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91165877644
· 쪽수 : 513쪽
· 출판일 : 2024-09-27
목차
서문
Ⅰ 돌봄
재생산 영역은 어떻게 재구성되고 재배치되어야 할까
페미니즘과 문학적 사유를 통해 | 이다 유코
1. 재생산 영역을 둘러싼 담론 지형
2. '생식'은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나
3. '청년 돌봄'을 주제로 한 소설들
4. 돌봄의 위기가 던지는 또 다른 주제들
부모돌봄의 적임자로 호명되는 비혼여성들
초고령사회에서 딸노릇과 비혼됨(singlehood)의 변화 | 지은숙
1. 비혼여성의 부모돌봄에 주목하는 이유
2. 저출산 담론이 위축시킨 비혼됨(singlehood)
3. 노인돌봄의 변화와 부모돌봄자로 호명되는 비혼딸들
4. 부모돌봄의 분배를 둘러싼 자녀세대의 갈등
5. '좋은 돌봄'을 둘러싼 경합과 비혼됨의 재구성
6. 비혼돌봄의 증가와 젠더질서 재편의 가능
Ⅱ 젠더 백래시
일본 #MeToo 운동이 남긴 것
미디어 문화와 페미니즘의 불행한 만남에 대해 | 다나카 도쿄
1. 일본 사회에도 #MeToo 운동은 있었다
2. 미디어 문화와 성폭력
3. 미디어의 응답과 제3 물결 페미니즘: 결론을 대신하여
일본의 #MeToo 운동과 포스트페미니즘 | 조경희
1. 일본의 #MeToo와 포스트페미니즘
2. 페미니즘의 제도화와 젠더 백래시의 맥락
3. #MeToo의 비가시화와 포스트페미니즘 상황
4. 매개로서의 위안부 문제
5. 한국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통로
6. 마치며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나타난 두 번의 젠더 백래시 | 신기영
1. 들어가며
2. 젠더 백래시 이전의 젠더 개념에 대한 수용
3. 2000년대 초중반에 나타난 젠더 백래시
4. 2020년대의 겐더 백래시: 트랜스젠더에 대한 입장을 중심으로
5. 나가며
Ⅲ 주체
87년 이후 광장의 젠더와 계보
한국여성대회, 장애여성운동, 퀴어문화축제를 중심으로 | 허윤
1. 선한 이들의 광장을 훼손하는 '공간 침입자'
2. 1990년대의 광장을 재사유하는 방법
3. 한국여성대회와 여성 의제의 광장 진출
4. 애여성운동과 광장의 교차
5. 퀴어문화축제와 광장의 전유
6. 나가며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 페미니스트 독서/출판의 향방
'여성 에세이'를 중심으로 | 정고은
1. 들어가며
2. 2010년대 에세이 열풍과 '여성 에세이' : 에세이의 전유 주체, 여성-대중
3. 페미니스트 '되기'에서 '살기'로
4. 나오며
중국 개혁개방기 80년대생(80後) 여성의 '욕망' 재현
장소성과 젠더관점을 중심으로 | 김미란
1. 들어가며
2. '성공한 여성'의 삶
3. 〈도쿄여자도감〉의 여성상
4. 80년대생 여성 욕망의 특징과 구성
5. 나가며
Ⅳ 섹슈얼리티
타이완 동성애 문학에 있어서 '일본'
츄마오진과 리 고토미를 중심으로 | 장웬쉰
1. 서론
2. 리 고토미
3. 츄마오진
4. 맺음말
일본의 〈퉁즈문학〉
리 고토미와 일본의 타이완 LGBT문학 수용 | 유수정
1. A Taiwan Woman in Japan
2. 유리, 레즈비언 소설
3. 타이완의 문학, 퉁즈문화
4. 일본의 퉁즈문학
5. 나가며: 경계의 문학
Ⅴ K컬처
젠더화된 메타서사로서 한류, 혹은 K엔터테인먼트 비판 | 류진희
1. 들어가며
2. 한류의 전사: 초국적 동아시아와 여성 팬의 부상
3. K엔터테인먼트의 전사: 걸그룹 전성시대와 여성 청년의 부상
4. 나가며
혐오를 넘어, 연대와 환대의 번역지대로
일본에서의 'K문학' 수용에 관하여 | 김지영
1. 들어가며: 혐오 시대의 번역문학
2. 번역된 'K'의 책장: 『82년생 김지영』에서 'K문학' 붐으로
3. 연대와 환대의 번역지대로: 한국 페미니즘 SF의 일본 수용을 중심으로
4. 나가며: 혐오를 넘어, 타자의 환대를 향하여
Ⅵ 트랜스내셔널
트랜스내셔널 여성문학의 공백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로서의 재일조선여성문학 | 신지영
1. 낯선 익숙함: 여러 경계 위의 텍스트
2.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 뒤늦게 도착하고 있는 '재일조선여성문학'
3. 트랜스내셔널 여성문학 속 공백과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
4. 또 하나의 자기서사 공통장의 모색: 아시아 여성 사이/안의 관계
5.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의 번역·순환과 난민여성문학
박수남 감독 다큐멘터리 속 오키나와의 강제동원 군속과 '위안부' 재현 연구
마이너 트랜스내셔널한 기억과 '비커밍 아웃(becoming out)'으로서의 증언 | 안민화
1. 들어가며
2. 마이너 트랜스내셔널리즘(Minor Transnationalism)과 가만있지 못하는 기억(Restive Memory)
3. 은폐된 기억의 가시화: 재현 (불)가능성
4. 다큐멘터리의 수행성과 비커밍 아웃으로서의 증언
5. 결론을 대신하여: 재일 여성감독의 마이너리티에 대한 기억
참고문헌
집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