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65860844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0-07-15
책 소개
목차
서문 이동향 5
번역을 마치고 10
지도 20
해설 21
가헌사서문稼軒詞序 61
가헌사稼軒詞 권1
한궁춘漢宮春 봄이 벌써 돌아와 69
만강홍滿江紅 강남에 살면서 73
수조가두水調歌頭 악와에서 온 천리마 같이 77
완계사浣溪沙그대는 품성이 훌륭하여 남들에게 ‘웃음’을 주는 사람 82
만강홍滿江紅붕새가 날개를 펼쳐 날며 85
염노교念奴嬌내 여기 와서 옛일을 회고하며 90
천추세千秋歲변방 성벽 가을 풀이 95
만강홍滿江紅재빨리 서루에 오르는 건 99
만강홍滿江紅좋은 날 아름다운 풍광 102
만강홍滿江紅불이 붙은 듯 빨간 앵도는 105
염노교念奴嬌저녁 바람이 빗방울을 뿌려 108
호사근好事近날마다 서호를 찾아가니 112
청옥안靑玉案동풍이 밤사이 천 그루 나무에 꽃을 피우고 114
감황은感皇恩청명절이 되니 봄빛이 118
감황은感皇恩일흔까지 사는 건 예부터 드물다고 121
성성만聲聲慢수레 먼지 일으키며 123
성성만聲聲慢개원 연간 전성기 때 128
목란화만木蘭花慢늙어가노라니 흥이 줄어드는데 132
서강월西江月기골이 수려한 푸른 솔은 늙지 않고 136
수조가두水調歌頭해 저무는 성 모퉁이 138
일전매一剪梅아득한 가운데 홀로 서서 취한 채 돌아가지 않다가 142
신하엽新荷葉사람이 이미 돌아왔거늘 145
신하엽新荷葉봄빛은 시름과 같더니 149
보살만菩薩蠻청산도 고상한 그대와 이야기하고 싶어 152
보살만菩薩蠻강물에 흔들리어 눈앞은 안개 낀 듯 흐릿한데 154
태상인太常引둥그런 가을 달 금빛 물결 보내오니 156
수룡음水龍吟초 땅 하늘은 천 리에 걸쳐 맑은 가을 159
팔성감주八聲甘州강산의 좋은 곳을 그대에게 맡겼으니 163
동선가洞仙歌강가의 어른들은 166
주천자酒泉子흐르는 강물은 무정하고 169
모어아摸魚兒바라보니 하늘 가득 날아드는 갈매기와 해오라기 171
만강홍滿江紅해 저물어 창망한데 176
보살만菩薩蠻울고대 아래 맑은 강물 179
수조가두水調歌頭조물주는 본디 호방하여 182
만강홍滿江紅한수는 동으로 흘러가며 186
수조가두水調歌頭나에게 술 권할 필요 없으니 190
상천효각霜天曉角오 땅과 초 땅 사이에서 194
자고천鷓鴣天총총히 만나고 헤어짐이 우연이 아니어서 196
염노교念奴嬌들 해당화도 지고 198
자고천鷓鴣天헤어진 서글픔에 백발이 늘었더니 201
자고천鷓鴣天술자리의 풍류를 아는 사람 몇이나 되는가 204
자고천鷓鴣天길 먼지가 얼굴을 덮쳐오는데 가는 길은 멀고 206
자고천鷓鴣天「양관곡」 다 불러도 눈물 마르지 않는구나 208
만강홍滿江紅삼나무가 곧고 굳세게 자라 210
만강홍滿江紅시냇가에 그림자를 비추는 매화 213
수조가두水調歌頭해 떨어지는 변경에 먼지 일어나니 216
만강홍滿江紅시내와 산을 바라보니 220
남향자南鄕子방문 밖에서 봄 꾀꼬리 지저귀더니 223
남향자南鄕子베개 가엔 노 젖는 소리 226
남가자南歌子천 가지 만 가지 한 228
서강월西江月천 길 높은 벼랑은 비취를 깎아 세운 듯 하고 230
파진자破陣子범증은 유방이 준 쌍 옥배를 땅바닥에 내던지고 떠났고 233
임강선臨江仙사람들은 모두 아나니, 현세의 보살이요 236
모어아摸魚兒몇 차례의 비바람을 어찌 더 견뎌낼 수 있으랴? 238
수조가두水調歌頭무창에서 이별의 버들가지 모두 꺾고 242
만강홍滿江紅피리 불고 북 치며 돌아와선 246
목란화만木蘭花慢한중에서 한나라가 나라를 열었으니 250
완랑귀阮郞歸산 앞에 등불이 켜지는 황혼 253
상천효각霜天曉角저녁 산은 첩첩이 푸르고 255
감자목란화減字木蘭花두 눈에 눈물 줄줄 흐르니 257
만강홍滿江紅봄의 신 동군이 원망스러운건 259
만강홍滿江紅이별의 시름을 두드려 부수는 듯 262
만강홍滿江紅신풍의 지친 나그네 264
만강홍滿江紅바람이 뜰의 벽오동나무를 휘몰아쳐서 268
하신랑賀新郞버들 우거진 강가의 뱃길 270
수조가두水調歌頭관아의 일이란 쉽게 끝나지 않으니 273
만정방滿庭芳경국지색이 중매가 없고 276
만정방滿庭芳빠른 관악에 애절한 현악 280
만정방滿庭芳버들 밖에서 봄을 찾고 284
만강홍滿江紅하늘이 문재를 내렸으니 288
서하西河서강의 강물은 292
하신랑賀新郞높은 누각이 솟아있는 강가 295
소군원昭君怨늘 기억하노니 소상 강가의 가을 저녁 298
심원춘沁園春세 갈래 길이 이제 만들어졌으나 300
심원춘沁園春소상 강가에 우두커니 서서 304
보살만菩薩蠻가헌 선생이 날마다 아이들에게 말하지 309
접련화蝶戀花늙어가니 젊은이와 함께하기 두려워 311
축영대근祝英臺近비녀를 둘로 쪼개 나누어 가지고 헤어진 314
축영대근祝英臺近푸른 버들 늘어진 둑 317
석분비惜分飛비취루 앞 방초 길 319
연수금戀繡衾밤이 길고 싸늘해 이불을 더 덮고 322
감자목란화減字木蘭花승방 창밖엔 밤비 내리는데 324
감자목란화減字木蘭花어제 아침 관아에서 통보하였지 326
당다령糖多令청명절이라 맑은 경치 다투어 펼쳐지고 328
남향자南鄕子주인이 좋다고 330
자고천鷓鴣天돌아가고픈 마음이 어지러운 구름 같은데 332
자고천鷓鴣天피곤해도 잠 못 드니 이 밤을 어이 할까 334
보살만菩薩蠻서풍은 모두 행인의 한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