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7071248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3-08-31
책 소개
목차
개정판 머리말
머리말
1부 작문의 이론적 기초와 문식 환경의 변화
1장 쓰기의 본질 및 쓰기 발달 단계
1 쓰기란 무엇인가
2 쓰기 능력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3 쓰기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2장 쓰기 이론의 전개
1 쓰기 이론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2 결과 중심 쓰기 이론
3 과정 중심 쓰기 이론
4 대안적 쓰기 이론
3장 쓰기의 과정
1 쓰기는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2 쓰기 과정 모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4장 쓰기의 전략
1 쓰기 전략이란 무엇인가
2 계획하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 내용 생성하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4 내용 조직하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5 표현하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6 고쳐쓰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5장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1 문식 환경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2 문식 환경 변화에 따른 표현 양상의 실제는 어떠한가
3 작문 교육 변화의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가
2부 작문 교육의 이해
6장 작문 교육과정
1 작문 교육과정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2 교수요목~제3차 교육과정―경필 시대의 작문 교육과정
3 제4차 교육과정―수사학 이론으로 재구성된 작문 교육과정
4 제5차~제7차 교육과정―인지주의 이론을 도입한 작문 교육과정
5 2007과 2009·2011 개정 교육과정―사회구성주의 이론과의 통합을 모색한 작문 교육과정
6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핵심 역량으로 재편된 작문 교육과정
7장 작문 교과서
1 작문 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2 교과서에 작문 이론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
3 교과서에 반영된 작문 이론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
4 실제성을 높이는 작문 교과서는 어떠한가
8장 작문 교수·학습 방법
1 작문 교수·학습의 원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2 작문 교수·학습의 방법은 어떠한가
3 작문 교수·학습은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가
9장 작문의 평가
1 작문 평가란 무엇인가
2 작문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 작문 평가에는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4 작문 자동 채점 기술 어디까지 왔는가
3부 작문 교육의 실제
10장 정보 전달의 글쓰기
1 정보 전달의 글쓰기란 무엇인가
2 교육과정에 정보 전달의 글쓰기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3 정보 전달의 글, 어떻게 쓰는가
4 정보 전달의 글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가르치는가
11장 설득하는 글쓰기
1 설득하는 글쓰기란 무엇인가
2 교육과정에 설득하는 글쓰기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3 설득하는 글, 어떻게 쓰는가
4 설득하는 글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가르치는가
12장 표현적 글쓰기
1 표현적 글쓰기란 무엇인가
2 교육과정에 표현적 글쓰기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3 표현적 글쓰기, 왜 가르치는가
4 표현적 글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가르치는가
13장 학습을 위한 글쓰기
1 교육과정에 학습을 위한 글쓰기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2 학습과 쓰기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작문 교육은 교과 학습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4 학습을 위한 글쓰기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가르치는가
찾아보기
집필진 소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쓰기 과정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는 쓰기 과정이 선조적인 단계들로 이루어진다는 생각이다. 즉, 계획하기 과정이 끝나면 내용 생성하기 과정이 이루어지고 내용 생성하기 과정을 마쳐야 내용 조직하기 과정이 시작된다는 식이다. 그러나 (…) 필자는 내용을 생성하는 동시에 조직하기도 하고, 글을 작성하다 말고 다시 계획하기 과정으로 돌아가기도 한다. 요컨대 쓰기 과정은 동시성과 회귀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쓰기 과정의 경계 또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라기보다는, 편의상 설정된 느슨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쓰기 교육에서 사용되는 쓰기 전략은 ‘필자가 쓰기 과정에서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최적의 방법’을 뜻한다. 여기서 쓰기 전략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다는 것은, 이 용어가 문제 해결로서의 쓰기 과정을 전제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필자가 쓰기 과정에서 부딪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택하는 것이 바로 전략이다.
기술의 변화에 따라 교육 환경 역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이다. 챗GPT가 새로운 작문 도구로 대두되었다면, 이를 활용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능력과 함양 방안, 교육 현장 내 새로운 도구의 도입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