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기타 종교
· ISBN : 979116684047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0-12-28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머리말
1. 지리적 배경
2. 삼척 지역 전통 사찰
1장 천은사의 역사
1. 관련 문헌 검토
2. 천은사의 역사적 의의
2장 이승휴 선생과 천은사(간장사)
1. 관련 기록
2. 『제왕운기』의 산실, 용안당(간장사, 천은사)
3장 준경묘·영경묘의 조포사, 천은사
1. 준경묘·영경묘 수축 과정
2. 조포사로서의 천은사
4장 천은사가 보유한 유물·유적
1. 이승휴 선생 관련
2. 금석문과 각종 기록
3. 유형문화재
4. 민속문화재
5장 천은사 내 전각과 불교 민속
1. 동안사와 사찰 내 전각
2. 천은사에서의 불교 세시
3. 49재와 천도재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1. 천은사(간장사·흑악사)가 기록된 고지도 해제
2. 지리지(地理志)를 통해 본 두타산과 천은사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편집자의 말
‘천은’이라는 사명
‘천은’이라는 이름은 곧 하늘의 은혜라는 뜻이다. 하늘은 보통 통치자를 상징한다. ‘천은’이라는 사명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 대한제국기라는 점을 고려해 보면, 하늘은 넓게 보면 대한제국의 황실, 좁게 보면 대한제국의 황제를 의미할 것이다. 그런데 이전까지 흑악사, 간장사 등으로 불렸던 천은사가 이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불교의 나라였던 신라나 고려가 아닌 대한제국기라는 점은 그 이름의 유래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낸다. 대한제국은 조선의 바뀐 명칭이며, 조선은 숭유억불의 나라였다. 그런데 ‘하늘의 은혜’라니, 어찌 된 것일까? 그 자세한 내막을 알기 위해서는 천은사 주변의 준경묘·영경묘와 천은사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나 우선은 그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전에, 준경묘와 영경묘가 어떤 묘인지부터 알아보자. 준경묘와 영경묘는 태조 이성계의 5대조 양무장군과 그 부인의 묘이다. 즉, 조선 왕실의 실묘인 것이다. 비록 준경묘와 영경묘에 대한 국가적 보호와 제사는 계속되었으나, 준경묘와 영경묘가 정식으로 인정받고 수축한 것은 대한제국기였다. 조선(대한제국)은 개항을 전후하여 혼란에 휩싸이게 되었고, 이러한 혼란 속에서 왕실의 권위를 유지하고 나아가 왕조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준경묘와 영경묘를 수축했다. 그런데 왕실의 묘라는 것은 단순히 묘역을 조성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었다. 묘가 있다면 그 묘를 관리하고 수호할 주체 역시 있어야 하며, 묘에 지낼 제사를 위한 준비를 담당하는 주체 역시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주체로 선정된 것이 바로 삼척의 흑악사였다. 흑악사는 준경묘와 영경묘의 원찰이자 준경묘와 영경묘 제사에 소용될 두부를 만드는 조포사로 지정되었고 그 대가로 각종 잡역이나 세금을 면제받았다. 그리고 그 이후로 ‘천은’이라는 사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유서 깊은 사찰, 천은사
그렇다면 왜 조선 왕실은 삼척의 많은 절 중에 유독 흑악사를 골라 조포사로 지정했을까? 왕실의 원찰을 지정하는데 단순 거리가 가깝다는 이유만으로 선정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천은사는 풍수지리적으로 보면 준경묘와 영경묘에 이어지는 백두대간의 지기가 두타산을 거쳐 쉰움산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천은사로 이어져, 준경묘·영경묘와 같은 지기를 받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흑악사는 유서 깊은 사찰로서 삼척의 중심 사찰 중 하나였다. 흑악사에는 신라 최전성기의 양식을 계승한 유물인 금동약사여래입상부터 고려 후기 단아 양식의 불상을 계승한 조선 전기의 목조아미타삼존불 등의 유물이 있다. 즉 신라 최전성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그 법통이 이어져 내려오는 사찰이었던 것이다. 흑악사를 조선 왕실의 뿌리인 준경묘·영경묘의 원찰로 지정하는 데에는 흑악사의 이러한 역사성 역시 한몫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흑악사가 곧 동안 이승휴 선생이 10여 년간 머물며 민족의식과 역사적 정통성을 내포한 『제왕운기』를 저술한 간장사라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나아가 『제왕운기』의 저술이 몽골의 침입으로 인한 혼란기로 인해 민족의식과 역사적 정통성의 고취에 그 목적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준경묘·영경묘의 수축 역시 근대 외세의 침입으로 인한 왕실의 정통성 고취에 있다는 점을 되돌아보면, 천은사가 우리 역사 속에서 중요한 사찰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천은사의 역사와 지리, 불교 의례와 민속, 유물과 유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천은사를 고찰한 책이다. 더욱이 저자는 새롭게 발견된 자료들을 통해서 이승휴 선생과의 관련성만을 중심적으로 파악했던 종래의 연구와는 다르게 천은사를 더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천은사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지금까지 조사·연구된 천은사 관련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민속문화재, 전각, 불교 민속 등을 새롭게 조사·정리하여 소개하였다. 이에 더하여 천은사가 터를 잡은 쉰움산과 천은사 불사(佛事)에 동참하였던 이 지역 전통 사찰을 간단하게 서술하였다. 이를 통하여 천은사의 연혁과 역사적 의미를 새롭게 정립하고, 도량이 지닌 성격, 사찰과 스님·신도들이 어우러진 신앙 공간으로서의 천은사를 새롭게 보여 주려 한다. _머리말
이를 종합해 보면 첫째, 사명이 간장암에서 흑악사로 바뀌어 가고, 둘째, 조선 중기 이후 흑악사의 별칭이 간장암이거나 산내 암자로서 간장암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아무튼 허목이 『척주지』를 서술한 이후에도 천은사의 사명은 흑악사와 간장사(간장암)가 서로 교대 또는 혼용되고 있다. _1장 천은사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