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말뭉치에 기반한 현대중국어 허사 유의어 대조 연구

말뭉치에 기반한 현대중국어 허사 유의어 대조 연구

任海波 (지은이), 이은경, 이나현, 이현진 (옮긴이)
한국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말뭉치에 기반한 현대중국어 허사 유의어 대조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말뭉치에 기반한 현대중국어 허사 유의어 대조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6685053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11-30

책 소개

대규모 실제 텍스트말뭉치를 연구의 기반으로 삼았다. 상호 관련성과 대조 분석의 관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정량분석으로부터 정성분석을 도출하였다. ‘변수’와 ‘함수’의 관계 규명을 분석 원칙으로 삼았다.

목차

들어가며  
‘以前’, ‘之前’, ‘从前’의 대조 분석  
‘原来’와 ‘本来’의 대조 분석  
‘从而’과 ‘因而’의 대조 분석  
‘一直’와 ‘从来’의 대조 분석  
‘逐渐’과 ‘渐渐’의 대조 분석  
‘轻易’, ‘容易’, ‘随便’의 대조 연구  
‘亲自’와 ‘亲身’의 대조 분석  
‘一连’과 ‘连续’의 대조 분석   
‘看上去’와 ‘看起来’의 대조 분석   
‘最后’와 ‘最终’의 대조 분석  
‘一律’와 ‘一概’의 대조 분석  
‘一向’과 ‘一贯’의 대조 분석  
‘时时’와 ‘不时’의 대조 분석  
‘常常’과 ‘通常’의 대조 분석  
‘依然’과 ‘仍然’의 대조 분석  
‘多亏’와 ‘幸亏’의 대조 분석  
‘不妨’과 ‘姑且’의 대조 분석  
‘自然’과 ‘当然’의 대조 분석
‘经过’와 ‘通过’의 대조 분석 
‘现在’와 ‘目前’의 대조 분석 

저자소개

任海波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3년 7월 杭州大学 중문과를 졸업하고, 1986년 6월 华中工学院(현 华中科技大学)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1986년 6월부터 1997년 9월까지 浙江大学 중문과에서 강의를 했으며, 2000년 6월에는 上海师范大学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0년부터는 上海师范大学 对外汉语学院에서 후학양성은 물론 오랜 기간 언어학과 응용언어학 연구에 매진하였다. 12개의 국가지원 연구과제를 주도하고 참여하였으며, 현대중국어 문법,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교육, 중국어 계산언어학, 말뭉치 언어학, 중국어 다매체 교육에 관련된 연구성과 50여 편을 『中国语文』, 『语言教学与研究』, 『语言文字应用』, 『语言科学』, 『对外汉语研究』, 『中国言语研究』(한국), 『中国文学』(한국) 등 중국과 한국의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은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강사
펼치기
이나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역학과 강사
펼치기
이현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외교통상학부 강사
펼치기

책속에서

말뭉치 언어학이 시작된 지 50여 년이 흘렀다. 초기에는 컴퓨터 하드웨어 여건이 좋지 않아 말뭉치의 발전이 상대적으로 느렸지만 1980년대부터 컴퓨터 하드웨어가 개선되고 대규모 말뭉치가 지속적으로 구축됨에 따라 말뭉치 방법론을 사용한 언어 연구가 점차 중시되었고, 영국언어학자 Randolph Quirk 등의 『A Grammar of Contemporary English』,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와 버밍엄대학과 콜린스 출판사가 합작한 『COBUILD 영어사전』이 탄생하면서 사람들은 말뭉치가 언어 연구와 사전편찬 분야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더 명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90년대부터는 인터넷이 보급됨에 따라 전자텍스트 형식의 언어자료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였고, 말뭉치 기반으로 언어를 연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말뭉치는 언어 연구를 위해 풍부하고도 충분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빌어 언어의 많은 현상을 증명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 이성주의 연구 방법으로 분석할 때 종종 대처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던 부분이다. 언어연구자의 사명은 언어의 실제를 살피고 언어규칙을 파악하는 것이다. 말뭉치의 방법으로 언어를 연구하면 이성주의 연구성과에 대한 진전된 검증이 가능하고 이는 언어연구자의 사명감을 회복할 수 있는 탐색의 길이다.
중국어 말뭉치는 1980년대 초반에 출현하여 90년대에는 중국어 정보처리 연구에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현대중국어 문법연구에서는 최근 10년 사이에 주목받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가장 큰 실제 텍스트말뭉치는 이미 10억 자 규모를 초과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문법연구는 말뭉치 용례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방법을 취했는데 이것은 사실상 전통적인 연구방법과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전수 통계와 분석방법을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정 대조 분석을 위해 일정 규모의 말뭉치를 수집하여 연구말뭉치를 만들고 이러한 말뭉치 범위 내에서 모든 관련 용례를 전수조사하여 각 용례를 분석하고 처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관련 통계 수치를 도출해 논제에 대한 묘사와 설명에 사용하였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필자는 연구에 제공될 수 있는 현대중국어 말뭉치를 다량 수집하였는데, 이러한 말뭉치는 주로 신문, 잡지, 소설, 전기, 산문, 공문 등 매체를 포함하며 5억 자 이상의 규모이다. 또한 이러한 말뭉치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말뭉치 처리 가공에 필요한 여러 소프트웨어를 설계·제작하였다. 이로써 중국어 언어 현상의 정량분석을 위한 견실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현대중국어에서, 허사는 대부분 의미적으로 상호 관련되면서도 구별된다. 朱德熙는 『语法讲义』에서 현대중국어 허사 ‘还’, ‘再’, ‘又’, ‘重新’ 사이의 관련되고 구별되는 의미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관련성과 차이를 정확히 하는 것은 중국어 교육(특히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에 매우 필요한 일이다. 위에서 언급한 현대중국어 허사 연구와 관련된 저서와 사전류는 서로 다른 정도로 이러한 어휘들의 비교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일부 비교분석은 과도하게 세세하고 잡다하거나 또 불필요한 사족들이 있는 경우도 있어서 종종 학습자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학습의 두려움을 야기하기도 한다.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는 『일반언어학강의』에서 언어의 모든 성분은 늘 다른 성분과 상호 관련되고 상호 대립하는 관계에 있으며 이러한 연관관계와 대립관계는 늘 언어의 조합축과 계열축에 구현되며 이로써 언어체계를 형성한다고 하였다. 중국어에서 유사한 의미의 허사를 대조 연구할 때 이같이 중요한 체계성의 원칙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언어성분(단위)을 선택하여 대조를 진행할 때 우선 상호 간의 관련성을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관련성은 차원이 다양하고 많은 요인들이 있을 수 있는데, 하나의 차원 또는 요인을 선택하여 정한다면 대조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언어의 체계성 관점에서 출발하면 언어성분(단위)간의 의미관계는 상호 관련될 뿐만 아니라 상호 구별되거나 대비된다. 따라서 어떤 두 단어를 대조할 때 연관성과 함께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어떤 한 단어의 다양한 의미에 대해 분석할 때는, 의미들 사이의 차이와 함께 의미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고려해야 한다.
성분들간의 상호 관련성은 특정 요인에 의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성분 간의 대립 역시 종종 하나 또는 몇 가지 방면에서만 나타난다. 하나의 요인만으로 양자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이러한 차이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든 방면을 샅샅이 고려하는 것보다는 핵심만을 파악하는 것을 추구한다. ‘本来’, ‘原来’와 같이 의미적 관련성이 매우 분명히 나타나는 것에 대해 어떤 이는 종종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며, 두 단어를 결합하여 ‘原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 말뭉치에서 두 단어는 여전히 구분된다. 차이의 핵심은 두 단어의 기본의미가 아니라 두 단어의 사용 문맥에 있다. 문장의 표의 기능에 명확한 차이가 있을 때 두 단어에 대한 선택이 구분된다. ‘逐渐’과 ‘渐渐’은 동의성이 더욱 명확하여 두 단어의 차이에 대해서는 종종 정확히 말하기 매우 어렵다. 그러나 실제 말뭉치를 세심하게 분석하면 용법과 의미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용법에 있어서 ‘逐渐’이 사용된 문장은 진술에 더 많이 사용되고 ‘渐渐’의 경우 묘사에 더 자주 사용된다. 의미적으로는 두 단어가 사용된 문장은 모두 변화를 나타내지만, ‘逐渐’문이 나타내는 변화는 간헐성을 보이고 ‘渐渐’문이 나타내는 변화는 지속성을 보인다.
체계적인 분석을 기초로 허사의 용법과 의미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본 연구가 추구하는 목표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7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