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6494956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03-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선비문화의 향기
· 선비란 무엇인가?
2. 선비의 표상
· 조선 건국의 혁명가 삼봉 정도전(三峰 鄭道傳)
· 원칙과 정의를 앞세워 개혁을 주창한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
· 동방의 주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
· 은둔(隱遁) 학자의 대명사 남명(南冥) 조식(曹植)
· 송도삼절(三絶)로 이름난 화담 서경덕(花潭 徐敬德)
· 천재 학자 율곡 이이(栗谷 李珥)
· 퇴계와 사단칠정(四端七情)에 대한 7년 논쟁을 벌인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
· 난국을 슬기롭게 극복한 명재상 서애 유성룡(西厓 柳成龍)
· 느리게 흐르는 물처럼 시공을 초월한 지천 최명길(遲川 崔鳴吉)
· 도덕국가 문화국가 기초를 다지기 위해 예(禮)의 정치를 주장한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 붕당의 시대에도 끝까지 도덕성을 지켜 낸 미수 허목(眉? 許穆)
· 실학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 조선조 말 충절을 지킨 매천 황현(梅泉 黃玹)
· 을사조약을 반대하다가 대마도에 끌려간 면암 최익현(勉庵 崔益鉉)
3. 선비의 풍류와 읽어 볼 만한 고전
· 선비의 풍류와 멋
· 고전(古典)에서 배우는 처세훈(處世訓)
· 알렉산더도 늘 고전을 탐독했다
· 한국 문화의 뿌리를 알자
· 공자와 《논어(論語)》
· 《장자(莊子)》를 읽어라
· 오월동주(吳越同舟) 시대의 《손자병법》
· 궁형(宮刑)의 고통을 참아 내며 쓰인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 서양사기 《플루타크 영웅전》
· 유배지에서 쓴 《목민심서(牧民心書)》
· 선비의 뿌리와 시대에 부합된 선비상
· 선비가 보여 준 정의와 불굴의 정신
· 원술(元述)과 어머니 지소부인(智炤夫人)
· 신라인의 나라 사랑과 의리 그리고 부모에 대한 효성
· 선비의 절개는 친형이라도 꺾지 못한다
· 석양에 지나며 눈물겨워 하는 원천석
· 내게는 종이 한 장도 없다는 안성
· 쓸모 있는 者에겐 보답이 있다
· 살아서는 임금의 형이 되고 죽어서는 부처의 형이라고 말한 양녕대군
· 반성할 줄 모르는 것을 더 부끄럽게 여긴 허성
· 혼인함에 책을 예물로 쓴 유효통
· 이 몸이 죽어서 무엇이 되리오, 하고 탄식한 성삼문
· 선비답게 살다 간 이덕무
4. 고전(古典)의 학습단계와 교과목
· 《천자문(千字文)》
· 《동몽선습(童蒙先習)》
· 《격몽요결(擊蒙要訣)》
· 《사자소학(四字小學)》
· 《유합(類合)》
· 《천고담(天高談)》 기호학파에선 추구(推句)
· 《명심보감(明心寶鑑)》
· 《통감절요(通鑑節要)》
· 《사략(史略)》과 《십팔사략(十八史略)》
· 《고문진보(古文眞寶)》
· 《소학(小學)》
· 《대학(大學)》
· 《중용(中庸)》
· 《논어(論語)》
· 맹자(孟子)(BC372~289)의 생애와 사상
· 《시경(詩經)》
· 《서경(書經)》 또는 《상서(尙書)》
· 《주역(周易)》 또는 《역경(易經)》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 《여씨춘추전(呂氏春秋傳)》
· 《예기(禮記)》
5. 학문의 전당 서원(書院)
· 서원 제1호 소수서원(紹修書院)
· 서원 제2호 옥산서원(玉山書院)
· 서원 제3호 도산서원(陶山書院)
6. 중국의 고전시가(古典詩歌)
· 요순(堯舜)시대
· 은(殷)나라의 개국과 큰 가뭄
· 주(周)나라의 건국과 시가
· 열국(列國)의 나라 이름과 나라별 풍류의 제목
· 천자국(天子國)의 풍류 7편
· 《시경(詩經)》
· 《초사(楚辭)》와 굴원(屈原)
· 시선(詩仙) 이백(李白)
· 시성(詩聖) 두보(杜甫)
7. 한국의 고전시가(詩歌)
· 삼국시대(三國時代)
· 고려시대(高麗時代)
· 조선시대(朝鮮時代)
8. 선비정신으로 살아온 나의 발자취
· 21세기와 효(孝) 사상
· 공무원이 가야 할 길
· 사문학회(斯文學會)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산(泰山) 탐방
9. 고전에서 뽑은 명언 한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