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원교육과 과거

서원교육과 과거

김자운 (지은이),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원교육과 과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원교육과 과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생활풍속사
· ISBN : 9791166843662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12-02

책 소개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4
들어가는 말 11

1. 조선 서원의 탄생 19

2. 서원관의 변화: ‘과업지소(科業之所)’에서 ‘도학지소(道學之所)’로 27

과거 공부의 명소가 된 16세기 소수서원과 주세붕의 서원관 29
조선 서원의 강학 이념을 확립한 이황의 서원관 33

3. 유학의 교육 원리가 철저히 구현된 서원의 교육 공간 39
서원은 왜 경치 좋은 곳에 있을까? 41
서원의 공간 구성에 반영된 교육 원리 47

4. ‘관계의 교육학’을 실현하기 위한 서원의 공부법 63
몸과 마음의 소통을 위한 공부법 65
지식 전수와 의례의 통합 69
‘호혜적 관계’를 위한 공부법 74

5. 서원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교육 활동과 유생들의 하루 일과 85
서원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교육 활동 87
‘거재’의 절차와 유생의 하루 일과 90
‘거접’의 절차와 유생의 하루 일과 99

6. ‘과업’과 ‘도학’의 조화를 위해 고군분투했던 소수서원 107
16세기 소수서원의 특권적 지위와 교육의 관학적 성격 112
17세기 과업에 대한 비판과 ‘파격’ 논쟁 120
18세기 도학서원으로의 정착과 교육 과정의 변화 128
19세기, 시험을 통해 시험의 폐해를 가르치다 146

7. 학규에서는 과업을 금했으나 현실에서는 병행한 석실서원의 일화 155
과업을 엄격히 금지한 석실서원 학규와 ‘실심·체행’의 강학 이념 157
공부의 네 가지 등급과 ‘유학의 적’으로 규정된 ‘과업’ 174
어느 해 과거시험이 있던 날, 석실서원에 홀로 남겨진 스승 김창협 181

나오는 말 193
참고문헌 198

저자소개

김자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공주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조선시대 소수서원 강학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관계의 교육학’을 키워드로 동서양 교육이론의 소통과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 『석실서원』, 『사라진 스승: 다시 교사의 길을 묻다』, 『한국 서원의 로컬리즘』, 「1765년 호계서원《 대학》 강회 연구」,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퇴계와의 대담」 등이 있다.
펼치기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정보 더보기
한국국학진흥원은 ‘국학진흥을 통한 글로컬 시대의 인류문화 창달에 기여’라는 목표 아래 전통 기록유산을 중심으로 민간 소장 국학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 보존과 연구 활용 사업을 펼치고 있는 한국학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 고문헌과 유교 책판 등의 기록유산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데에도 힘을 쏟고 있으며, 그런 기록유산들 속에 알알이 박혀 있는 한국적 스토리텔링 소재를 발굴하여 콘텐츠 제작 현장에 제공하는 일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을 통해 자라나는 미래 세대에 선현들의 지혜를 전승하고, 한문교육원과 유교문화박물관을 운영함으로써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급에도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16세기 과업을 준비하는 관학의 보조 기구이자 제왕학과 치용론의 관점에서 서원을 이해했던 주세붕의 서원관을 거쳐 이황에 의해 도학서원으로서의 강학 이념이 확립되면서 조선 서원에는 ‘관계의 교육학’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 제도가 차츰 정착되어 갔다. 여기서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 몸과 마음의 전인적 수양을 위한 관계의 교육학이 철저하게 구현된 교육 환경으로서 서원의 교육 공간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식과 덕성의 결합을 위한 서원의 또 다른 공부법으로는 매일 학습의 과정에 수반되었던 ‘강학 의례’를 들 수 있다. 이는 서원교육의 가치와 덕목을 체험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한 장치의 하나였다. 다산 정약용은 목민심서에서 ‘옛날의 이른바 학교는 예(禮)를 익히고 악(樂)을 익히는 곳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예도 무너지고 악도 무너져서 학교의 교육은 독서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라며 ‘예악’을 상실한 당시 교육을 비판한 바 있다. 독서를 통한 ‘지식 전수’와 ‘예악’을 통한 전인적 성장은 예부터 유학 교육의 두 축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런데 서원에서는 비록 ‘악’ 교육은 사라졌지만 독서를 통한 지식의 전수와 의례를 통한 교육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었다.


서원에서 이루어진 교육 활동은 크게 ‘도학’을 목적으로 한 활동과 ‘과업’을 목적으로 한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앞의 4장에서 소개한 강회와 통독, 강학 의례 등은 모두 ‘도학’에 해당하는 교육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서원에서는 ‘도학’ 외에 2장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과업’(과거 공부)을 위한 교육도 병행하였다. 도학을 목적으로 한 교육 활동으로는 거재(居齋), 강회(講會), 통독(通讀)이, 과거 대비를 목적으로 한 교육 활동으로는 거접(居接), 순제(旬製 혹은 旬題), 백일장이 있었다. 거접, 백일장, 순제에서는 ‘과거 대비’라는 목적하에, 과거시험 과목 중 제술 과목에 해당하는 ‘시(詩)?부(賦)?의(疑)?의(義)?책(策)’의 답안 작성 훈련과 평가가 이루어졌다. 거재, 통독, 강회에서는 ‘도학의 탐구와 실천’을 목적으로 개별 독서 및 일종의 집단 세미나에 해당하는 강회, 통독이 병행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