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65526917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1-02-01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Ⅰ. 한국축제의 이론적 논의와 방향
1. 한국축제의 현재
2. 한국축제의 축제이론 연구 현황
3. 지역축제 기반 축제이론
Ⅱ. 지역축제의 기본 구조와 논의 기준
1. 한국 지역축제 개관
1) 지역축제 성립기반
2) 지역축제의 구성요소
2. 가치시스템으로서의 축제 이해
1) 가치사슬로서의 축제 구조 이해
2) 근현대이행기 축제사의 시스템적 이해
3. 축제 개최의 목적
1) 지역의 목적
2) 지역민의 기대
3) 향수자의 욕구 충족
4) 관련 단체의 가치 실현
4. 지역축제 분석의 기본 구조
1) 역사
2) 공간
3) 주체
5. 지역축제 논의 기준
1) 재맥락화 기반으로서의 역사
2) 재의미화 기반으로서의 공간
3) 축제 운영 핵심으로서의 주체
Ⅲ. 지역축제 분석과 논의 틀 적용
1. 개천예술제의 이해
1) 부문별 역사 반영의 특징
2) 기능 중심의 공간 이해
3) 주체의 인식과 특성
2. 개천예술제 분석
1) 역사반영의 한계
2) 공간기능의 변화
3) 주체 인식의 한계
3. 축제이론의 지역축제 적용과 결과
1) 역사의 재맥락화
2) 공간의 재의미화
3) 주체의 인식변화
4. 지역축제모델로서 개천예술제의 지향점
1) 새로운 전통 만들기와 역사
2) 공간의 장소성 강화
3) 향수자 중심의 축제와 주체
Ⅳ. 지역축제모델 설계
1. 개천예술제의 축제모델 디자인
1) 개천예술제의 다른 관점화
2) 개천예술제의 콘텐츠 디자인
2. 개천예술제의 킬러콘텐츠 개발
1) 킬러콘텐츠 특성화
2) 소프트웨어 전략
3) 라키비움과 축제모델
Ⅴ. 결론
참고문헌
Ⅰ. 국내문헌
1. 단행본
2. 연구논문
3. 기타
Ⅱ. 국외문헌
Ⅲ. 누리집 및 언론
부록
부록 1. 영남예술제 명명기 창제 및 취지문의 변화(1949-1958년)
부록 2. 영남예술제 명명기 취지문(1949-1958년)
부록 3. 개천예술제 명명기 취지문 일부(1959-1981년)
부록 4. 개천예술제 분류표
부록 5. 각 시기별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