조화
성과평가, 전략평가, 프로세스 평가
면담과 피드백은 ‘코칭’의 형태로
PART 3 성과관리를 잘하기 위한 팁
성과코칭
피플코칭과 성과코칭의 차이
성과코칭의 원리
생각을 묻는 질문과 생각을 들어주는 경청
권한위임
권한을 위임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
델리게이션을 위한 실행도구 : R&R 스케치 페이퍼
소통과 협업
소통의 목적은 정보의 공유와 기준의 공유
미래 경쟁우위는 협업역량에 달렸다
미션과 비전 세우기, 역량향상의 비결
역량은 어떻게 성장하는가?
미션과 비전은 행복한 인생의 기본조건
에필로그_성과의 주인이 되는 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성과 중심으로 사고하고, 전략 중심으로 행동하고, 목표 중심으로 일하고, 가치 중심으로 삶을 살자는 것은 좀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살자는 것이다. 또 실패와 반복되는 실수를 줄이고, 인간답게 행복하게 살자는 것이다. 자기 자신이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 자기주도적으로, 주체적으로 살 수 있다면 궁극적으로 자기완결적인 삶에 가까워진다.
성과관리를 왜 해야 할까? 눈앞의 현실도 중요하지만 미래 비전을 위해 지금 해야 할 일, 즉 인과적인 선행과제를 실천하는 것이 바로 성과관리이기 때문이다. 일 자체보다는 일의 목적과 목표인 ‘원하는 결과물’을 위해 일하는 것이고,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기보다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원하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을 선택하고, 시간과 역량과 자원을 거기에 집중한다는 의미다.
- 성과관리는 인생경영 방법론이다
핵심과제(Critical Success Factor, CSF)는 자신의 역할과제 중에서 정해진 기간 내에 상위조직의 성과창출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과적인 과제다. 정해진 기간 내에 선택하고 집중하여 역량과 자원을 쏟아부어야 할 우선순위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조직마다 주요과제, 전략과제, 중점과제, 우선과제, 성과평가항목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기도 하지만 한정된 자원으로 가장 우선적으로 시간과 예산과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중요한 과제를 의미한다.
핵심과제를 표현할 때는 예를 들어 ‘대형 네트워크 병원 임플란트 매출 증대’, ‘20대 대학생 고객 확보’, ‘영업직 기획역량 강화’ 등과 같이 구체적인 타깃이나 업무대상을 어떻게 하겠다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 성과창출에 결정적인 핵심과제
따라서 자신이 달성해야 할 성과목표를 구체적인 ‘조감도’로 나타내 본다는 것은 다음의 2가지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하나는 일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결과물의 구체적인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 있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미리 파악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조감도를 그릴 때는 그저 집 짓는 순서를 나열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 집 짓는 순서를 나열하는 것은 실행계획에 해당한다. 집을 잘 짓기 위해서는 기초공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1층을 올릴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외벽공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내부 인테리어는 어떻게 할지, 준공검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계획해야 한다. 성과목표조감도를 작성할 때도 마찬가지다.
- 성과목표조감도 작성하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