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한민국 영토사

대한민국 영토사

(논란의 종식)

조현관 (지은이)
보고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한민국 영토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한민국 영토사 (논란의 종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5878320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5-04-15

책 소개

방대한 기록과 유물 고증을 통해 일제의 식민사관을 극복한 한국 영토사 관련 실질적인 최초의 통사이다. 다양한 고증을 통해 한나라가 설치한 한사군과 고구려 평양이 요녕성에 있었음을 입증했으며, 고대 압록강이 현재의 압록강이 아니라 요령성 혼하이며 살수는 청천강이 아니라 요령성의 태자하인 것을 많은 사료들을 통해 검증했다.

목차

서문

제1장. 한국(韓國)의 기원

제2장. 고조선 위치와 영토

Ⅰ. 고죽국(孤竹國)
Ⅱ. 기자(箕子) 조선

제3장. 삼한의 위치와 강역

제4장. 한사군 위치

Ⅰ. 고고학적 근거
1. 대방 태수 장무이 묘
2. 점제현 신사비
3. 평양 토성 유물
4. 정백리 왕광 무덤
5. 효문 묘 동종
6. 평양 석암리 9호분
7. 평양 정백동 낙랑 목간
8. 관구검 기공비
Ⅱ. 문헌적 근거
1. 낙랑군과 평양의 위치에 대한 직접적인 근거
1) 《요사》 <지리지>
2) 《무경총요》
3) 《원사》 <지리지>
4) 개마대산의 위치에 대한 주석
5) 《후한서》 <지리지 유주 낙랑군>
6) 낙랑군 속현 위치
7) 천남생과 천남산 묘지명
8) 《신당서》 <동이열전 고구려>
9) 《요동지》 <고적조 평양>
10) 《통전》 <주군(州郡) 안동대도호부>
11) 《속문헌통고》 <권229 지고(地考) 요양부>
2. 거리 기록을 통한 한사군과 평양의 위치
1) 《군국지》 거리 기록
2) 《가탐도리기》의 거리 기록
3) 《신당서》 거리 기록
4) 《후한서》 <동이열전>과 《삼국지》 <위서 동이전> 거리 기록
5) 《한원》 <번이부> 거리 기록
3. 마자수와 압록수 및 살수의 위치 고찰을 통한 한사군 위치
4. 《가탐도리기》를 통해 알 수 있는 지명 위치
5. 전쟁 기록으로 본 평양 위치
1) 《삼국사기》 <백제 본기>
2) 《후한서》 <광무 본기>
3)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태조대왕
4) 《삼국지》 <위서>
5)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동천왕
6)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봉상왕
7) 《삼국사기》 <신라 본기> 기림이사금
8) 《삼국사기》 <백제 본기> 동성왕
9)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영양왕
10)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보장왕 20년
11) 《삼국사기》 <신라 본기> 문무왕 8년
12) 《삼국사기》 <신라 본기> 문무왕 10년
13) 《삼국사기》 <신라 본기> 문무왕 12년
6. 패수 위치 고찰을 통한 평양 위치
1) 《사기》 <조선열전>
2) 《한서(漢書)》 <조선열전>
3)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원년
4)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13년
5) 《한서》 <지리지 요동군>
6) 《천남산 묘지명》
7) 《가탐도리기》 <등주해행입고려발해도(登州海行入高麗渤海道)>
8) 《신당서》 <북적열전 발해>
9) 《요사》 <지리지> 동경요양부
10) 《해동역사》 <예문지 13>
11) 기타 《삼국사기》의 패수 기록
7. 우리 역사서가 수정되거나 조작된 증거
1) 통일신라의 행정구역과 북계 기록
2) 《삼국사기》 <지리지>의 9주 기록
3) 국내성 위치
4) 비류수 위치
5) 황룡국, 안시성 위치
6) 초도, 개마, 미추홀의 위치
7) 칠중성과 장새의 위치
8. 요동군 위치 고찰을 통한 한사군 위치
9. 낙랑군 속현 위치 고찰을 통한 낙랑군 위치
10. 요서 낙랑군의 위치
11. 대방군 위치
12. 현도군과 임둔군 위치
13. 진번군 위치

제5장. 열국시대
Ⅰ. 예맥과 옥저 위치
1. 예맥의 위치
2. 옥저 위치
Ⅱ. 고구려 건국지
Ⅲ. 부여 건국지
Ⅳ. 백제 건국지
Ⅴ. 신라 건국지
Ⅵ. 가야 건국지
Ⅶ. 임나일본부
Ⅷ. 열국의 시기별 영토사
1. 건국 초기(서기전 1세기 중엽에서 서기 1세기 중엽)
2. 1세기 중엽에서 2세기 말
3. 3세기 초에서 4세기 중엽
4. 4세기 중엽에서 5세기 중엽
5.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초
6. 6세기 초에서 7세기 중엽
7. 7세기 중엽에서 백제 멸망 시기
8. 백제 멸망(660)~고구려 멸망 시기(668)
9. 나당 전쟁 기간
Ⅸ. 통일신라 영토
1. 《가탐도리기》 <등주해행입고려발해도(登州海行入高麗渤海道)>
2. 《주해도편(籌海圖編)》에 나오는 신라채
3. 《삼국사기》 <신라 본기>
4. 《요사》 <지리지 동경도 요주>
5. 《신당서》 <북적열전 발해>
6. 《고려사》 <홍유열전>
7. 《만주원류고》 <부족 신라>
8. 통일신라의 행정구역
9. 《고려사》 <세가>
10. 허항종의 《선화 을사봉사 금국행정록(宣和乙巳奉使金國行程錄)》
11. 고려 초기 영토 기록

제6장. 발해 영토사(696~926)
Ⅰ. 발해 5경 위치
Ⅱ. 시기별 영토 변화
1. 발해 건국(698)~발해 선왕(9세기 초)
2. 발해 선왕(9세기 초)~발해왕 대인선(918년 전후)
3. 발해왕 대인선(918)~대인선 말기(926)
4. 정안국(938~10세기 말)
5. 흥요국(1029~1031)

제7장. 후삼국시대 영토사

제8장. 고려 영토사

Ⅰ. 고려 국경의 기록
1. 《고려사》 <홍유열전>
2. 《고려사》 <세가> 성종 10년
3. 《고려사》 <세가> 성종 13년
4. 《고려사절요》 성종 12년
5. 《고려사》 <세가> 선종 5년
6. 문종 2년 박인량 진정표
7. 《거란국지(契丹國志)》
8. 《고려사》 <세가> 숙종 2년
9. 《고려사》 <세가> 현종 17년
10. 《고려사》 <세가> 예종 12년
11. 서긍의 《선화봉사 고려도경》
12. 허항종의 《선화을사봉사 금국행정록(宣和乙巳奉使金國行程錄)》
13. 《고려사》 <세가> 인종 4년
14. 《요사》 <지리지 동경도> 신주
15. 《금사》 <외국열전>
16. 보주(保州)와 내원성(來遠城)의 위치
17. 《금사》 <지리지 동경로 요양부>
18. 《추리도》의 내원성 위치
Ⅱ. 강동 6주 위치
1. 흥화진(興化鎭), 곽주(郭州)
2. 통주(通州)
3. 귀주(龜州)
4. 철주(鐵州), 안의진(安義鎭), 맹주(孟州), 용주(龍州)
Ⅲ. 고려 천리장성 위치
Ⅳ. 동북 9성 위치
Ⅴ. 서경과 동녕부 및 쌍성총관부 위치
1. 서경과 동녕부
2. 쌍성총관부
Ⅵ. 시기별 영토 변화
1. 고려 태조 원년(918)~고려 광종(미상)
2. 광종(미상)~성종 13년(994)
3. 성종 13년(994)~현종 1년(1010)
4. 현종 1년(1010)~현종 6년(1015)
5. 현종 6년(1015)~예종 2년(1107)
6. 예종 2년(1107)~예종 3년(1109)
7. 예종 3년(1108)~고종 17년(1230)
8. 고종 17년(1230)~고종 45년(1258)
9. 고종 45년(1258)~충렬왕 16년(1290)
10. 충렬왕 16년(1290)~공민왕 5년(1356)
11. 공민왕 5년(1356)~조선 건국(1392)

제9장. 조선 영토사
Ⅰ. 4군 위치
Ⅱ. 6진 위치
Ⅲ. 시기별 영토 변화
1. 조선 초기(조선 건국~성종, 15세기 말)
2. 성종(15세기 말)~숙종(18세기 초)
3. 숙종(18세기 초)~간도 협약(1909)
4. 간도협약 이후

제10장.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1945년 8월 15일)

제11장. 남북 분단 시기(1945년 8월 15일~현재)

독도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조현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 졸업 후 공기업에서 근무했다. 오래전 《삼국사기》를 읽던 중 압록강의 위치 및 우리 영토사가 왜곡되었음을 알았다. 우리 영토사를 제대로 밝히기 위해 연구를 계속했고 원고 작성에만 3년 이상이 걸렸다. 저서로는 장편 역사소설 《현자 곽재우》가 있다.
펼치기
조현관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