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707051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3-31
책 소개
목차
‘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를 출간하면서
책머리에
프롤로그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 조선 연구의 궤적
1장 제도화되는 식민주의 역사학: 오다 쇼고의 조선사학회와 경성제국대학
관료형 학자의 탄생
통치 업무로서 조선 연구
식민사학의 궤적과 조선사학회
조선사학회의 출범과 그 이면
실패한 전통, 조선반도사 편찬사업
식민지 통사 편찬의 딜레마
강좌라는 형식과 학회라는 이름
통신강좌로서 『조선사강좌』
『조선사강좌』의 면면
조선사학회와 『조선사대계』
조선사 연구자로의 전신과 그 식민주의적 함의
2장 종속화되는 조선 고대사: 이마니시 류의 조선사 기획
또 한 사람의 조선사학 창시자
‘식민사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
역사서사와 식민주의 역사학
권력의 서사와 식민주의 역사학의 딜레마
불가능한 식민주의 역사학?
조선사, 민족의 역사 혹은 권역의 역사
일본 동양사학과 한사군 연구
식민국가 낙랑군과 문화전파의 경로
이마니시 류의 지적 이력과 조선사 기획
이마니시의 낙랑군 혹은 조선사 서술에서 ‘중국적인 것’
왕도의 길과 패도의 길
이마니시 조선사 기획의 귀결
3장 ‘국사’와 동양학 사이: 후지쓰카 지카시와 아베 요시오의 동양 문화 연구
식민지 대학의 사명과 그 이면
핫토리 우노키치와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의 학문 편제
경성제국대학과 ‘동양 문화 연구’의 제도적 윤곽
외부이자 내부인 ‘조선’과 일본 동양학의 딜레마
핫토리 우노키치 이후의 경성제국대학 동양 문화 연구
식민지발 동양 문화 연구의 말로
4장 불가능한 조선의 식민정책학?: 식민정책학자 이즈미 아키라의 운명
어느 식민정책학자의 침묵
식민정책학, 모호한 위상과 분열적 성격
식민정책학자가 식민지로 간 까닭
폴 라인쉬와 이즈미 아키라: 일본 식민정책학의 방향 전환
농정학적 식민정책학과의 결별
이상주의의 급진성: 동화주의와 비동화주의
경성의 이즈미 아키라: 식민지 현실 속 식민정책학자
이즈미 아키라의 침묵, 그 이유
에필로그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연구, 그 후
본문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경성제대는 제국대학 중 처음으로 식민지에 세워진 대학이었다. 그리고 확장을 꿈꾸는 일본제국의 입장에서는 그 길목에 세워진 ‘대륙 유일의’ 제국대학이기도 했기에 설립의 의미가 각별할 수밖에 없었다. 식민통치의 안정화라는 식민지적 과제와 대륙 진출이라는 제국적 과제가 중첩되는 지점에 식민지 조선은 위치했다. 일본의 제국대학이었지만 동시에 조선총독부의 기관이기도 했던 경성제대가 식민지 조선을 학술 탐구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했다. 이것은 일본의 다른 어떤 제국대학도 넘보기 어려운 독보적인 영역이었다. - 「프롤로그: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 조선 연구의 궤적」 중에서
경성제대의 조선사학은 오다 쇼고가 구축했던 식민주의 역사학의 제도적 기반 위에서 탄생하여 성장했다. 경성제대의 조선 연구가 서 있는 제도적 계보를 드러내기 위해서라도 오다 쇼고의 조선사학, 그리고 그 태동이 되는 조선반도사 편찬사업과 조선사학회의 활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관료였던 그는 왜 ‘조선사’라는, 자기로서는 미지의 영역에 뛰어들었을까? 그 결정적인 전기가 되는 조선사학회란 어떤 단체였을까? 그리고 오다 쇼고는 이 조선사학회라는 단체를 통해 당시 식민주의 역사학이 직면했던 문제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그리고 그 결과는 경성제대로 어떻게 이어졌을까? - 「1장 제도화되는 식민주의 역사학」 중에서
이마니시는 일본의 관학 아카데미즘 속에서 ‘조선사’를 자신의 전공으로 표방한 첫 역사학자였다. 실제 학문적 이력을 보아도 “조선사로 시작해서, 조선사로 끝난” 명실공히 “조선사학의 개척자”였다. 특히 조선 고대사 분야에서 그는 일본 본토의 학계에서도 “다이쇼·쇼와 시기를 통틀어 거의 독보적인 존재”로 군림했던 역사가였다. (중략) 그에 대한 한국 학계의 평가도 극단적으로 엇갈린다. “한국 고대사의 말살과 왜곡의 기초를 다진 자”라는 혹독한 비판이 있는가 하면, “박사라는 호칭이 붙여져 불릴 만큼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한 “드문 학자”라는 엇갈린 호평이 지금까지도 공존한다. - 「2장 종속화되는 조선 고대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