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67070258
· 쪽수 : 784쪽
· 출판일 : 2021-12-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감사의 말
서론
1부 최고의 말하기와 글쓰기
도입: ‘말하기’와 ‘글쓰기’
01 말하기와 글쓰기의 방식: 문화의 역할
문식성 이야기: 문자 언어의 세 가지 기본 체계
02 글쓰기의 좋은 점
문식성 이야기: 중동의 알파벳 표기 개발
03 과정으로서의 말하기: 과정으로서의 말하기는 글쓰기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문식성 이야기: 그림-글자 조합체
04 결과로서의 말: 주의 깊은 글쓰기를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비계획적 말하기의 아홉 가지 장점
문식성 이야기: 우리는 단어 사이의 여백을 어떻게 얻었는가
05 억양: 글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일상적 말의 근본적 장점
문식성 이야기: 샤를마뉴와 앨퀸은 어떻게 라틴어의 명칭을 빼앗았는가
06 우리는 정말 두 세계의 최고 장점을 가질 수 있는가
문식성 이야기: 초기 표준 영어가 어떻게 탄생했는가에 관한 두 개의 이야기
2부 말하듯이 쓰기 글쓰기: 초기 단계에서 말하기의 역할
도입: 정신활동으로서의 말하기와 글쓰기
07 말하듯이 쓰기란 무엇이며 자유 작문으로 어떻게 배우는가
문식성 이야기: 이른바 암흑시대의 언어학적 광명
08 비계획적인 말하듯이 쓰기를 볼 수 있는 또 다른 곳은 어디인가
문식성 이야기: 이사벨라 여왕의 궁정에 있었던 또 한 명의 성공적인 수사학자
09 말하듯이 쓰기에 대한 반대 의견 고찰
문식성 이야기: 모든 사람이 언어에 대해 불평하면서도 그 누구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데, 가끔 예외는 있다
10 주의 기울이기의 필요성: 쉽게 말하듯이 쓰는 것만으로는 결코 충분치 않다
문식성 이야기: 『뉴요커』(1982년 7월 5일 자)의 콜라주 사례
3부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 글 수정하기: 글쓰기 후반기 단계에서 말하기의 역할
도입: 표준 영어란 무엇인가
11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 글 수정하기: 입과 귀가 아는 것
문식성 이야기: 음절문자, 그리고 1820년 아칸소에서 시쿼야가 발명한 것
12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 효과적인 수정 방법
문식성 이야기: 그들이 문법 가르치기를 중단할 때
13 구두법: 두 전통과 더불어 살아가기
문식성 이야기: ‘That’과 ‘Which’에 관한 규칙
14 입과 귀를 활용한 적절한 구두법 사용하기
문식성 이야기: 소멸하고 회생하는 언어
15 말하기는 어떻게 글의 구성을 향상시키는가: 에너지로서의 형식
문식성 이야기: 여러 개의 문자 언어가 공용어로 경쟁하고 있는 세 국가
16 요약: 말하듯이 쓰기와 소리 내어 읽기의 장점
문식성 이야기: 마오쩌둥이 중국의 문자를 이용하기 쉽게 만들려고 하다
4부 일상어 문식성
도입: 단테가 말한 민중 언어
17 말하기를 배제하는 엄격한 문식성 문화
문식성 이야기: 허용되지 않는 알파벳
18 새로운 일상어 문식성 문화의 지평
부록 1. 작문과 수사학 공동체에서 자유 작문의 위상 변화: 위험한 글쓰기에서 대수롭지 않은 글쓰기로
부록 2. 비주류 변형 영어로 쓴 출판물 사례
피터 엘보의 저작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