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65797867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1-11-1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서문
1부 혁신으로 시대 전환을 꿈꾸다
1장 과학기술 공약 제시
2장 미시경제 총괄, 과학기술부총리제의 탄생
3장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구축
4장 이공계 공직 진출 확대
5장 차세대 과학교과서 편찬
6장 이공계 교육 혁신 및 공학교육인증제 확대
7장 과학문화 확산 및 생활과학교실 운영
2부 혁신의 기반 구축을 꿈꾸다
8장 이공계 청년 연구원 고용확대방안 모색
9장 과학기술공제회 출범
10장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 전문화 추진
11장 특허 심사 기간 단축 및 심사 인력 채용 확대
12장 국가통합품질인증 KC 도입
13장 기술자격제도 혁신 및 인정기술사 폐지
14장 기술가치 평가 및 기술금융 제도 개선
15장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쇄빙선 아라온호 건조
16장 생명윤리법 및 과학기술인 헌장 제정
3부 혁신으로 새로운 성장을 꿈꾸다
17장 차세대 10대 성장동력 육성
18장 기초연구 진흥
19장 바이오 코리아 육성
20장 부품, 소재 및 장치산업 육성
21장 한컴슬라이드 프레지던트 버전과 NEIS 정착
22장 나로호 발사 및 인공위성 연구 활성화 추진
23장 국방 R&D 확대 및 민군 국방산업 협력 강화
에필로그
부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연구개발 예산의 의사결정을 대통령이 직접 결정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점이 바로 과학기술혁신체계의 핵심이다. 과학기술계와 산업계, 인문 및 사회학자, 경제학자 등까지 포함된 의사결정기구를 만들어 토론을 통해 공론을 형성하고 투자 방향을 정해서 예산을 배분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혁신 거버넌스를 만들어 미시경제정책을 총괄하도록 한 구조가 바로 ‘과학기술부총리제’이다. 〈서문〉
노무현 대통령의 과학기술정책 공약은 참여정부에서 거의 그대로 이행하여 실현했다. 이날 발표한 공약의 제목은 〈과학기술인께 드리는 노무현의 약속: 새로운 시대, 과학기술중심사회를 열며〉였다. 예전부터 ‘사이언스 코리아’를 강조했는데 이 영어 표현을 우리말로 고치면서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이후 이 단어는 참여정부의 핵심적인 과학기술정책 기조가 되었으며, 지금도 많은 사람이 무심결에 쓰는 바로 그 단어가 되었다.
〈과학기술 공약 제시〉
이공계 교육혁신을 통해 이공계 인력이 적재적소에 투입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전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공계 교육 혁신을 위한 자문모임을 구성하여 해결방안을 연구하고, 이공계의 의견 수렴을 통해 창조적 인재양성 방안을 수립하여 2005년 3월 29일에 위원장인 대통령이 주재한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이공계 교수들이 직접 대면보고를 하였다. [……] 노무현 대통령은 이공계 학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지원을 확대하여 연구에 전념하도록 방안을 제안한 부분을 높이 평가해주었다. 회의 말미에 대통령께서는 “오늘 보고된 내용은 한 글자도 빠뜨리지 말고 정책에 반영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 결과 2005년 8월에는 교육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재정경제부, 중앙인사위원회, 지방자체단체 등 총 13개 부처와 지역이 참여해 도출한 〈창조적 인재강국 실현을 위한 이공계 인력 육성 지원 기본계획(2006~2010년)〉을 발표하여 실행 계획을 수립하였다. 14대 추진과제를 도출하고 주관부처도 설정하였다. 〈이공계 교육 혁신 및 공학교육인증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