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화양국지 - 하

화양국지 - 하

(권9~권12)

상거 (지은이), 이은상, 임승권 (옮긴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화양국지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화양국지 - 하 (권9~권12)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91166841620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01-31

책 소개

동진 때 상거가 편찬한 <화양국지>는 현존하는 중국 최초의 지방지이다. 신화의 시대에서 시작하여 동진 영화 3년에 이르기까지 지금의 사천, 운남, 귀주, 감숙, 섬서, 호북 지역의 역사, 정치, 군사, 문화, 풍속, 인물 등 비교적 풍부한 중국 서남 지역의 고대 민족 사료를 보존하고 있다.

목차

역주자의 말 4
권9 이특웅기수세지(李特雄期壽勢志) 13
권10상 선현사녀총찬(先賢士女總贊) 51
권10중 선현사녀총찬(先賢士女總贊) 99
권10하 선현사녀총찬(先賢士女總贊) 167
권11 후현지(後賢志) 229
권12 서지(序志) 301
익량녕삼주선한이래사녀목록(益梁寧三州先漢以來士女目錄) 321
찾아보기 374

저자소개

상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략 291~361. 자는 도장(道將)이며, 촉군(蜀郡) 강원현[江源縣, 지금의 사천성 숭경현(崇慶縣)] 사람이다. 그의 집안은 후한(後漢, 25~220) 때부터 진(晉, 266~420)나라 때까지 강원 지역에서 대대로 관리를 지낸 문벌사족이었다. 서진(西晉, 266~317) 말에 저족(氐族) 사람 이웅(李雄, 274~334)이 촉(蜀) 지역의 성도(成都)에 성한(成漢, 304~349) 왕조를 세웠다. 상거는 이 성한 왕조의 세 번째 황제인 이기(李期, 재위 334~338)와 네 번째 황제인 이수(李壽, 재위 338~343)의 시대에 사관(史官)으로 재직하면서 《양익이주지지(梁益二州地志)》, 《파한지(巴漢志)》, 《촉지(蜀志)》, 《남중지(南中志)》를 저술했다. 여기에서 당시 수많은 지방정권 가운데 하나인 성한 왕조의 통치자들이 대내외적으로 그 정통성을 인정받고자 왕조의 역사서를 편찬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작은 지방정권의 사관이었던 상거는 정치적, 사회적 상황이 급변했던 시대적 상황에 직면하여 새로운 환경에서 서남을 바라보게 되었다. 동진(東晉, 317~429) 영화(永和) 3년(347)에 환온(桓溫, 312~373)이 촉 지역을 정벌하자 그는 성한의 마지막 황제인 이세(李勢, 재위 343~347)에게 투항할 것을 권했다. 상거는 그 공을 인정받아 중원(中原)의 문벌사족들이 주축을 이룬 동진 정부에서 관직 생활을 했지만 지역 차별로 인해 그의 벼슬길이 그리 순탄하지는 않았다. 이에 그는 멸망한 성한 왕조에 대한 회한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예전에 저술했던 《양익이주지지》, 《파한지》, 《촉지》, 《남중지》 등을 모아 중국 서남 지역의 역사인 《화양국지(華陽國志)》를 편찬했다. 상거는 제국에 소속된 사관이 아니라 지방정권인 성한의 사관으로서 파(巴), 한중(漢中), 촉(蜀), 남중(南中) 등 지역의 정체성을 표상하는《화양국지》를 기술하여 최초로 중국 서남 지역의 역사를 썼다.
펼치기
이은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미국에서 중국 문학을 공부했다. 중국 신화와 소설에 관한 내용을 박사 학위 논문으로 썼다. 현재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연구원으로 있다. 2007년에 출간된 《시와 그림으로 읽는 중국 역사》를 시작으로 2021년에 《이미지 제국: 건륭제의 문화 프로젝트》가 나오기까지 10권의 책을 썼다. 대학원 시절 조식(曹植, 192~232)을 전공한 스승 Prof. Robert Joe Cutter의 가르침을 받으며 《화양국지(華陽國志)》를 처음 접했다.
펼치기
임승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대구에서 출생했으며 서울에서 성장했다. 오랜 시간 대만과 홍콩, 중국 대륙을 오가며 중국의 토지경제를 공부했다. 국토연구원 동북아연구팀과 토지공개념연구위원회에 참여했다. 대만의 국립정치대학에서 〈土地使用分區管制之比較硏究〉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시아나 항공에 입사하여 금호그룹의 임원으로 중국 내 업무와, 금호고속 정비공장장을 지냈다. 전경련 국제경영원, 한국무역협회 등에서 강의했으며, 청운대학교 중국학과에서 정년퇴직했다. 저서로는 《중국토지제도론》, 《중국학개론》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중국경제대추세》, 《중국 풍류를 마시다》, 《마오쩌둥의 의식주》 그 밖에 다수의 중국 관련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주(周)나라 말기에 파(巴)나라에서 내란이 발생했다. 파나라의 장군 만자(蔓子)가 초(楚)나라에 군사를 요청하면서 그 대가로 3개 성을 주기로 허락했다. 초왕(楚王)이 파나라를 구원했고, 파나라가 안정되자 초나라는 사자를 보내 약속한 성을 요구했다. 만자가 말하기를, “초나라의 영명함에 의지하여 화란을 제거할 수 있었다. 우리가 진실로 초왕에게 성을 주기로 허락했으니 장차 내 머리로 사례할 것이지만, 성은 가져갈 수는 없을 것이다.”라고 했다. 마침내 만자가 스스로 목을 베어 자결했고, 파나라에서 그의 머리를 초나라 사자에게 주었다. 초왕이 탄식하여 말하기를, “내가 파나라의 만자 같은 신하를 얻을 수만 있다면, 무엇하러 성을 요구하겠는가?”라고 했다.


겨울 10월에 이수와 비흑은 주제(朱提)에 이르렀다. 주제 태수 동병(董炳)이 성을 굳게 지켰다. 영주 자사(寧州刺史) 윤봉(尹奉)이 건녕 태수(建寧太守) 곽표(霍彪)와 대성(大姓) 흔심(釁深) 등을 보내 동병을 돕게 했다. 그때 이수는 이미 성을 포위하고 그들을 맞아 막으려 했다. 비흑이 말하기를, “성 안에 식량이 적을 것이 예상됩니다. 곽표 등이 이른다 하더라도 식량이 많지 않습니다. 마땅히 그들을 성으로 들어가게 해서 함께 그 곡식을 소비하게 해야 합니다. 오히려 구원병이 적을 것을 염려해야지 어찌 성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으려 하십니까?”라 했다. 곽표 등이 모두 성으로 들어갔다. 성이 오래도록 함락되지 않자 이수는 급공(急攻)
하려 했다. 비흑이 간하여 말하기를, “남중(南中)의 도로는 험난하고 이곳 사람들은 반란하기를 좋아합니다. 마땅히 그들의 거짓 용맹함이 곤궁해질 때를 기다려야 합니다. 다만 시간을 들여 그들을 제압하여, 군사가 무사히 온전하게 승리를 거두어서 그 여력으로 〈영주를〉 공격해야 합니다. 더러운 우리 속 물건에 급급할 필요가 있겠습니까?”라고 했다.


두진(杜眞)은 자가 맹종이고, 면죽(綿竹) 사람으로, 문장(文章) 백만 자를 외웠다. 그의 형이 적포(翟酺)를 섬겼다. 적포가 면직된 뒤에 상서령(尙書令)과 사례교위(司隷校尉)가 그를 모함하여 탄핵하고, 감옥에 가두었다. 두진이 상소하여 그를 구하려다가 태형(笞刑) 6백 대를 받고 감옥에 들어가서도 적포에게 죄가 없음을 밝히자, 경사(京師) 사람들이 그를 장렬하다고 칭송했다. 한(漢)나라의 도통(道統)이 쇠미해지자, 재산을 종족(宗族)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는 주(州)의 벽소에 응하지 않고, 장리(長吏)가 되는 것을 사양했다. 관리들이 매번 번갈아가며 그의 집 문 앞에서 그를 맞이하려고 기다렸지만, 마침내 스스로 머리카락을 잘라 벼슬과의 인연을 끊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